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에서 상신(相神)을 구할 때는 반드시 동(動)한 것을 찾아야 합니다.즉 동하지 않았다면, 있어도 쓰지 못합니다.
이게 맞는 말인가요?
답변 :
예를 들어
전구월령용신
이라는 구결이 있습니다
이것은 용신은 오직 월령에서 구한다
라는 유명한 명리학의 규칙입니다
이것은 지지의 월지를 용신으로 삼으라는 주장인 겁니다
만약 동정론 이론에 의해
지지는 합충으로 동하지 못하여 쓰질 못한다고 한다면
전구월령용신의 이론은 폐기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현재에 와서도 상당한 구속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용신은 지지에서 가능하지만 상신은 불가하다
는 주장은 어폐가 큰 겁니다.
동정론이론으로 용신잡는 사람 입장에서는 지지가 정으로 존재하면
다른 글자들도 모두 활용할 수가 없어야 마땅한 일입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전구월령용신으로
월지를 중심으로 용신을 잡는게 연해자평이론입니다
용신법에서는 지지는 정이므로 용신을 잡을 수가 없다는
그런 말을 일체 안하죠
만약 지지는 정이므로 아무것도 못한다고 하면
그럼 전구월령용신의 법칙은 틀린게 되겠죠
그러하니 동정론이론에 의거하여
용신을 잡는다고 하면
용신은 지지는 불가하고
오직 천간 투출자 혹은 지지합자로 용신을 잡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이게 맞습니까?
용신은 지지가 가능한데 왜 상신법에서만 지지는 정이므로 안된다고 하는가 말입니다.
이런 말도 안되는 부분부터 해명을 해야 할 겁니다.
참고 자료
자평진전에서 지지를 상신으로 삼은 사례 명조
관살이 지장간으로 감추어져 있고 천간에 드러나지 않았다
=官殺藏而不露
고로 악비명조가 이에 해당합니다
사중 경금으로 상신으로 삼았는데 신살균정이다
즉 지지가 아니라 지장간이라도 상신으로 삼은 사례이다
己 甲 乙 癸
巳 子 卯 未--악비사주
戊 庚 癸 甲
寅 寅 酉 午--목동지
년지의 오화를 상신으로 삼았다
관살이 양인을 제복하는 경우에 역시 식상이 있어도 귀하게 되는 것이 있다 .
=官殺制刃帶傷食 印護
< 칠살격에 식신이 없으면 인수를 쓰는 것이 당연하다. 예를 들면,
살
戊 戊 甲 戊
午 寅 寅 辰
인 살 살 비
조원외(趙員外)의 명조이다.>
시지의 오화는 상신으로 하였다
壬 丙 丙 壬
辰 午 午 辰
제살태과이다
년지와 시지의 진토를 상신으로 잡았다
첫댓글 실례. 자료 를. 잘 가져오셨네요.
지지 에서. 얼마든지. 잡지요.
네 맞습니다
실전에서도 지지 상신이 많이 나타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