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 양인살(羊刃殺)
1) 양인살(羊刃殺) 찾는법
양인(羊刃)을 보는 법은 양인살(羊刃殺)은 음양간(陰陽干)을 구분하지 않으며 천간(天干)를 대비하여 지지(地支)에 해당되는 글자를 얻으면 양인살(羊刃殺)이 됩니다.
양인살(羊刃殺) | ||||||||||
천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양인 | 卯 | 辰 | 午 | 未 | 午 | 未 | 酉 | 戌 | 子 | 丑 |
2) 양인살(羊刃殺)의 개념(槪念)
양인(羊刃)은 양(羊)의 뿔을 말하는데 날카롭고 강해서 도검(刀劍)에 비유가 됩니다. 양의 습성(習性)은 상대방의 뒷모습을 보면 돌발(突發)하여 뿔을 들이대므로 흉폭(凶暴)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 양인(羊刃)입니다. 이러한 양인(羊刃)을 가지 팔자는 비유하여 도검(刀劍)을 쓰는 사람이 많이 나왔는데 그러므로 양인을 가진 사람은 도검(刀劍)에 상(傷)하거나 압사(壓死), 충돌(衝突)하는 재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양인살을 가진 팔자는 사람을 살상(殺傷)시키는 목적을 가진 총이나 칼 같은 도구들을 활용하는 직업으로 군인(軍人), 경찰(警察), 도축(屠畜), 정육점(精肉店) 등에 종사(從事)합니다. 혹은 그런 도구들을 생산하는 금속가공업, 기계 특수분야에 근무할 수 있습니다. 또는 살상(殺傷)용 도구들을 활용하여 인명(人命)을 구하는 의사(醫師), 간호사 (看護師), 소방구급대원(消防救急隊員) 등에 종사(從事)하거나 검찰(檢察), 법조계(法曹界), 금융업(金融業) 등에 많이 나타납니다. 고로 양인을 합법적으로 잘 활용하면 군인, 경찰이 되는 것이고 만약 실패하면 불법, 조폭, 폭력, 탈법으로 진행을 하게 됩니다. 기타 양인을 가진 사람은 운동선수, 트레이너, 건설업, 중장비업 요식업, 쉐프 등에 진출하면 성공합니다. 이러한 양인(羊刃)이 생기는 원리는 사람의 관계에 있어서는 무릇 사람이 벼슬을 소유하면 반드시 칼을 하사하여 보위(保衛)한다는 뜻이 있는 것이 양인(羊刃)입니다. 그래서 록(祿)이 지나가면 인(刃)이 나타나는 것이 세상의 순리인데, 12운성에 의하면 록 다음에 이어지는 위치가 양인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공(功)이 이루어지면 물러가야 함이 신하(臣下)의 마땅한 도리(道里)인데 만약 물러가지 않으면 지나침이 있게 됩니다. 당연히 극(極)한 장소는 기(氣)가 강렬하여 사납고 흉폭하여 불화(不和)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역사적으로도 많았는데 권력의 종점에서 권력을 휘둘렀던 세력가들이 마침내는 역모를 꾀하다가 사멸했던 것이 양인(羊刃)의 도검(刀劍)입니다. 사궁 중에서 양인(羊刃)이 두세 개 있으면 벙어리나 귀머거리가 될 수 있고 양인(羊刃)과 삼형(三刑)이 같이 있으면서 자신을 상(傷)하게 할 경우에는 귀양을 가지 않으면 죽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양인비인(羊刃飛刃)이 나를 극하면 안되며 양인과 비인이 왕하고 강하여도 안됩니다. 양인(羊刃)과 비인(飛刃)이 있는 기둥이 약하여 나에게 굴복을 하여야만 복(福)이 되며, 반대로 다른 기둥이 강하고 내가 약(弱)하면 화가 됩니다.
3) 양인살(羊刃殺)의 종류(種類)
인두재(刃頭財): 갑인(甲人)이 기묘(己卯)를 보면 양인인 묘목(卯木) 위에 기토(己土) 재성(財星)을 두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를 인두재(刃頭財)라 하여 재물이 마른다고 합니다. 도축업, 칼, 톱 등을 쓰는 직업이고 좋습니다.
己 | 甲 |
卯 | |
양인 |
인두귀(刃頭鬼): 갑인(甲寅)이 신묘(辛卯)를 보면 묘(卯) 양인(羊刃) 위에 정관(正官)이 놓이므로 양인에 관귀(官鬼)가 되는 것이니 발복(發福)하지 못하게 됩니다.
