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천지킴이 모래톱의 6월 답사
영 산 강 의 상 류
담 양 습 지 를 찾 아 서
2007년 6월 3일(일)
● 담양 태목리 대나무숲으로 들어가다
● 담양습지를 돌아보다(어류, 조류, 저서생물 관찰)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천/지/킴/이모/래/톱
‘담양습지’의 생태 현황
습지보호구역범위
|
전남 담양군 대전면 강의리와 태목리, 봉산면 와우리, 수북면 황금리, 광주 북구 용강동 일대 영산강 상류 98만 575㎡(29만 7000여 평)
|
식물(205종)
|
갯버들, 수양버들 등의 버드나무의 무성한 군락, 자귀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등의 관목류, 줄과 달뿌리풀이 지배적으로 모두 205종의 다양한 식물이 서식
|
조류(58종)
|
해오라기, 쇠백로, 중대백로, 황로 등이 많으며, 멸종위기종인 매와 천연기념물인 붉은배새매 · 황조롱이, 생태지도 표기종인 뻐꾸기, 물총새, 청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검은딱새, 개개비사촌, 꾀꼬리, 흰뺨검둥오리, 깝작도요새 등을 포함해 모두 58종
|
어류
|
과거의 조사자료와 비교할 때 참중고기, 자가사리 등 상당수가 감소해 생태다양성이 특별히 우수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함. ⇒ 이유: 보에 의해 여울이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함. / 납자루, 돌상어, 베스, 빠가사리, 블루킬, 동자개, 피라미, 모래무지 등이 있음
|
파충류, 양서류
(7종)
|
맹꽁이와 참개구리, 청개구리, 황소개구리, 무자치, 유혈목이, 누룩뱀 등 모두 7종
|
|
첫댓글 오전 9시 국립박물관주차장. 현병순(010-6677-8771). 점심도시락과 물 준비/ 각종 도감 / 필기구 . 아마도 오후 2시~3시경 끝날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