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자용신 전구월령.
여기서 먼저 용신의 뜻을 분명히 해야한다.
용신은 작용하는 기운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또 쓸 수있는 기운이라는 의미도 있다.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기운이라고 볼 수 있다.
用은 작용과 사용의 의미가 함께 있다고 볼 수 있다.
神이라는 단어는 사실 큰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 의미있는 것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전구월령이라 할때 세가지 견해가 있다.
1) 월지의 계절을 중시하여 본기를 중심으로 강한 기운을 인식한다.
연해자평 삼평통회 등에 이러한 견해를 찾을 수 있다. 진술축미월은 투간 회지를 고려한다.
2) 지장간을 중시하여 투간회지로 왕해진 기운을 고려한다.
자평진전이 이 견해를 채택한다. 투간 회지는 사주의 기운이 특정방향으로 변화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일간의 관심도 월지 본기가 아니라 투간 회지로 향할 가능성이 있다.
진로 적성을 연구할 때 고려해야 한다. 가업을 이어받는가 아니면 새로운 일을 하는가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3) 월령용사를 고려하여 각 시기별 작용하는 기운을 중점적으로 본다.
현재 중국에서도 여러 학파가 사용한다.
국내에서는 창광선생이 간명시 참고한다.
각기 다른 시대에 태어난 동일명조를 분석할 때 참고하면 좋다.
월령용사에 대하여
점성학적 관점에서 하늘의 기운이 월중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하늘과 땅의 바람의 방향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온도와 습도의 변화로도 볼 수 있다.
亥중 甲이 있는 것은 亥월에 동풍이 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寅중에 丙이 있는 것은 남풍이 점차 강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지장간 토는 대립되는 바람의 방향이 전환기에 들어선 것을 의미한다.
월령용사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그 기간이 다른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다고 보는게 합당하다.
* 세가지 견해 중 어느 것이 좋은지는 우열을 가리기는 사실 어렵다.
각자 역사가 오래되었고 각각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다.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