陽村鄕校와 연화산 弘願寺
지난 6월 16일(목) 집에서 避難한다고 朴正熙 대통령기념도서관을 관람하고 謙齋 鄭敾美術館에
가느라고 전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 역에서 9호선 양천향교
역에 내렸더니 이정표에
겸재정선미술관과 나란히 양촌향교가 있어 양촌향교로 향했다.
양촌향교 가는 길목에 향교 조금 못 미쳐서 弘願寺라는 낯선 현대식 사찰이 있어 홍원사도
양촌향교와 같이 계획에는
없었으나 덤으로 관람하였다.
그 동안 문화답사와 계룡산을 산행하고 사진을 정리해 올리느라고 늦게 양촌향교와 홍원사를
묶어서올린다.
2016.07.07 孤 山 朴 春 慶
陽川鄕校 터 -서울시 기념물 제8호-
鄕校는 孔子와 여러 聖賢께 제사를 지내고 地方民의 교육과 敎化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양천향교는 조선 太宗 11년(1411)
처음 건립되었으며, 1981년에 전면 복원하였으며
祭祀 공간인 大聖殿,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明倫堂, 학생들의 기숙사인 東齋와 書齋,
內三門, 外三門 등 8棟이
있다.
대성전의 안쪽에는 孔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과 우리나라의 聖賢의 位牌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奴婢∙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祭祀 기능만 남아 있으며 양천향교는 전국 234개 향교 중 서울에 있는 유일한 향교이다.
*서울에 있는 유일한 書院은 <道峰書院>이었는데
1572년 건립되었던 원형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철거하였으나 원래 이곳은 원래 寧國寺라는 절이 있었으나
조선시대에 절은 廢寺되고
宣祖 6년(1573) 士林의 巨頭
靜庵 趙光祖를 配享한 道峰書院이 들어섰다고 주장하는
儒·佛간의 대립으로 공사를 하지 못하고 빈터만 남아있다.
양촌향교에서는 지금도 지역주민과 초∙중∙고교생들을 대상으로 漢文과 書藝, 四君子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해마다 봄∙가을에는 孔子를 비롯한 五聖과 十哲,
宋 六賢, 東國 十八賢의 위패를
모시고 덕을 기리는 釋奠祭禮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五聖: 文廟에 함께 모시는 다섯 聖人 孔子, 顔子, 曾子, 子思, 孟子
*十哲: 孔子 門下의 열 사람의 高弟인 顔回∙閔子騫∙冉伯牛∙仲弓∙宰我∙子貢∙冉有∙子路∙子游∙子夏).
(*騫: 이지러질 건 *冉: 나아갈
염 * 貢: 바칠 공)
*宋 六賢: 程伊川∙張橫渠∙邵堯夫∙司馬公∙韓魏公∙范文正 (*渠: 개천 거)
*東國(우리나라) 十八賢: 신라의
薛聰, 崔致遠, 고려의 晦軒 安珦, 圃隱 鄭夢周,
조선의 寒暄堂 金宏弼, 一蠹 鄭汝昌, 靜庵 趙光祖, 晦齋
李彦迪, 退溪 李滉, 河西 金麟厚,
栗谷 李珥, 牛溪 成渾 (*宏: 클 굉 *蠹: 좀 두)
鄕校는 조선시대에 儒敎의 創始者 孔子를 비롯한 聖賢들의 제사를 모시는 文廟行事를 담당하고,
지방 鄕吏들의 자제를 교육하는 기관이었으나 현대적 교육기관이 생기면서 지금은 대부분의
향교가 해체되고, 그나마 命脈을 유지하는 곳이 전국적으로 230여 군데가 남아 있다고
한다.
陽川鄕校 터 사진

(01) 양천향교 홍살문[紅箭門]

(02) 양천향교 前景

(03) 鄕校 復元 記念碑

(04) 향교복원 有功者 頌德碑

(05) 陽川鄕校 外三門

(06) 외삼문

(07) 陽川鄕校 西齋-明倫堂-東齋(왼쪽부터)

(08) 陽村鄕校 明倫堂, 儒學을 가르치던 講堂.

(09) 명륜당 격자살창문

(10) <明倫堂> 편액-成均館長
李載瑞 題

(11) 東齋
成均館이나 鄕校, 書院에서 儒生들이 거처하며 공부하던 明倫堂이나 講堂 앞 동쪽에 있는 건물.

