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상감 명문에 보이는 획가 다지로대왕(獲加 多支鹵大王)이 개로왕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검.


(명문)
辛亥年七月中記乎獲居臣上組名意富比垝(궤)其兒多加利足尼其兒名
互巳加利獲居其兒名多加坡次獲居其兒名多沙鬼獲居其兒名半互比.(表)
其兒名加差坡余其兒名乎獲居臣世世爲仗刀人首奉事來至今.
獲加多支鹵大王寺在斯鬼宮時吾左治天下命作此百練利刀.記吾奉事根原也.(裏)
(해석)
신해년(471) 7월에
기록하다.
호획거신(乎獲居臣
오와케
노 오미)은
선조인
의부비궤(意富比垝
오호히코-임나가라왕)를
모셨다.
그
아들은
다가리족니(多加利足尼
다카리
스쿠네-대가리,우두머리)이다.
그
아들은
호기가리(弖已加利
테요카리-하동,함창)획거.
그
아들은 다가파차(多加披次獲居다카히시-창녕,영산
)획거.
그
아들은
다사괴(多沙鬼獲居
타사키-하동)획거.
그
아들은 반호비(半弖比-동경
荒川)이다.
그
아들은 가차파여(加差披余
카사히요-동경笠原).
그
아들은 호획거신(乎獲居臣
오와케
노오미-동경
行田)이다.
나는
세세토록
큰 칼을 만드는 대장장이 우두머리가 되어 봉사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획거다지로(獲加多支鹵
와카타케루-개로왕)대왕의 사원이
사괴궁(斯鬼宮)에
있을
때,
나는
천하를 보좌하고 백번
단련한 칼을 만들도록 하여 내가 봉사한 근원을 적는다.
(해설)
칼에새긴 한자 문장이 한국어 어순이다. 백제 이두 의부(意富)는 크다는 뜻으로 오호(大) 란 뜻으로 대가야(임나가라)를 뜻하며 지금의 부산(복천동 유적 포함)에 있었다. 주인공 호획거의 조상 호기가리(弖已加利:테요카리)는 하동에 있었던 백제의 담로, 다가파차(多加披次;다가히시)는 창녕의 백제담로, 다사괴(多沙鬼:타사키)는 하동의 백제담로를 맏았다, 이사람이 396년 광개토왕의 7가야국 정벌이후 왜로 건너가 동경 아라가와(荒川) 그리고 가사하라(笠原) 그후 사이타마 교다시(行田) 에서 담로를 맏았다. 무려 271년부터 471년부터 8대동안 획거를 맏으며 봉사했다. 마지막으로 개로왕을 보좌하며 그 기록을 칼에 적었다.
심제.
첫댓글 위키 개로왕(蓋鹵王, ? ~ 475년 9월)은 백제의 제21대 국왕(재위: 455년~475년)이다. 근개루왕(近蓋婁王), 개도왕(蓋圖王)으로도 불린다. 이름은 경사(慶司) 또는 여경(餘慶)이며,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가수리군(加須利君)이라는 칭호도 있다.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