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드릭 더글러스 (Frederick Augustus Washington Bailey, c. 1818 년 2 월 14 일 [a] - 1895 년 2 월 20 일)는 미국의 사회 개혁가, 노예 폐지론자, 웅변가, 작가 및 정치가였습니다. 그는 19 세기 아프리카 계 미국인 민권 운동의 가장 중요한 지도자가되었습니다.
1838년 메릴랜드의 노예 제도에서 탈출한 후 더글러스는 매사추세츠와 뉴욕에서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의 전국 지도자가 되었으며 그의 웅변[4]과 예리한 노예 제도 반대 저술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당시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에 의해 노예 제도 지지자들의 주장에 대한 살아있는 반례로 묘사되었습니다. 노예 제도는 노예 제도가 독립적 인 미국 시민으로 기능할 수있는 지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주장이었습니다. [5] 당시 북부 사람들은 그토록 위대한 웅변가가 한때 노예였다는 사실을 믿기 어려웠다. 이러한 불신에 대한 응답으로 더글러스는 그의 첫 번째 자서전을 썼다. [6]
더글러스는 세 권의 자서전을 썼는데, 그의 저서 《미국 노예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생애에 관한 이야기》(1845)에서 노예로서의 경험을 기술했는데, 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어 노예제도 폐지를 주장하는 데 영향을 미쳤고, 그의 두 번째 책인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1855)도 마찬가지였다. 남북 전쟁 이후 더글러스는 해방 된 노예의 권리를위한 적극적인 운동가였으며 그의 마지막 자서전 인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삶과 시간을 썼습니다. 1881년에 처음 출간되고 그가 죽기 3년 전인 1892년에 개정된 이 책은 그 당시까지의 그의 삶을 다루고 있다. 더글러스는 또한 여성의 참정권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여러 공직을 역임했습니다. 그의 지식이나 동의없이 더글러스는 평등 권리당 티켓에서 빅토리아 우드 헐 (Victoria Woodhull)의 러닝 메이트로 미국 부통령 후보로 지명 된 최초의 아프리카 계 미국인이되었습니다. [7]
더글러스는 인종적, 이데올로기적 분열을 넘어 대화와 동맹을 맺는 것을 믿었으며,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과 결별한 후에도 미국 헌법의 노예제 반대 해석을 믿었습니다. [8] 급진적인 노예제도 폐지론자들이 "노예 소유주와의 연합은 없다"라는 모토 아래 노예 소유주들과 대화에 참여하려는 더글러스의 의지를 비판했을 때, 그는 "나는 옳은 일을 하기 위해 누구와도 단결하고, 잘못을 행하기 위해 누구와도 연합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9]
어린 시절과 노예 생활
프레드릭 오거스터스 워싱턴 베일리는 메릴랜드 주 탤벗 카운티의 체서피크 만 동부 해안에서 노예로 태어났습니다. 농장은 힐스보로와 코르도바 사이에 있었다. [10] 그의 출생지는 Tappers Corner 동쪽과 Tuckahoe Creek 서쪽에 있는 할머니의 오두막[b]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1][12][13] 그의 첫 번째 자서전에서 더글러스는 "나는 내 나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으며, 그것을 포함하는 확실한 기록을 본 적도 없다"고 말했다. [14] 연속적인 자서전에서 그는 자신이 언제 태어났는지에 대해 더 정확한 추정치를 제시했으며, 그의 최종 추정치는 1817년이었습니다. [10] 그러나 Douglass의 전 소유자 인 Aaron Anthony의 현존하는 기록을 바탕으로 역사가 Dickson J. Preston은 Douglass가 1818 년 2 월에 태어났다고 결정했습니다. [2] 그의 정확한 생년월일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는 어머니가 그를 "작은 발렌타인"이라고 불렀던 것을 기억하여 2월 14일을 생일로 축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15]
친가족
더글러스의 노예 어머니는 아프리카 혈통이었고 그의 아버지는 그녀의 주인이었을 수 있으며 분명히 유럽 혈통이었습니다. [16] 그의 내러티브(1845)에서 더글러스는 "내 아버지는 백인이었다"고 썼다. [10] 데이비드 W. 블라이트(David W. Blight)가 2018년에 출간한 더글러스 전기에 따르면, "그는 남은 생애 동안 진정한 아버지의 이름을 찾아 헤맸지만 헛수고였다." [17] 더글러스의 유전적 유산에는 아메리카 원주민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18] 더글러스는 그의 어머니 해리엇 베일리가 그에게 프레드릭 오거스터스 워싱턴 베일리라는 이름을 줬고, 1838년 9월 북부로 탈출한 후 이미 두 개의 중간 이름을 버린 더글라스라는 성을 취했다고 말했다. [19]
그는 훗날 어머니와 함께한 가장 어린 시절에 대해 썼다:[20]
나의 주인이 나의 아버지라는 의견도 속삭였다. 그러나 이 의견이 옳은지에 대해서는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 어머니와 나는 내가 갓난아기였을 때 별거했다. ... 제가 도망쳐 나온 메릴랜드 주에서는 아주 어린 나이에 아이들을 어머니와 헤어 놓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 나는 대낮에 어머니를 본 기억이 없다. 그녀는 밤에 나와 함께 있었다. 그녀는 나와 함께 누워서 나를 재우곤 했지만, 내가 깨어나기 훨씬 전에 그녀는 사라지고 없었다.
언젠가 제가 아는 한 유색인종 소년은 여섯 살 때 어머니와 아버지가 돌아가셨습니다. 그는 노예였고 그를 돌봐 줄 사람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는 오두막의 흙바닥에서 잠을 잤고, 추운 날씨에는 가장 먼저 음식주머니에 들어가 발을 잿더미 속에 넣어 따뜻하게 해 주곤 했다. 그는 종종 옥수수 이삭을 볶아서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먹었고, 여러 번 헛간이나 마구간 밑으로 기어들어가 달걀을 얻어 불에 구워 먹었다.
그 소년은 당신처럼 바지를 입지 않고 견인 린넨 셔츠를 입었습니다. 그는 학교를 알지 못했고, 낡은 웹스터의 철자법책에서 철자를 배우고, 지하실과 헛간 문에 붙은 포스터를 읽고 쓰는 법을 배웠고, 소년들과 남자들이 그를 도와주곤 했다. 그런 다음 그는 설교하고 말하곤 하였으며, 곧 유명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대통령 선거인, 미국 육군 원수, 미국 기록관, 미국 외교관이 되어 약간의 부를 축적했습니다. 그는 넓은 천을 입었고 테이블 아래의 개들과 빵 부스러기를 나눌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 소년은 프레드릭 더글러스였습니다. [23]
조기 학습 및 경험
올드 가족
강제 노동과 노예 제도6살 때 더글러스는 조부모와 헤어져 와이 하우스 농장으로 이사했는데, 그곳에서 아론 앤서니가 감독관으로 일했고[13] 에드워드 로이드가 그의 비공식 주인이었다. [24] 1826 년 앤서니가 사망 한 후, 더글러스는 토마스 올드의 아내 인 루크레티아 올드 (Lucretia Auld)에게 주어졌고, 그는 그를 볼티모어에서 토마스의 형제 휴 올드 (Hugh Auld)와 그의 아내 소피아 올드 (Sophia Auld)에게 봉사하도록 보냈습니다. 그가 도착한 날부터 소피아는 더글러스가 제대로 먹이고 입히고, 시트와 담요가 깔린 침대에서 잠을 잘 수 있도록 보살폈다. [25] 더글러스는 그녀를 친절하고 마음이 부드러운 여인으로 묘사했으며, 그녀는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그를 대했습니다. [26] 더글러스는 자신이 이 도시에 있는 것이 행운이라고 느꼈는데, 그는 노예들이 농장의 사람들에 비해 거의 자유인이었다고 말했다.
