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급출발, 급제동은 금물
가끔 도로연수를 하다보면 급출발, 급정지를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는 연비 효율적으로도 아주 좋지 않은 부분이니 가급적 자제하시고 특히 빙판길이나 빗불이 고여있는 길에서는 급출발을 하실 경우, 헛바퀴가 돌 가능성이 많고 급정지를 한다면 차가 미끄러져 차체가 돌아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고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절대 급출발, 급정지는 피하셔야 합니다. 저도 한번 해안도로 커브길에서 빗길에 급제동 했다가 바다에 빠질 뻔한 경험이 있습니다. 정말 조심 하셔야 합니다.
2. 풋 브레이크 보다 엔진 브레이크
요즘 운전하시는 차는 거의 오토 기어입니다. 그래서 엔진 브레이크라는 말이 좀 낮설긴 한데요.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최대한 속도를 줄이시고 풋브레이크 보다는 저단 기어를 사용하시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
저단 기어 즉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시는 것이 내리막길 운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 아닐까 합니다.
3. 앞차와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
평소에 운전하면서도 안전거리는 꼭 유지하시면서 운행을 하셔야겠지만, 특히 수막현상이 생기는 비올때는 언제 어디서 돌발상황이 생길지 모르고 또한 그럴 경우 제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앞차와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시면서 주행을 하셔야가벼운 접촉 사고라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접촉사고들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데 앞차와의 안전거리는 정말 필수 중 필수입니다.
4. 두말 하면 너무 아픈 말이네요. '서행'
아마 이게 가장 중요한 사항이 아닐까 생각이 되네요. 위 3가지를 아무리 잘 지키신다고 해도 빗길에서 과속을 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그래서 빗길에서는 무조건 천천히 서행을 하시는 것이 최고의 안전운행 방법입니다.
평소 속도보다 50% 이상 감속해야 한다는 점을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겨울철 빗길 안전운전 요령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모두 잘 숙지 하셔서 안전 운전 하시길 바라고 이번 겨울에는 비전 가족 모두 무사고의 기록을 남겼으면 좋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