辛 | 甲 |
卯 | 寅 |
양인 |
연주인(連珠刃) | ||||
己 戊 未 午 | 辛 庚 酉 戌 | 乙 甲 卯 辰 | 丁 丙 未 午 | 壬 癸 子 丑 |
연주인(連珠刃): 양인(羊刃)의 구성이 구슬처럼 이어져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무오(戊午)와 기미(己未)가 만나게 되면 기(己)는 미(未)가 양인(羊刃)이 되고 무(戊)는 오(午)가 양인(羊刃)이 되어 연달아 있다는 것으로 모두 흉한 상(象)이 됩니다. 또한 경술(庚戌)과 신유(辛酉)가 만나면 경(庚)의 양인은 유(酉)에 있고 신(辛)의 양인(羊刃)은 술(戌)에 있으니 서로 양인(羊刃)으로 흉하고, 갑진(甲辰)과 을묘(乙卯)가 만나면 갑(甲)의 양인(羊刃)은 묘(卯)에 있고 을(乙)의 양인(羊刃)은 진(辰)에 속하므로 이 둘의 구성이 흉함을 말하는 것입니다.
4) 근묘화실(根苗花實)의 위치에 따른 양인살
년주(年柱) 양인살: 년지에 양인(羊刃)이 놓이면 조업(祖業)을 파(破)하여 승계받지 못하는데 은혜를 원수로써 갚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상이나 부모 대에 불명예가 있었거나, 베풀 줄 모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월주(月柱) 양인살: 양인이 월주에 놓이면 부모, 형제간에 화합(和合)이 어렵고, 성격이 괴팍한 경우가 많습니다. 월지에 있으면 편굴한 성질이 있습니다.
일주(日柱) 양인살: 일지에 양인이 있으면 부부간의 화합이 어렵고, 자신이 아프거나, 배우자의 질병이 잦을 수 있습니다.
시주(時柱) 양인살: 시에 양인이 있으면 처가 난산하거나 혹은 자식이 아플 수가 있고 말년에 건강운이 좋지 않으며, 사건, 사고 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시지에 있으면 처자(妻子)를 해치고 만년에 재화를 만나기 쉽습니다. 그러나 사주 중에 편관이 있으면 이 흉조가 억제됩니다.
5) 육신양인(六神羊刃) 결합상
겁재양인(劫財羊刃): 양인(羊刃)이 겁재(劫財)와 동주(同住)하면 재물을 극해(極害)하는 것이니 조상의 가업(家業)을 승계(承繼)받지 못하므로 고향을 등지게 됩니다. 겁재양인(劫財羊刃)은 겉으로는 겸손하고 유순한 것 같지만 내심은 잔인(殘忍)하고 동정심이 없기 때문에 가정이 적막한 사람이 많습니다. 고로 남자 사주에 양인이 많으면 처를 극하게 되니 처궁이 자주 변하게 됩니다.
정재양인(正財羊刃): 양인(羊刃)이 정재(正財)와 동주하면 재물이 마른다고 하였는데 곧 재물이 소멸될 징조입니다. 그러므로 정재와 양인이 동주(同住)해 있으면 재물로 인하여 사회적 오욕(汚辱)을 입는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지탄(指彈)을 받는 일을 당할 수 있습니다.
상관양인(傷官羊刃): 만약 시주(時柱)에 상관양인(傷官羊刃)이 동주에 있으면 만년에 큰 재난(災難)을 만나는 경향이 있으며 월주이면 패가망신(敗家亡身)하는 자가 적지 않습니다. 일지궁에 상관(傷官)과 양인(羊刃)이 같이 있는 여자는 자칫 잘못하면 악사(惡事)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결과로 부부(夫婦)는 불화(不和)하고 만약 시주에 상관양인(傷官羊刃)이 있는 여자는 그 자식에 해(害)가 있습니다
인수양인(印綬羊刃): 인수(印綬)와 양인(羊刃)이 동주(同住)에 있으면 비록 명예는 높더라도 모친(母親)의 선망(先亡)이 있을 수 있고 토(土)인수이면 장질환을 앓는다고 합니다.
칠살양인(七殺羊刃): 칠살이 강한 사주에는 양인이 있으면 좋은데 다만 칠살만 있고 양인(羊刃)이 없으면 현달(顯達)할 수 없고 양인(羊刃)만 있고 칠살(七殺)이 없으면 위엄(威嚴)이 없습니다.
사절양인(死絶羊刃): 양인이 사절이 되어 있으면 성급, 황폭하고, 목욕과 같이 있으면 악병 때문에 고생하는 수가 많습니다
도화양인(桃花羊刃): 도화와 양인이 중중(重重)한데 악살(惡殺)과 동주(同住)하면 황음(荒淫)하여 그 수치스러운 것을 모를 정도라 합니다.양인중중(羊刃重重): 사주 중에 양인(羊刃)이 서너개 있으면 농아맹자가 되는 수가 있습니다.