더글러스가 12살쯤 되었을 때, 소피아 올드(Sophia Auld)는 그에게 알파벳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휴 올드(Hugh Auld)는 문맹 퇴치가 노예들이 자유를 갈망하도록 부추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과외 교육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훗날 더글러스는 이것을 "처음으로 명백히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강의"라고 불렀다. "'아주 좋다고 생각했다'"고 더글러스는 썼다. '지식은 노예가 되기에 어린아이에게 적합하지 않다.' 나는 본능적으로 그 제안에 동의했고, 그 순간부터 노예에서 자유로 가는 직접적인 길을 이해하게 되었다." [27]
남편의 영향으로 소피아는 교육과 노예 제도는 양립할 수 없다고 믿게 되었고, 어느 날 더글러스에게서 신문을 낚아챘습니다. [28] 그 여자는 아들을 가르치는 일을 완전히 중단하였고, 성서를 포함하여 읽을 만한 모든 자료를 그에게 숨겨 놓았습니다. [25] 더글러스는 그의 자서전에서 이웃의 백인 아이들로부터 그리고 함께 일했던 남자들의 글을 관찰함으로써 어떻게 읽는 법을 배웠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29]
더글러스는 비밀리에 독학으로 읽기와 쓰기를 계속했다. 그는 훗날 "지식은 노예에서 자유로 가는 길"이라고 자주 말했다. [30] 더글러스가 신문, 팜플렛, 정치 자료, 온갖 종류의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이 새로운 사고의 영역은 그로 하여금 노예 제도에 의문을 제기하고 비난하도록 이끌었다. 훗날 더글러스는 12세쯤 발견하게 된 선집 《콜럼버스 웅변가》(The Columbian Orator)가 자유와 인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명확히 하고 정의했다고 인정했다. 1797년에 처음 출판된 이 책은 에세이, 연설 및 대화가 포함된 교실 리더로서 학생들이 읽기와 문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는 나중에 자기 어머니 역시 글을 읽을 줄 알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는 후에 그 점에 대해 이렇게 말하곤 했다.
나는 내가 가지고 있는 편지에 대한 어떤 사랑도 기꺼이 그리고 심지어 행복하게도, 내가 받은 것에 대해―편견에도 불구하고―내가 인정하는 앵글로색슨계 부계 때문이 아니라, 보호받지 못하고 교양이 없는 나의 어머니―정신적 자질을 가진 인종에 속했던 여성―의 타고난 천재성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폄하와 경멸의 대상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31]
윌리엄 프리랜드
더글러스가 윌리엄 프리랜드에게 고용되었을 때, 그는 "결국 일요일에, 때로는 평일 저녁에도 30명 이상의 남자 노예들을 안식일 문맹 퇴치 학교에 모았다." [32]
에드워드 코비
1833년, 토마스 올드(Thomas Auld)는 휴로부터 더글러스를 되찾았다("[a]는 휴를 처벌하는 수단이었다"고 더글러스는 나중에 썼다). 토머스는 더글러스를 "노예 파괴자"로 명성이 자자한 가난한 농부 에드워드 코비(Edward Covey)를 위해 일하도록 보냈다. 그는 더글러스를 너무 자주 채찍질했기 때문에 그의 상처가 치유될 시간이 거의 없었다. 훗날 더글러스는 잦은 채찍질이 그의 몸과 영혼과 영혼을 망가뜨렸다고 말했다. [33] 그러나 16세의 더글러스는 결국 구타에 저항하고 맞서 싸웠다. 더글러스가 물리적 대결에서 승리한 후, 코비는 다시는 그를 때리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34][35]
미국 노예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생애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the Life , American Slave)에서 코비의 농장에서 겪은 구타를 이야기하면서 더글러스는 자신을 "짐승으로 변한 남자"라고 묘사했습니다. [36]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글러스는 코비와의 육체적 싸움이 인생을 바꾸는 것으로 보았고 그의 자서전에서 그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습니다. 너는 노예가 어떻게 사람이 되었는지 보게 될 것이다." [37]
노예 생활에서 탈출
더글러스는 먼저 주인으로부터 자신을 고용한 프리랜드로부터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837년, 더글러스는 볼티모어에서 5살 연상의 자유로운 흑인 여성 애나 머레이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그녀의 자유로운 지위는 그가 자신의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켜 주었다. 머레이는 그를 격려하고 원조와 돈으로 그의 노력을 지원했다. [38]
1838년 9월 3일, 더글러스는 볼티모어의 필라델피아, 윌밍턴, 볼티모어 철도의 북행 열차를 타고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39] 그가 탔던 지역은 이전에는 기차역에서 동쪽으로 가까운 거리로 생각되었으며, 하버 이스트와 리틀 이탈리아의 현대적인 지역 사이에 최근에 개발된 지역이었습니다. 이 서적 보관소는 볼티모어 항구의 "분지" 동쪽, 파탭스코 강의 북서쪽 지류에 있는 프레지던트 스트리트와 플리트 스트리트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에 인용된 연구에 따르면 더글러스는 실제로 더 동쪽에 있는 볼티모어의 캔톤 지역에 있는 보스턴 스트리트에 있는 필라델피아, 윌밍턴, 볼티모어 철도의 캔톤 디포에서 기차를 탔습니다. [40][41][42]
더글러스는 메릴랜드 주 하포드 카운티의 하브 드 그레이스에 도착하여 체서피크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서스케하나 강의 남서쪽 해안을 따라 주의 북동쪽 모퉁이에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그는 메릴랜드-펜실베이니아 주 경계선에서 약 20마일(32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지만, 또 다른 노예 주인 델라웨어를 철도로 통과하는 것이 더 쉬웠다. 머레이가 제공한 선원을 입은 그는 여행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저축한 돈의 일부를 그에게 주었고, 자유로운 흑인 선원에게서 얻은 신분증과 보호 서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38][43][44]
더글러스는 아브르 드 그레이스(Havre de Grace)에서 철도의 증기선을 타고 넓은 사스케하나 강(Susquehanna River)을 건너 세실 카운티(Cecil County)의 반대편 해안에 있는 페리빌(Perryville)에 도착한 다음, 기차를 타고 주 경계선을 가로질러 델라웨어 만의 머리에 있는 큰 항구인 델라웨어 주 윌밍턴(Wilmington)으로 갔다. 거기서 철도가 아직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증기선을 타고 델라웨어 강을 따라 북동쪽으로 더 나아가 노예 제도 반대의 본거지인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의 "퀘이커 교도의 도시"로 갔다. 그는 뉴욕에 있는 노예제도 폐지론자 데이비드 러글스(David Ruggles)의 안전가옥으로 계속 갔다. 자유를 향한 그의 여정은 24시간도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45] 더글러스는 나중에 그가 뉴욕에 도착한 것에 대해 이렇게 썼다.
