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영업익188억.순익160억(자본금35억)
2013년 예상 eps 2,700원 per 5.7 배 수준!
2012년 무차입 경영 실현! ROE 22 %
2013년 생산캐파 확대 30%
기말 현금성 자산 300억!
크레인시장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천문학적인
예산편성과 재정집행증가와 더불어 SOC투자 증가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를 진행하거나 계획하고 있어 수요급증.
크롤러크레인 트렉슈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로 국내외 경기둔화에도
불구 제품다변화를 통해 2013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 전망.
글로벌 광산 개발투자 확대에 따른 초대형 굴삭기 투랙슈 수요 증가세 지속 전망.
독창적 아이템으로 가격 경쟁력, 일괄공정체계로 원가경쟁력, 지속적인 캐파증설로
규모의 경제 확보 등을 감안할 때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가능성 상존.
*크롤러 크레인 세계시장 수요동향
① 북미 : 휠크레인, 대형크레인 중심으로 시장 회복 기조
② 인도 : 도로, 발전소 건설 등 인프라투자를 중심으로 크게 성장
③ 남미 : 자원개발, 인프라 정비로 수요증가
④ 호주 : 자원공급량(철광석)증가로 인한 성장
⑤ 동남아 : 방대한 자원을 이용한 성장
⑥ 일본 : 동일본 대지진 복구
⑦ 중국 : 굴삭기, 자동차의 수요증가로 볼 수 있는 급격한 경제성장
미국과중국을 중심으로 크롤러 크레인이 대량으로 필요한
친환경 에너지설비인 풍력발전소등을 계속하여 신설 및 증설을
계획하고 있는 관계로 세계적 경제위기 상황하에서도 크롤러 크레인
수요는 미국 및 중국과 더불어 확대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의 석유화학이나 전력 등의 프로젝트에 투자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인도 등. 즉, 현재 전세계적인 크롤러 크레인에 대한 수요는
그 성장가능성은 견고하다고 할 수 있으며,
노후화된 장비의 교체 등으로 크롤러 크레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
5년 연속 히든챔피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