【예시1】양인(羊刃)이 3개 이상 있으면 농아맹자(聾啞盲者)가 되는 수가 있다. 양인(陽刃)이 국(局)을 이뤄 불에 달군 현침(懸針)이 되었는데 병재(病財)가 되어 갑목(甲木)의 시신경(視神經)을 찔렀다. 불이 태강(太强)한 즉, 화(火)의 질환은 안맹(眼盲)이고 병든 갑목(甲木)은 공망(空亡)에 빠졌는데 낙정관살(落井關殺)에 빠진 까닭에 그는 절름발이며 맹인이었다고 한다. 비록 식신(食神)이 도화(桃花)이니 재능(才能)이 출중(出衆)하여 수재(秀才)로 문장이 빼어났는데, 다만 공망(空亡)으로 빛을 보지 못하였으니 평생 빈궁하였다[연해자평 전응빈 명조]
時 | 日 | 月 | 年 | 명 조 |
식신 | 일간 | 상관 | 정재 | 六 神 |
乙 | 癸 | 甲 | 丙 | 天 干 |
卯 | 亥 | 午 | 午 | 地 支 |
식신 | 겁재 | 편재 | 편재 | 六 神 |
도화공망 낙정관살 학당문창 | 겁살천덕 | 양인육해 현침 | 양인육해 현침월덕 | 신 살 |
【예시2】년간(年干)과 월간(月干)의 양인(羊刃)이 일지 오(午)에 집중되어 있는데 인신충(寅申沖)으로 년간(年干)과 월간(月干)의 병화(丙火) 양인살(羊刃殺)을 크게 흔들고 있다. 비록 귀인(貴人)은 많았는데도 공망으로 무용지물(無用之物)이라 고신조객(孤辰弔客)등의 악살(惡殺)이 모여 있는 양인(羊刃)의 인신충(寅申沖)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였다. 그래서 18세의 나이로 요절(夭折)했다[삼명통회]
時 | 日 | 月 | 年 | 명 조 |
편관 | 일간 | 편재 | 편재 | 六 神 |
戊 | 壬 | 丙 | 丙 | 天 干 |
申 | 午 | 申 | 寅 | 地 支 |
편인 | 정재 | 편인 | 식신 | 六 神 |
역마현침 고신조객 관귀문곡 학당귀인 | 월덕현침양인비인 | 역마현침 고신조객관귀문곡학당공망 | 지살 | 신 살 |
【예시3】 비록 경(庚)의 양인(羊刃)이 세 개지만 여타의 화개(華蓋), 함지(咸池), 현침(懸針) 등의 흉살(凶殺)이 없었는데, 유금(酉金)이 칠살이므로 양인(羊刃)은 칠살(七殺)을 만나 화살위권(化殺爲權)이 되면 대귀(大貴)하다고 하였다. 격(格)이 기명종살(棄命從殺)로 돌아섰는데 순수하고 왕기(旺氣)를 띠었으므로 대귀(大貴)하여 승상(丞相)이 되었다. 이른바. 소인(小人)의 양인(羊刃)은 재앙(災殃)이나 대인(大人)의 양인(羊刃)은 화살위권(化殺爲權)이 된 셈이다[삼명통회]
時 | 日 | 月 | 年 | 명 조 |
비견 | 일간 | 비견 | 정관 | 六 神 |
乙 | 乙 | 乙 | 庚 | 天 干 |
酉 | 酉 | 酉 | 戌 | 地 支 |
편관 | 편관 | 편관 | 정재 | 六 神 |
양인 | 양인 | 양인 | 월덕 | 신 살 |
【예시4】시지(時支)에 오화(午火) 양인(羊刃)을 만났는데 병자(丙子)는 음양착살(陰陽錯殺)이고, 자(子)는 상문살(喪門殺)이다. 그런데 자오충(子午沖)으로 양인충(羊刃沖)을 하고 있다. 일시지(日時支)에 흉살(凶殺)이 결집(結集)이 되어 있는데 갑오(甲午)는 진신(進神)이다. 진신(進神)이 있으면 기(氣)가 응집되어 흉(凶)하다. 고로 빈천(貧賤)하게 살다가 요절(夭折)하였다[삼명통회]
時 | 日 | 月 | 年 | 명 조 |
편인 | 일간 | 편관 | 비견 | 六 神 |
甲 | 丙 | 壬 | 丙 | 天 干 |
午 | 子 | 辰 | 寅 | 地 支 |
겁재 | 정관 | 식신 | 편인 | 六 神 |
양인진신 | 음양착살 상문 | 천덕월덕 | 고신조객 | 신 살 |
【예시5】정재양인(正財羊刃)이 동주(同住)하면 돈 욕심으로 지탄(指彈)을 받는다고 하였는데 인두재(刃頭財)가 된 구조이니 돈이 마른다. 일간과 을경합(乙庚合)인데 인유원진(寅酉元嗔)을 한다는 점은 돈을 탐(貪)하다가 원망(怨望)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특히 2개의 양인(羊刃)이 유유(酉酉)형살(刑殺)이니 곡각살(曲脚殺)를 범(犯)했다. 뭔가 뼈를 뿌러트려 피를 보지 못하면 울분이 가라앉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 명주는 중국 심양에서 일어난 38사건의 주범이다. 경찰신분으로 공범과 함께 21명을 살해하였다[맹파명리]