나는 종종 내가 처음으로 자유로운 땅을 발견했을 때 어떤 기분이 들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그리고 내 독자들도 같은 호기심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보다 더 만족스러운 대답을 할 수 없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새로운 세상이 열린 것이다. 생명이 숨소리와 '빠른 피'보다 더 중요하다면, 나는 노예 생활의 일 년보다 하루 동안에 더 많이 살았다. 그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즐거운 흥분의 시간이었다. 뉴욕에 도착한 지 얼마 안 되어 친구에게 쓴 편지에서, 나는 '굶주린 사자 굴에서 탈출할 때의 심정과 같았다'고 말하였습니다. 고뇌와 슬픔은 어둠과 비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그러나 기쁨과 기쁨은 무지개처럼 펜이나 연필의 기술을 무시합니다. [46]
더글러스가 도착하자마자, 그는 머레이를 시켜 그를 따라 북쪽의 뉴욕으로 가라고 했다. 그녀는 그들이 집을 세울 수 있도록 기본 물품을 가져왔습니다. 그들은 1838년 9월 15일, 더글러스가 뉴욕에 도착한 지 11일 만에 흑인 장로교 목사와 결혼했다. [45] 처음에 그들은 관심을 돌리기 위해 존슨을 결혼 이름으로 채택했습니다. [38]
종교적 견해
더글러스는 어렸을 때 여러 종교 설교를 접했고, 젊었을 때는 소피아 올드가 성경을 읽는 것을 가끔 들었습니다. 이윽고 그는 문맹 퇴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는 성경 구절을 읽고 베껴 쓰기 시작했으며, 결국 기독교로 개종했습니다. [47][48] 그는 그의 마지막 전기인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생애와 시대》에서 이 접근법을 설명했다.
나는 열세 살이 채 되지 않았을 때, 외로움과 궁핍 속에서 아버지와 보호자처럼 내가 갈 수 있는 어떤 사람을 갈망하였다. 핸슨이라는 백인 감리교 목사의 설교는 나로 하여금 하나님 안에 그런 친구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수단이었다. 그는 크든 작든, 노예든 자유인이든, 모든 사람이 하나님 보시기에 죄인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그의 정부에 대항하는 자연스러운 반역자들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이 그들의 죄를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에게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매우 뚜렷한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내가 잘 알고 있는 한 가지는 내가 비참한 존재이며 다른 방식으로 나 자신을 만들 방법이 없다는 것이었다. 나는 찰스 로슨이라는 피부색이 좋은 남자와 상의했는데, 그는 거룩한 애정 어린 어조로 나에게 기도하고 "나의 모든 염려를 하나님께 맡기라"고 말했다. 나는 이것을 행하고자 하였다. 비록 몇 주 동안 저는 가난하고 상심한 마음으로 애도하며 의심과 두려움 속을 헤매고 있었지만, 마침내 제 짐이 가벼워지고 마음이 편안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노예 소유자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인류를 사랑했지만, 노예 제도를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혐오했다. 나는 세상을 새로운 빛으로 보았고, 나의 가장 큰 관심사는 모든 사람이 거듭나는 것이었다.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커졌고, 특히 성서의 내용을 철저히 알고 싶었다. [49][50]
더글러스는 찰스 로슨(Charles Lawson) 목사의 멘토링을 받았으며, 그의 행동주의 초기에 그는 종종 그의 연설에 성경적 암시와 종교적 은유를 포함시켰다. 그는 신자였지만 종교적 위선을 강하게 비판하고[51] 노예 소유주들을 "사악함", 도덕성 부족, 황금률을 따르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이런 의미에서 더글러스는 "그리스도의 기독교"와 "미국의 기독교"를 구별하고 노예 제도를 옹호하는 종교적 노예 소유자와 성직자를 "양의 탈을 쓴 늑대"를 대표하는 모든 사람들 중에서 가장 잔인하고 죄가 많으며 냉소적인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48][52]
더글러스가 로체스터의 코린트식 홀에서 행한 연설인 "노예에게 7월 4일은 무엇인가?"에서,[53] 그는 노예 제도에 대해 침묵하는 종교인들의 태도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목사들이 종교에 의해 승인된 것으로 가르칠 때 "신성 모독"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그는 노예 제도를 지지하기 위해 통과된 법이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가장 심각한 침해 중 하나"라고 생각했으며, 미국 교회 내의 노예 제도를 지지하는 성직자들이 "하나님의 사랑의 아름다움을 박탈하고, 종교의 왕좌를 거대하고 끔찍하며 혐오스러운 형태"와 "하나님 보시기에 가증한 것"으로 남겨 놓았다고 말했다. [51]
존 체이스 로드(John Chase Lord), 레너드 일라이자 래스롭(Leonard Elijah Lathrop), 이카보드 스펜서(Ichabod Spencer), 오빌 듀이(Orville Dewey)와 같은 목사들에 대해, 그는 그들이 성경에 반하여 "우리는 하나님의 법 앞에 사람의 법을 순종해야 한다"고 가르쳤다고 말했다. 그는 더 나아가 "그러나 미국 교회에 대해 말할 때, 나는 우리 땅의 종교 단체 중 대다수를 의미한다는 것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그런 경우가 있음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이 북부 주 전역에 흩어져 있는 고귀한 사람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브루클린의 헨리 워드 비처, 시러큐스의 새뮤얼 제이 메이, 그리고 나의 존경하는 친구 [로버트 R. 레이몬드]." [51]
그는 "이 사람들에게는 높은 종교적 믿음과 열성으로 우리 대오를 고무시키고, 노예를 그의 사슬에서 구속하는 위대한 사명을 위해 우리를 격려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종교인들에게 노예제도 폐지론을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면서 "종교 언론, 설교단, 주일학교, 컨퍼런스 모임, 이 땅의 위대한 교회, 선교, 성경 및 소책자 협회가 노예 제도와 노예 소유에 대항하여 그들의 막강한 힘을 발휘하도록 하라. 그리고 범죄와 피의 전체 제도는 바람에 흩어질 것이다." [51]
1846년에서 1848년 사이에 영국을 방문하는 동안, 더글러스는 영국 기독교인들에게 노예 제도를 허용하는 미국 교회를 절대 지지하지 말라고 요청했고,[54] 그는 벨파스트의 목사 그룹이 노예 소유자를 교회 회원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는 것을 알고 기뻐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더글러스는 "옳은 것은 성별이 없고, 진리는 색깔이 없으며, 하나님은 우리 모두의 아버지이시고, 우리는 모두 형제이다"라는 모토를 가진 주간 간행물인 노스 스타를 창간했습니다. 1848년 "토마스 올드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더글러스는 더글라스의 가족을 문맹으로 방치한 그의 전 노예 소유주를 비난했다.
