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야산 산신 정견모주가 하늘신인 이비하와의 사이에 두 아들을 낳아 형은 대가야국의 첫 임금 아진아시왕이 되고, 동생은 금관가야국을 세운 수로왕이 됐다.’는 천년 전 가야국 건국설화를 간직한 경남 합천 가야산(1430m). 백두대간 줄기가 대덕산을 막 지나 덕유산에 이르기 전, 남동쪽을 향해 내달리던 수도지맥의 언저리에 크게 솟구쳐 오른 산이다.
산은 합천과 거창, 경북 성주에 걸쳐 장중한 덩치를 늘어뜨리고 경상도를 남북으로 가른다. 정상 상왕봉 주변으로는 해발 1000m가 넘는 여러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더할 나위 없는 경관을 연출한다. 가야산은 산도 산이지만 산자락에 품고 있는 천년고찰 해인사와 홍류동 계곡으로 세인들에게 더 잘 알려져 있다.
천년 노송과 활엽수가 멋스럽게 어우러진 홍류동 계곡길에 들어선다. 십리나 이어지는 구불구불 포장도로 곁으로 콸콸 물소리가 넘쳐날 듯 힘차다. 봄이면 진달래와 철쭉으로, 가을이면 단풍으로 계곡 물빛까지 온통 붉게 보인다는 홍류동 계곡. 여름의 끄트머리에 서서 군데군데 폭포와 옥빛 소를 그냥 지나치려니 여기 머물며 시를 읊던 신라 말 문장가 고운 최치원이 떠올라 발길이 쉬이 떨어지질 않는다. 가자, 갈 길이 멀다. 그래도 해인사마저 그냥 지나칠 순 없는 노릇.
|
아름드리 전나무와 느티나무가 줄지어 선 해인사 입구를 따라 경내에 들어서니 단아한 공기가 온몸을 휘감으며 오래된 나뭇결에서 세월 지긋한 향이 피어오른다.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팔만대장경을 봉안하고 있는 법보사찰 해인사. 의상대사가, 성철스님이 오래도록 머물다 떠난 자리에서 오래 머물지 못하고 슬그머니 빠져나왔다.
해인사 입구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홍제암, 용탑선원을 뒤로 밀어내며 본격적인 산길로 접어든다. 극락골과 토신골 두 갈래 길에서 망설임 없이 오른쪽 극락골 등산로를 택한 이유는 마애불 입상을 지나기 위해서다. 계곡에 드문드문 놓인 아치형 나무다리를 건너 오솔길과 가파른 너덜지대를 번갈아 오르다 보면 서서히 시야가 트여온다.1시간 남짓 올라설 즈음 마주하게 되는 마애불 입상. 비바람에 잘 다듬어진 7.5m 자연 바위에 편안하게 자리잡고 있는 마애불은 꼭 다문 입술로 쉬어가라 손길을 내민다.
토신골 등산로와 만나는 삼거리까지는 20여분.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는 늦더위와 싸우는 동안 답답하게도 산은 쉽게 정상부를 드러내지 않고 슬그머니 약을 올린다. 정상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가파른 암릉구간에 간간이 놓인 철계단을 디뎌야 하고, 고정로프를 매어 놓은 바위를 타넘기도 한다. 어느 바위 틈새 맑게 흐르는 물줄기에 목을 축이고, 바위 사이 드문드문 박힌 이름 모를 노란 꽃을 보며 감탄하는 사이, 마지막 철계단을 올라서는 순간 시야가 탁 트인다.
온전히 큰 바위 덩어리가 산 전체를 뒤덮고 있는 듯 불꽃처럼 솟아오른 석화성, 해발 1430m 상왕봉 정상이다. 토신골 삼거리에서 정상까지는 약 1시간 걸린다. 소머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옛 이름 ‘우두봉’이 새겨진 표지석 아래로 짙은 운무가 깔리기 시작한다. 정상에 서면 암봉 사이를 들락날락거리는 구름의 숨바꼭질과 함께 멀찍이 팔공산과 덕유산까지 조망된다.
하산은 상왕봉에서 동쪽으로 250m 떨어져 있는 칠불봉에 잠시 들렀다가 서성재를 거쳐 백운동 쪽으로 하면 되고, 약 2시간20분 걸린다.
#여행정보
88올림픽고속도로 해인사 나들목으로 빠져나와 1033번 지방도로 4㎞ 가면 해인사 입구에 닿는다. 가야산에 관해서라면 뭐든 줄줄이 꿰고 있는 김형달씨가 운영하는 치인집단시설지구 내의 삼일식당(055-932-7254)은 해인사 스님 지정 식당. 마늘을 많이 사용하지 않은 담백한 사찰 음식이 유명하다. 산채한정식을 전문으로 40년 전통을 이어오는 백운장식당(055-932-7393)의 동동주도 일품이다.
글 사진 정수정(월간 MOUNTAIN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