時 | 日 | 月 | 年 | 명 조 |
편관 | 일간 | 정재 | 정재 | 六 神 |
丙 | 庚 | 乙 | 乙 | 天 干 |
戌 | 寅 | 酉 | 酉 | 地 支 |
편인 | 편재 | 겁재 | 겁재 | 六 神 |
홍염백호 | 겁살 | 양인곡각 | 양인곡각 | 신 살 |
【예시6】조상궁(祖上宮)의 기사(己巳)년주는 재생관(財生官)으로 천을귀인(天乙貴人)과 태극귀인(太極貴人), 천덕귀인(天德貴人)의 음덕(蔭德)이 있었으니 명문가(名門家)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許筠)은 17세에 사명당(泗溟堂)과 류성룡(柳成龍)의 문하(門下)가 되어 수학(修學)하다가 28세에는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장원(壯元)하였다. 그런데 자수(子水)가 양인(羊刃)으로 계수(癸水) 겁재(劫財)가 투출했는데 상관(傷官)이 수기(秀氣)하니 재능(才能)은 뛰어났는데 일주(日柱)가 관귀학관(官貴學官)과 문곡귀인(文曲貴人)을 놓으니 특히 문장(文章)이 출중(出衆)하였다. 그러나 십악대패(十惡大敗)가 동주하고 시지(時支) 상관(傷官)이 절로공망(絶路空亡)이라 재능(才能)은 있었으나 살아서 크게 뜻을 펼치지는 못했다. 시지(時支)의 재살(災殺)과 절로공망(截路空亡)을 함께 보는 것은 말년의 행각(行脚)이 불미(不美)한 일로 허균(許筠)은 1618년 무오년(戊午年) 50세에 처형(處刑)당했는데 무오년(戊午年)의 자오충(子午沖)은 양인충발(羊刃衝發)로 혈광사(血狂死)하니 거열형(車裂刑)에 처해졌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겁재 | 일간 | 편재 | 정관 | 六 神 |
癸 | 壬 | 丙 | 己 | 天 干 |
卯 | 申 | 子 | 巳 | 地 支 |
상관 | 편인 | 겁재 | 편재 | 六 神 |
재살절로공망 | 관귀학관문곡귀인 십악대패 | 육해양인 | 지살천을 태극 천덕 | 신 살 |
【예시7】양인(羊刃)이 형충(形沖)이 된 팔자는 두렵다고 말했는데 만약 월주의 상관양인(傷官羊刃)이 자묘형(子卯形)이 보면 큰 재난(災難)을 당하거나 패가망신(敗家亡身)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계축(癸丑)은 백호(白虎)이며 양인(羊刃)과 동주(同住)하였는데 무술년(戊戌年)에 축술형(丑戌形)을 하니 괴강(魁罡)칠살이 백호(白虎)를 도발(挑發)시켰다. 따라서 축술형(丑戌形)이 동(動)하면 자묘형(子卯形)도 움직이므로 양인(羊刃)이 발동(發動)하였다. 무계합거(戊癸合去)하고 축술형(丑戌形)으로 그 해에는 범태세(犯太歲)를 범(犯)하였으니 교통사고로 사망(死亡)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세운46 | 건 명 |
상관 | 일간 | 상관 | 겁재 | 편관 | 六 神 |
乙 | 壬 | 乙 | 癸 | 戊 | 天 干 |
巳 | 子 | 卯 | 丑 | 戌 | 地 支 |
편재 | 겁재 | 상관 | 정관 | 편관 | 六 神 |
양인 | 양인백호 | 신 살 |
【예시8】사주첩경에서 소개가 된 자녀(子女)가 벙어리인 사주팔자이다. 그런데 무술년(戊戌年)에 교통 사망한 팔자와 삼주(三柱)가 동일하게 양인상관(羊刃傷官)을 구성하였다. 그런데 시지(時支) 유금(酉金)은 양인(羊刃)을 자유파(子酉破)하였으므로 자녀의 피해가 심각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정관 | 일간 | 상관 | 겁재 | 六 神 |
己 | 壬 | 乙 | 癸 | 天 干 |
酉 | 子 | 卯 | 丑 | 地 支 |
정인 | 겁재 | 상관 | 정관 | 六 神 |
양인 | 양인백호 | 신 살 |
자료출처 신살론[풍수개운신살] 출간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