이 점에서 너희의 동료 피조물들에게 저지르는 너희의 사악함과 잔인함은 너희가 내 등이나 그들의 등에 씌운 모든 채찍질보다 더 크다. 그것은 영혼에 대한 분노이며, 불멸의 영에 대한 전쟁이며, 너희는 우리 공통의 아버지이신 창조주의 심판대에서 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55]
때때로 비 종파 해방 신학의 선구자로 간주되는 더글러스 (Douglass)는 그의 집이 계속 보여주듯이 매우 영적인 사람이었습니다. 벽난로 맨틀에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두 철학자인 예수의 생애의 저자인 다비드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David Friedrich Strauss)와 기독교의 본질(The Essence of Christianity)의 저자인 루드비히 포이어바흐(Ludwig Feuerbach)의 흉상이 있습니다. 도서관에 있는 여러 성경과 다양한 종교에 관한 책 외에도 천사와 예수의 이미지, 워싱턴 메트로폴리탄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의 내부 및 외부 사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58] 더글러스는 일생 동안 그 개인적인 경험을 사회 개혁과 연결시켰으며, 존 스타우퍼에 따르면 다른 기독교 노예 폐지론자들과 마찬가지로 담배, 알코올 및 몸과 영혼을 타락시킨다고 믿는 기타 물질을 금하는 것과 같은 관행을 따랐습니다. [59] 더글러스는 자신이 티토탈러라고 스스로 밝혔다. [60] 그러나 데이비드 W. 블라이트에 따르면 "더글러스는 시가를 사랑했고" 오틸리 아싱으로부터 시가를 선물로 받았습니다. [61]
더글러스는 일리노이 주 피오리아에서 만난 불가지론자 웅변가 로버트 잉거솔(Robert G. Ingersoll)을 칭찬하면서 "진정한 선함은 교회 안팎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하며, '불신자'가 되는 것은 그 사람이 이기적이고 비열하고 악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주의자가 되는 것이 그가 정직하고 공정하며 인간적임을 증명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어쩌면 그 당시 피오리아에는 기독교 목사들과 기독교 가정들이 있었을지도 모르며, 그들에 의해 나도 그와 같은 은혜로운 태도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전에 이곳을 방문했을 때 나는 그들을 만나지 못했다." [62]
가정 생활
추가 정보: Douglass family
더글러스와 안나 머레이는 로제타 더글라스, 루이스 헨리 더글라스, 프레드릭 더글라스 주니어, 찰스 레몬드 더글라스, 애니 더글라스(10세에 사망)의 다섯 자녀를 두었다. 찰스와 로제타는 그의 신문 제작을 도왔다.
애나 더글러스는 남편의 공개 활동을 충실히 지원했다. 줄리아 그리피스 (Julia Griffiths)와 오틸리 아싱 (Ottilie Assing)과의 관계는 그가 전문적으로 관여 한 두 여성과의 관계로 인해 반복되는 추측과 스캔들을 일으켰습니다. [63] 아싱은 독일에서 이민 온 지 얼마 안 된 기자로, 1856년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를 독일어로 번역할 수 있도록 허락을 구하기 위해 더글러스를 처음 방문했다. 1872년까지 그녀는 그의 "지적이고 감정적인 동반자"로서 "한 번에 몇 달 동안" 그의 집에 자주 머물렀다. [64]
애싱은 애나 더글러스를 "완전한 경멸"로 여겼고, 더글러스가 아내와 헤어지기를 헛되이 바랐다. 더글러스 전기 작가 데이비드 W. 블라이트(David W. Blight)는 애싱과 더글러스가 "아마도 연인이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64] 더글러스와 아싱은 친밀한 관계를 가졌다고 널리 믿어지고 있지만, 살아남은 서신에는 그러한 관계에 대한 증거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65]
안나는 1882년에 사망했다. 1884년 더글러스는 뉴욕 호네오이 출신의 백인 참정권 운동가이자 노예 제도 폐지론자인 헬렌 피츠와 결혼했다. 피츠는 노예제 폐지론자의 동료이자 더글라스의 친구인 기드온 피츠 주니어의 딸이었다. 마운트 홀리요크 대학(당시에는 마운트 홀리요크 여성 신학교라고 불렸음)을 졸업한 피츠는 워싱턴 D.C.에 살면서 알파(Alpha)라는 급진적 페미니스트 출판물에서 일했다. 그녀는 나중에 더글러스의 비서로 일했습니다. [66]
우울증을 앓고 있었고 불치의 유방암 진단을 받은 아싱은 결혼 소식을 듣고 1884년 프랑스에서 자살했다. [67] 그녀가 사망하자 Assing은 Douglass에게 $13,000의 신탁 기금(2023년 $441,000에 해당), "큰 앨범" 및 그녀의 도서관에서 선택한 책을 남겼습니다. [68]
Douglass와 Pitts의 결혼은 Pitts가 백인이었고 거의 20 살보다 어렸기 때문에 논란의 폭풍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가족 중 많은 사람들이 그녀에게 말을 걸지 않았다. 그의 자녀들은 그 결혼을 어머니에 대한 거부로 여겼다. 하지만 페미니스트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튼(Elizabeth Cady Stanton)은 이 커플을 축하했다. [69] 더글러스는 그의 첫 번째 결혼은 누군가에게는 어머니의 색깔이었고, 두 번째 결혼은 아버지의 색깔이었다고 말함으로써 비판에 대응했다. [70]
경력
노예 제도 폐지론자이자 설교자
추가 정보: 매사추세츠주 뉴베드포드의 노예제도 폐지론
프레드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와 안나 머레이 더글러스(Anna Murray Douglass)는 1838년 매사추세츠 주 뉴베드포드(노예 제도 폐지론자 센터)에 정착하여 1841년 매사추세츠 주 린으로 이사했습니다. [71] 네이선 존슨과 메리 존슨을 만나 함께 지낸 후, 그들은 더글러스를 결혼 이름으로 채택했습니다. [38] 더글러스는 베일리라는 어머니의 성을 사용하여 자랐습니다. 노예 생활에서 탈출한 후 그는 성을 처음에는 스탠리로, 그 다음에는 존슨으로 바꿨습니다. 뉴 베드 포드 (New Bedford)에서 후자는 너무 흔한 이름이었기 때문에 더 독특한 이름을 원했고 네이선 존슨 (Nathan Johnson)에게 적절한 성을 선택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네이선은 월터 스콧 (Walter Scott)의 호수의 여인 (The Lady of the Lake)시를 읽은 후 "더글라스"를 제안했습니다. [72][73]
더글러스는 백인 감리교회에 가입할 생각이었지만, 그 교회가 인종 차별 정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처음부터 실망했다. 나중에 그는 뉴욕 시에 처음 설립된 독립적인 흑인 교단인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시온 교회에 가입했는데, 그 교인 중에는 소저너 트루스와 해리엇 터브먼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74] 그는 1839년에 설교자 자격증을 취득했는데,[75] 이는 그의 웅변 기술을 연마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청지기, 주일학교 교육감, 머슴 등 다양한 직책을 맡았습니다. 1840년, 더글러스는 뉴욕의 엘미라에서 연설을 했는데, 그 곳은 당시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Underground Railroad)의 역이었으며, 몇 년 후 흑인 교회가 형성되어 1940년에 이르러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교회가 되었다. [58]
더글러스는 또한 뉴베드포드의 여러 단체에 가입했고 정기적으로 노예제도 폐지론자 모임에 참석했다. 그는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William Lloyd Garrison)의 주간지인 해방자(The Liberator)를 구독했다. 그는 훠말에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의 얼굴과 몸가짐이 [노예 제도에 대한 증오의] 감정을 그토록 강하게 불러일으킨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 영향은 너무나 깊었기 때문에 더글러스는 그의 마지막 자서전에서 "그의 논문은 내 마음에서 성경 다음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고 말했습니다. [76]
개리슨도 마찬가지로 더글러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고, 일찍이 1839년에 그의 반식민지 입장에 대해 《해방자》에 글을 썼다. 더글러스는 1841년 개리슨이 뉴베드포드의 리버티 홀에서 행한 강연에서 개리슨의 연설을 처음 들었다. 또 다른 모임에서, 더글러스는 뜻밖에도 연사로 초대되었다.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 후, 더글러스는 노예 제도 반대 강사가 되라는 격려를 받았습니다. 며칠 후, 더글러스는 낸터킷에서 열린 매사추세츠 반노예 협회(Massachusetts Anti-Slavery Society)의 연례 회의에서 연설했다. 그 후 23세가 된 더글러스는 초조함을 극복하고 노예로서의 생활에 대해 유창한 연설을 하였습니다.