(12) <東齋> 편액과 격자살창문

(13) 西齋
鄕校에서 儒生들이 거처하며
공부하던 明倫堂이나 講堂 앞 서쪽에 있는 건물.

(14) <西齋> 편액과 격자살창문

(15) 명륜당에서 본 東齋-外三門-西齋(왼쪽부터)

(16) 양촌향교 內三門

(17) 陽村鄕校 大成殿 (*내삼문이
잠겨있어 문틈으로 찍은 사진)
孔子 廟, 즉 文廟의 正殿으로 공자의 位牌를 모시는 殿閣이다.
孔子를 비롯하여 五聖과 十哲, 宋 六賢, 東國 十八賢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18) 典祀廳, 나라에서 定한 祭祀를 맡아보던 官衙. (*문틈으로 찍은 사진)

(19) 나무수국

(20) 초롱꽃

(21) 홍살문 서쪽에 있는 유예당(遊藝堂)

(22) <遊藝堂> 편액

(23) 유예당 앞 전통문화마당, 傳統文化를 선보이고 傳受하는 공간이다.

(24)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향교재단

(25) 양촌향교터 이정표
서울 陽川古城址 -사적 제372호-
이번에는 그냥 지나쳤지만 조선시대 陽川縣 邑治의 鎭山으로 양촌향교 뒷산인 宮山(해발
74m)에
있는 둘레 약 220m의 서울 陽川古城址는 幸州山城(사적 제56호), 坡州
烏頭山城(사적 제351호)과
더불어 옛날부터 漢江 河口를 지키던 중요한 시설이었다.
궁산 중턱에는 겸재 정선이 찾아와 그림을 그렸다는 정자 小岳樓는 이곳에서 바라보는 한강변의
絶景이 뛰어나 명사들의
詩畵와 風流의 場이 되었던 곳으로1994년에 복원되었다고 한다.
연화산 弘願寺
홍원사는 大韓佛敎 曹溪宗 사찰로 東洲 元明大德이 옛 陽川官衙 터에 2005년 4월에 창건하였다.
3층 大雄殿에 釋迦牟尼佛을 모시고 1,000분의 願佛을 조성하고 神衆壇에 104位의 탱화를
봉안하였으며, 2층 說法殿에는 阿彌陀佛, 觀世音菩薩, 地藏菩薩을 봉안하고 修行과 교육공간으로,
1층은 사무실과 僧房, 地下는 식당과 茶室을 꾸몄다.
2008년 10월 慈航 省悟和尙 제2대 住持로 취임하여
대웅전을 丹靑하고 靈壇에
阿彌陀三尊 極樂撑畵를 모시고 道場을 정비하였다.
2013년 7월 百中에 淸信士(남자 在家信徒) 瑞光居士와 淸信女 大光明보살이 七層石塔과
雙獅子石燈 그리고 布袋和尙 立像과 坐像을 布施하였다.
절 이름 弘願寺는 ‘크나큰 誓願으로 一切衆生을 濟度하겠다’는 뜻이고, 탑
이름을 佛靈塔이라고
한 것은 부처님의 靈驗이 분명하여 正法道場에 세워졌으니 이 탑에 예배하고 공양하는 사람에게
佛菩薩의 신묘한 加被가 분명히 있다는
의미이다.
*홍원사의 외부만 모았으며, 뒷산은 宮山인데 연화산은 어떻게 붙였는지 모르겠다.

(01) 弘願寺 전경

(02) 홍원사 3층 大雄寶殿

(03) 弘願寺 七層石塔

(04) 홍원사 雙獅子 石燈

(05) 홍원사 布袋和尙 立像
*布袋和尙: 後粱의 승려로
본 이름은 契此이며 浙江省 明州 출신으로 포대를 지팡이에 걸어
어깨에 메고 동냥한 것을 그 속에 담고 떠돌아다니면서 修行한 禪僧으로 916년
明州 嶽林寺에서 入寂하였다.
*포대화상이 입적할 때의 偈頌 (*偈: 쉴 게)
彌勒眞彌勒 分身百千億 時時示時人
時人自不識
(미륵진미륵 분신백천억 시시시시인 시인자불식)

(06) 布袋和尙 坐像

(07) 초롱꽃

(08) 비비추

(09) 접시꽃

(10) 능소화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