린에 사는 동안, 더글러스는 일찍부터 인종 차별적인 교통 수단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 1841년 9월, 린 센트럴 스퀘어 역에서 더글러스와 그의 친구 제임스 N. 버퓸은 더글러스가 인종 차별이 심한 객차에 앉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동부 철도 열차에서 쫓겨났다. [71][77][78][79]
1843년, 더글러스는 미국 노예제도 반대 협회(American Anti-Slavery Society)의 "100개 협약(Hundred Conventions)" 프로젝트에 다른 연사들과 합류하여 미국 동부와 중서부 전역의 회의장을 6개월 동안 순회했습니다. 이 투어 동안 노예 제도 지지자들은 종종 더글라스를 따라갔습니다. 인디애나 주 펜들턴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성난 폭도들이 더글러스를 쫓아가 구타하다가, 그 지역의 퀘이커 교도 가족인 하디스 가족이 더글러스를 구출했다. 그의 손은 공격으로 부러졌다. 그것은 부적절하게 치유되었고 그의 남은 생애 동안 그를 괴롭혔다. [80] 펜들턴 역사 지구(Pendleton Historic District)의 폴스 파크(Falls Park)에 있는 돌 마커는 이 행사를 기념합니다.
1847년, 더글러스는 개리슨에게 "나는 미국에 대한 사랑이 없다. 나는 애국심이 없다. 나는 나라가 없다. 나는 어느 나라에 있습니까? 이 나라의 기관들은 나를 알지 못한다 – 나를 남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81]
자서전
더글라스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그의 첫 번째 자서전인 미국 노예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생애에 대한 이야기로, 매사추세츠 주 린에서 그의 시간 동안 쓰여졌으며 [82] 1845 년에 출판되었습니다. 당시 일부 회의론자들은 흑인이 그토록 설득력 있는 문학 작품을 만들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 책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출간되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3년도 채 안 되어, 그 책은 아홉 번이나 재인쇄되었고, 미국에서 1만 1000부가 발행되었다. 또한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로 번역되어 유럽에서 출판되었습니다.
더글러스는 그의 생애 동안 세 권의 자서전을 출판했고(이 중 세 번째 자서전을 개정했다), 매번 이전 자서전을 확장했다. 1845년 내러티브는 그의 가장 큰 판매고였으며 아마도 아래에서 논의되는 것처럼 다음 해에 법적 자유를 얻기 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해주었을 것입니다. 1855년, 더글러스는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를 출간했다. 1881 년 60 대에 더글러스는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생애와 시대를 출판했으며 1892 년에 개정했습니다.
아일랜드와 영국 여행
더글러스의 친구들과 멘토들은 이 사실이 알려지면 그의 전 소유주인 휴 올드(Hugh Auld)의 관심을 끌게 될까 봐 두려워했다. 그들은 더글러스에게 많은 전직 노예들이 그랬던 것처럼 아일랜드를 여행하도록 격려했다. 더글러스는 1845년 8월 16일 캄브리아호를 타고 영국 리버풀로 항해를 떠났다. 그는 대기근이 시작되던 시기에 아일랜드를 여행했다.
11일 반이 지났고, 나는 3천 마일의 위험한 심해를 건넜다. 나는 민주 정부 대신에 군주제 정부 아래 있다. 미국의 밝고 푸른 하늘 대신, 나는 에메랄드 섬[아일랜드]의 부드러운 회색 안개로 뒤덮여 있다. 나는 숨을 쉬고, 보라! 샤텔[노예]은 남자가 된다. 나는 나의 동등한 인간성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나를 그의 노예라고 주장하거나, 나에게 모욕을 줄 사람을 헛되이 둘러보고 있다. 나는 택시를 탔음-나는 백인들 옆에 앉았음-나는 호텔에 도착했음-나는 같은 문으로 들어갔음-나는 같은 응접실로 안내되었음-나는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였음-아무도 기분이 상하지 않았음.... 나는 매 순간 백인들에게 베푸는 친절과 존경으로 존중받고 대접받는다. 내가 교회에 갈 때면, 코를 치켜들고 경멸하는 듯한 입술을 내밀며 나에게 '우리는 여기에 깜둥이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더글러스는 더블린에서 겪은 극심한 빈곤에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 그 중 많은 부분이 노예 시절의 경험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William Lloyd Garrison)에게 보낸 편지에서 더글러스는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여기에서 나의 이전 상태를 상기시키는 많은 것을 보았고, 나는 미국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하지만, 나는 인류의 대의가 전 세계에 걸쳐 하나라는 것을 알고 있음을 고백한다. 미국 노예에 대해 정말로 그리고 진정으로 느끼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불행에 대해 그의 마음을 굳게 할 수 없다. 그리고 자신을 노예제도 폐지론자라고 생각하면서도 다른 사람들의 잘못에 동참할 수 없는 사람은 노예제도 반대에 대한 그의 신앙을 위한 참된 기초를 아직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84]
그는 또한 아일랜드 민족주의자이자 투쟁적인 노예제 폐지론자인 다니엘 오코넬을 만나 친구가 되었는데,[85][86] 그는 큰 영감을 주었다. [87][88]
더글러스는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2년을 보내며 교회와 예배당에서 강의를 했다. 그의 무승부는 일부 시설이 "질식할 정도로 붐볐다"는 정도였습니다. 한 가지 예는 더글러스가 1846 년 5 월 알렉산더 플레처 (Alexander Fletcher)의 핀스 베리 채플 (Finsbury Chapel)에서 한 매우 인기있는 런던 환영 연설이었습니다. 더글러스는 영국에서 그가 "피부색이 아니라 남자"로 대우 받았다고 말했다. [89]
1846년, 더글러스는 영국의 마지막 생존 노예제도 폐지론자 중 한 명인 토머스 클락슨을 만났는데, 그는 영국 식민지에서 노예제도를 폐지하도록 의회를 설득했다. [90] 이 여행 동안 더글러스는 안나 리처드슨과 그녀의 처제 엘렌 뉴캐슬 어폰 타인이 이끄는 영국 지지자들이 미국인 소유주 토마스 올드로부터 그의 자유를 사기 위해 기금을 모으면서 법적으로 자유로워졌습니다. [89][91] 많은 지지자들은 더글러스가 영국에 남을 것을 격려하려고 했지만 그의 아내는 여전히 매사추세츠에 있고 300만 명의 흑인 형제들이 미국에 속박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는 다니엘 오코넬이 사망한 직후인 1847년 봄에 미국으로 돌아왔다. [92]
21세기에는 더글라스의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코크와 워터포드, 아일랜드, 런던의 건물에 역사적인 명판이 설치되었습니다: 첫 번째는 코크의 임페리얼 호텔에 있으며 2012년 8월 31일에 공개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2013 년 10 월 7 일에 공개 된 Waterford City Hall의 외관에 있습니다. 그것은 1845 년 10 월 9 일에 그의 연설을 기념합니다. [93] 세 번째 명판은 런던의 사우스 켄싱턴 (South Kensington)에있는 넬 그윈 하우스 (Nell Gwynn House)를 장식하고 있으며, 더글러스 (Douglass)가 영국의 노예 폐지 주의자 조지 톰슨 (George Thompson)과 함께 머물렀던 초기 집의 부지에 있습니다. [94] 2023년 7월 31일, 유럽 최초의 그의 동상이 벨파스트의 하이 스트리트에서 공개되었습니다. [95]
더글러스는 스코틀랜드에서 시간을 보냈고 "스코틀랜드의 노예 제도 반대 요원"으로 임명되었습니다. [96] 그는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고 미국에 편지를 썼다. 그는 에든버러라는 도시가 우아하고 웅장하며 매우 환영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의 체류에 중요했던 도시의 장소의지도는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97][98] 에든버러의 33 Gilmore Place에 있는 명판과 벽화는 1846년에 그가 그곳에 머물렀음을 나타냅니다.
"[2021년에는]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19세기 아일랜드 여행과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다양한 협업 프로젝트가 현재 진행 중입니다." [99]
미국으로 귀국한다. 노예 제도 폐지 운동
1847년 미국으로 돌아온 후, 잉글랜드 지지자들이 준 500파운드(2023년 기준 57,716달러에 해당)를 사용하여,[89] 더글러스는 뉴욕 로체스터에 있는 메모리얼 AME 시온 교회 지하실에서 그의 첫 번째 노예제 폐지론자 신문인 노스 스타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100] 원래는 피츠버그의 기자인 마틴 델라니(Martin Delany)가 공동 편집장이었지만 더글러스는 그가 충분한 구독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느꼈고, 결국 그들은 헤어졌다. [101][페이지 필요] 북극성의 모토는 "옳은 것은 성별이 없다 – 진리는 색깔이 없다 – 하나님은 우리 모두의 아버지이시고, 우리는 모두 형제이다"였다. [102] AME 교회와 노스 스타는 백인이 대부분인 미국 식민지 협회(American Colonization Society)와 자유 흑인을 아프리카로 보내자는 제안에 대한 자유민 공동체의 격렬한 반대에 동참했다. 더글러스는 또한 Underground Railroad에 참여했습니다. 그와 그의 아내는 400명이 넘는 도망 노예들에게 그들의 집에서 숙박과 자원을 제공했다. [102]
더글러스는 또한 곧 개리슨과 갈라섰는데, 그는 개리슨이 미국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행동을 지지할 의사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03] 일찍이 더글러스는 헌법이 노예제를 지지한다는 개리슨의 입장에 동의했는데, 그 이유는 노예 수의 60%가 의회 의석을 배분할 목적으로 "자유인의 전체 수"[104]에 추가된다는 타협안인 5분의 3 조항 때문이었다. 1807 년까지 국제 노예 무역의 보호. 개리슨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위해 헌법 사본을 불태웠다. 그러나 라이샌더 스푸너(Lysander Spooner)는 노예제도 폐지를 위한 문서로서 미국 헌법을 검토한 《노예제도의 위헌성(The Unconstitutionality of Slavery)》(1846)을 출간했다. 헌법에 대한 더글러스의 견해 변화와 1847년경 개리슨과의 결별은 노예제 폐지 운동의 가장 주목할만한 분열 중 하나가 되었다. 더글러스는 헌법이 노예제도에 대항하는 투쟁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되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개리슨을 화나게 했다. [105]
1851년 7월 24일, "그의 의견 변화를 발표한 직후", 더글러스는 "미국 헌법은 노예제도를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라는 제목의 연설을 했다. [106] 그는 1860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미합중국 헌법: 노예제를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자신의 변화된 견해를 다시 표현했다. 그 연설에서 그는 "내가 노예 상태에서 탈출하여 주둔군을 소개받았을 때, 나는 그들의 의견을 매우 많이 받아들였다.... 나는 어렸고, 읽은 것은 거의 없었으며, 자연히 어떤 것들은 믿고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 후의 독서와 경험은 "나에게 다른 결론을 가져다 주었다". 그는 이제 개리슨이 주장했던 "미합중국의 해체"가 "노예 제도를 노예 소유 주들의 보다 독점적인 통제 아래 두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덧붙여, "개리슨 씨와 그의 친구들은 우리에게 연방에 있는 동안 노예제도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나는 연방을 탈퇴한다고 해서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북부 주(州)에 사는 미국인들은 흑인들을 노예로 삼는 데 일조해 왔다. 그들이 약탈한 권리를 돌려줄 때까지 그들의 의무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 [107]
전 주인에게 보내는 편지
1848년 9월, 탈출 10주년을 맞아 더글러스는 그의 전 주인인 토마스 올드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을 발표하여 그의 행동을 질책하고 여전히 올드에 억류되어 있는 그의 가족 구성원들을 물었다. [108][109] 편지가 진행되는 동안 더글러스는 격식을 차리고 절제된 것에서 친숙한 것으로, 그리고 열정적인 것으로 능숙하게 전환한다. 한때 그는 자랑스러운 부모가 되어 자신의 개선된 상황과 자신의 어린 네 자녀들의 발전을 설명합니다. 그러나 그는 극적으로 어조를 바꾼다.
오! 각하, 노예 소유주가 제 사랑하는 자녀들을 생각하고 바라볼 때만큼 완전히 지옥의 대행자로 보이는 적은 결코 없습니다. 그때 내 감정이 통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올라간다. ... 노예 제도의 섬뜩한 공포가 내 앞에 무서운 공포 속에서 솟아오르고, 수백만의 울부짖음이 내 심장을 찌르고, 내 피를 차갑게 식힌다. 나는 쇠사슬, 재갈, 피비린내 나는 채찍, 족쇄에 묶인 노예의 부서진 영혼을 뒤덮는 죽음 같은 우울함, 아내와 아이들로부터 찢겨져 시장에서 짐승처럼 팔려가는 끔찍한 책임을 기억한다. [55]
생생한 구절에서 Douglass는 Auld에게 Douglass가 그의 딸 Amanda를 노예로 데려가 그와 그의 가족 구성원이 Auld에게 대우받은 방식으로 그녀를 대한다면 어떻게 느낄지 물었습니다. [108][109] 그러나 더글러스는 그의 결론에서 "개인적으로 그에 대한 악의는 없다"고 말하면서 그의 집중력과 자비를 보여주며, "당신이 내 지붕 아래에서 나보다 더 안전할 수 있는 지붕은 없으며, 내 집에는 당신이 편안함을 위해 필요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나는 그것을 쉽게 허락하지 않을 것입니다. 참으로, 나는 인류가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당신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을 특권으로 여겨야 합니다." [55]
여성의 권리
1848년, 더글러스는 뉴욕 주 북부에서 열린 최초의 여성 권리 협약인 세네카 폴스 협약에 참석한 유일한 흑인이었다. [110][111]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튼(Elizabeth Cady Stanton)은 의회의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켜 줄 것을 요청했다. [112]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그 생각에 반대하였는데, 그 중에는 영향력 있는 퀘이커 교도인 제임스와 루크레티아 모트도 있었다. [113] 더글러스는 일어서서 여성의 참정권을 옹호하는 유창한 연설을 했다. 그는 여성도 그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면 흑인 남성으로서 투표권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여성이 정치 영역에 참여한다면 세상은 더 나은 곳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부에 참여할 수 있는 이러한 권리의 거부는 단지 여성의 타락과 거대한 불의의 영속화가 발생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세계 정부의 도덕적, 지적 힘의 절반을 불구로 만들고 거부하는 결과를 낳는다. [113]
더글러스의 힘찬 말이 있은 후, 참석자들은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113][114]
세네카 폴스 협약(Seneca Falls Convention)의 여파로 더글러스는 노스 스타(The North Star)의 사설을 통해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회의의 "현저한 능력과 위엄"을 회상하고, 당시의 회의와 페미니즘 사상의 몇 가지 주장을 간략하게 전달했다.
첫 번째 사례에서 더글러스는 의견 불일치에 직면하여 참가자들의 "예의"를 인정했습니다. 나머지 시간에는 회의에서 나온 주요 문서인 '감정 선언', 그리고 '유아적' 페미니즘 운동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여성의 권리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다: "동물의 권리에 대한 논의는 소위 우리 땅의 지혜롭고 선한 사람들이라고 불리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훨씬 더 안일하게 여겨질 것이다." [115] 그는 또한 노예제 폐지론과 페미니즘 사이의 연결고리, 공동체 간의 중복에 주목했다.
저명한 신문의 편집인으로서의 그의 견해는 무게를 지녔으며, 그는 북극성의 입장을 명백히 밝혔다: "우리는 여성이 남성에 대해 요구하는 모든 것에 대해 정당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회가 끝난 지 일주일 후에 쓰여진 이 편지는 그 신문의 슬로건인 "옳은 것은 성(性)이 없다"의 첫 부분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남북전쟁 이후 흑인 남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수정헌법 제15조가 논의되고 있을 때, 더글러스는 스탠턴이 이끄는 여성 인권 운동의 분파와 결별했다. 더글러스는 흑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수정안을 지지했다. 스탠턴은 제15차 수정헌법이 흑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확대하는 것을 제한했기 때문에 반대했다. 그녀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여성의 투표권을 위한 대의가 수십 년 동안 지연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스탠턴은 미국 여성과 흑인 남성이 단결하여 보통선거권을 위해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 문제를 분열시키는 어떤 법안에도 반대했다. [116] 더글러스와 스탠턴은 여성의 투표권에 대한 남성의 지지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흑인 남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수정안이 1860년대 후반에 통과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스탠턴은 여성의 참정권을 흑인 남성의 참정권과 결부시켜 자신의 대의가 성공할 수 있기를 바랐다. [117]
더글러스는 그러한 전략이 너무 위험하여 흑인 남성의 참정권에 대한 지지가 거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여성의 참정권이라는 대의를 흑인 남성의 참정권과 연결시키면 양쪽 모두에게 실패를 초래할 것을 두려워했다. 더글러스는 아버지, 남편, 형제와의 사회적 관계로 이미 힘을 얻은 백인 여성들이 적어도 대리적으로는 투표권을 가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흑인 남성이 투표권을 갖게 되면 흑인 여성도 백인 여성과 같은 정도의 권한을 갖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117] 더글러스는 미국 여성들에게 자신은 한 번도 여성의 투표권에 반대하는 주장을 한 적이 없다고 장담했다. [118]
이데올로기적 세련미
1850년, 더글러스는 미국 최초의 흑인 노동 조합인 미국 유색인 노동 연맹(American League of Colored Laborers)의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는데, 이 연맹의 설립을 도왔다. [119] 한편, 1851년에 그는 북극성을 게릿 스미스의 자유당 논문과 병합하여 프레드릭 더글러스의 논문을 만들었으며,[120] 1859년까지 출판되었다. [121]
1852년 7월 5일, 더글러스는 코린티안 홀에서 열린 로체스터 여성 노예 제도 반대 협회(Rochester Ladies' Anti-Slavery Society)가 주최한 모임에서 연설을 했다. 이 연설은 결국 "노예에게 7월 4일은 무엇인가?"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한 전기 작가는 그 연설을 가리켜 "아마도 이제까지 행해진 가장 위대한 노예 제도 반대 연설일 것"이라고 불렀습니다. [122] 1853년, 그는 로체스터에서 열린 급진적인 노예제도 폐지론자인 전국 아프리카계 미국인 회의(National African American Convention)의 저명한 참석자였다. 더글러스는 "우리의 공통된 대의에 대한 주장"(The Claims of Our Common Cause)이라는 제목으로 발행된 미합중국 국민을 위한 대회 연설에 이름이 붙여진 다섯 사람 중 한 사람이었다. 나머지 네 명은 아모스 노에 프리먼, 제임스 먼로 휫필드, 헨리 오 웨고너, 조지 보이어 바숀이었다. [123]
많은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과 마찬가지로 더글러스는 교육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삶을 개선하는 데 중요하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일찍부터 학교 차별 철폐를 주창했다. 1850년대에 더글러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어린이를 위한 뉴욕의 시설과 교육이 유럽계 미국인을 위한 것보다 훨씬 열등하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더글러스는 모든 학교를 모든 아이들에게 개방하기 위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교육 제도 내에서의 완전한 포용이 참정권과 같은 정치적 문제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더 시급한 요구라고 말했다.
존 브라운
참고: 쉴드 그린
1859년 3월 12일, 더글러스는 디트로이트에 있는 윌리엄 웹의 집에서 급진적인 노예제도 폐지론자인 존 브라운, 조지 드밥티스트 등을 만나 노예 해방에 대해 논의했다. [124] 더글러스는 브라운이 하퍼스 페리 습격을 지휘하기 두 달 전에 그의 집을 방문했을 때 브라운을 다시 만났다. 브라운은 더글러스와 함께 2주 동안 머무는 동안 임시 헌법을 썼다. 또한 더글러스와 1년 이상 함께 지낸 쉴즈 그린(Shields Green)은 도망자 노예였는데, 더글러스는 종종 그랬던 것처럼 그를 돕고 있었다.
습격 직전에 더글러스는 그린을 데리고 로체스터에서 뉴욕 시를 거쳐 브라운의 통신 본부가 있는 펜실베이니아 주 챔버스버그로 갔다. 그곳에서 흑인들은 그를 알아보았고, 그들은 그에게 강연을 요청했다. 더글러스는 그의 유일한 주제는 노예 제도라고 말했지만 동의했습니다. 그린도 그와 함께 무대에 올랐다. 브라운은 무명으로 관객석에 앉아 있었다. 한 백인 기자는 "깜둥이 민주주의"를 언급하면서 "악명 높은 흑인 웅변가"의 "불타는 연설"이라고 불렀다. [125]
그곳, 비밀을 지키기 위해 버려진 채석장에서 더글러스와 그린은 브라운과 존 헨리 카기를 만나 습격에 대해 논의했다. 더글러스의 표현을 빌리자면, "낮과 밤"에 걸친 토론이 계속된 후, 그는 선교가 자살적이라고 생각하여 그와 함께하기를 거부함으로써 브라운을 실망시켰다. 놀랍게도, 그린은 더글라스와 함께 로체스터로 돌아가는 대신 브라운과 함께 갔다. 앤 브라운은 그린이 그녀에게 더글러스가 돌아올 때 돈을 주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지만, 데이비드 블라이트는 이것을 "현실이라기보다는 사후 괴로움에 훨씬 더 가깝다"고 말했다. [126]
이 사건에 대해 알려진 거의 모든 것은 더글라스에 의해 나온 것이다. 그것은 존 브라운과 동행하지 않고 그의 인생의 전환점으로서 그리고 그의 대중적 이미지에서의 중요성 모두에서 그에게 매우 중요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 만남은 더글러스에 의해 20년 동안 공개되지 않았다. 그는 1881년 Storer College에서 John Brown에 대한 연설에서 처음으로 이를 밝혔는데, 흑인이 맡고 있는 Storer의 John Brown 교수직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모으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그는 그의 마지막 자서전에서 다시 한 번 그것을 충격적으로 언급했다.
1859년 10월 16일과 18일 사이에 있었던 습격 이후, 더글러스는 브라운을 지지했다는 혐의와 충분히 지지하지 않았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127] 그는 버지니아 영장에 의해 거의 체포될 뻔했고,[128][129][130] 잠시 동안 캐나다로 도주한 후 이전에 계획된 강연 여행을 위해 영국으로 가서 11월 말쯤에 도착했다. [131] 1860년 3월 26일, 더글러스는 영국 순회 강연 중에 글래스고에서 열린 스코틀랜드 노예 제도 반대 협회(Scottish Anti-Slavery Society)에서 "미합중국 헌법: 노예제를 찬성하는가, 노예제를 반대하는가?"라는 연설을 통해 미국 헌법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했다. [132] 같은 달 13일, 더글러스의 막내딸 애니가 10세의 나이로 뉴욕주 로체스터에서 사망했다. 더글러스는 그 다음 달에 영국에서 배를 타고 돌아왔는데, 발각을 피하기 위해 캐나다를 경유했다.
몇 년 후인 1881년, 더글러스는 브라운의 유죄 판결과 사형을 이끌어낸 검사인 앤드류 헌터와 함께 하퍼스 페리의 스토어러 칼리지에서 무대에 섰다. 헌터는 더글러스에게 축하 인사를 건넸다. [133]
사진술
더글러스는 노예 제도와 인종 차별을 종식시키는 데 사진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사진이 많은 인종 차별적 캐리커처, 특히 블랙 페이스 민스트럴시에 대한 훌륭한 대응책이기 때문에 카메라가 인종 차별 주의자 백인의 손에 거짓말을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는 19세기 미국인으로서 가장 사진이 많이 찍힌 사람으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발전시키기 위해 의식적으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134][135] 그는 특히 행복한 노예에 대한 인종 차별적 캐리커처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결코 미소를 짓지 않았습니다. 그는 카메라를 똑바로 바라보며 엄한 눈빛으로 관객을 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136][137]
남북 전쟁 기간
남북전쟁 이전
남북 전쟁 당시, 더글러스는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흑인 중 한 명이었으며, 흑인 인종의 조건과 여성의 권리와 같은 다른 문제에 대한 연설로 유명했습니다. 그의 웅변은 곳마다 군중을 모았다. 영국과 아일랜드의 지도자들로부터 그의 환영을 받으면서 그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
그는 그의 친구이자 지지자인 게릿 스미스(Gerrit Smith)의 하원의원 후보로 진지하게 제안되었으나, 스미스는 1854년 그의 임기가 끝난 후 다시 출마하기를 거부했다. [138][139] 스미스는 그에게 출마하지 말 것을 건의했는데, 그 이유는 의회 의원들의 "격렬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140] 그 가능성은 "어떤 사람들은 경련으로, 다른 사람들은 공포로, 더 나아가 극도로 선별적이고 신경질적인 언어의 놀라운 흐름으로 괴롭혔"으며, "온갖 종류의 언어적 거대함을 분출"했다. [141] 만약 하원이 그를 앉히는 데 동의한다면,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남부의 모든 의원들이 퇴장할 것이고, 따라서 나라는 결국 분열될 것이었다. [139][142] 15차 헌법 수정안이 통과된 직후인 1870년까지 흑인은 의회에서 일하지 않았다.
해방과 참정권을 위한 투쟁
더글러스와 노예제도 폐지론자들은 남북전쟁의 목표가 노예제도를 종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자유를 위한 투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글러스는 그의 신문과 여러 연설에서 이러한 견해를 공표했다. 링컨이 마침내 흑인 병사들이 북군에 복무할 수 있게 하자, 더글러스는 1863년 3월 21일에 그의 유명한 저서 《흑인들을 무기로!》(Men of Color to Arms!)를 출간하면서 흑인 병사들을 모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43] 그의 장남 찰스 더글러스는 제54 매사추세츠 보병 연대에 입대했으나 복무 기간 중 상당 부분을 아파했다. [75] 루이스 더글러스 (Lewis Douglass)는 포트 와그너 전투 (Battle of Fort Wagner)에서 싸웠습니다. [144] 또 다른 아들인 프레드릭 더글러스 이세도 신병 모집 담당자로 일했다.
북부가 더 이상 노예를 남부의 주인에게 돌려줄 의무가 없게 되자, 더글러스는 국민의 평등을 위해 싸웠다. 더글러스는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과 흑인 병사에 대한 처우와 [145] 해방된 노예들을 남부에서 이주시키는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1863년 1월 1일에 발효된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 선언은 남부 연합 점령 지역의 모든 노예의 자유를 선언했습니다. (연방이 점령한 지역의 노예들은 헌법에 따라 전쟁 수단으로만 허용되었기 때문에 노예들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들은 1865년 12월 6일 제13차 헌법 수정안이 채택됨에 따라 해방되었다.) 더글러스는 선언문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정신을 이렇게 묘사했다: "우리는 마치 하늘에서 떨어지는 화살처럼 기다리며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우리는 지켜보고 있었다 ... 새로운 날의 새벽을 위해 별의 희미한 빛으로 ... 우리는 수 세기 동안 고통에 찬 기도에 대한 응답을 간절히 바랐습니다." [146]
18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더글러스는 노예제 폐지론자인 급진민주당(Radical Democracy Party)의 후보였던 존 C. 프레몬트(John C. Frémont)를 지지했다. 더글러스는 링컨 대통령이 흑인 자유민의 참정권을 공개적으로 지지하지 않은 것에 실망했다. 더글러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들이 미국 남북전쟁에서 연방을 위해 싸웠기 때문에 투표권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믿었다. [147]
링컨 사후
전후 1865년 12월 6일 제13차 헌법 수정안이 비준되면서 "범죄에 대한 처벌을 제외하고는" 노예 제도가 불법화되었다. 수정헌법 제14조는 출생 시민권을 규정하고, 각 주가 미합중국 시민의 특권과 면책 특권을 박탈하거나 "개인"의 적법한 법 절차 또는 법의 평등한 보호를 거부하는 것을 금지했다. 수정헌법 제15조는 모든 시민이 인종을 이유로 투표에서 차별받지 않도록 보호했다. [116] 링컨이 암살된 후, 더글러스는 앤드루 존슨 대통령과 흑인 참정권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148]
1876년 4월 14일, 더글러스는 워싱턴의 링컨 공원에 있는 노예 해방 기념관의 제막식에서 기조 연설을 했습니다. 그는 링컨의 복잡한 유산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면서 고 링컨 대통령의 긍정적 및 부정적 속성으로 인식하는 것에 주목했습니다. [149] 더글러스는 링컨을 "백인의 대통령"이라고 부르면서, 링컨이 처음에는 노예제도의 확대에 반대했지만 노예제도의 폐지를 지지하지는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링컨이 노예 해방의 대의에 동참하는 데 게으른 것을 비판했다. 링컨은 우리의 남자도 아니었고 우리의 모델도 아니었다." [149] 그러나 더글러스는 또한 "어떤 유색인이나 모든 사람의 자유에 우호적인 백인이 1863년 1월 첫날 밤, 에이브러햄 링컨이 그의 말만큼 훌륭한지를 세상이 보게 될 그날 밤을 잊을 수 있겠는가?" [150] 그는 또한 "링컨 대통령이 흑인에 대한 백인 동포들의 편견을 공유했지만, 그의 마음속으로 노예제도를 혐오하고 증오했다고 말할 필요는 거의 없다...." 가장 유명한 것은 "진정한 노예제 폐지 운동장에서 볼 때, 링컨은 게으르고, 차갑고, 둔하고, 무관심해 보였다. 그러나 자기 나라의 정서, 즉 정치가로서 상의하지 않을 수 없는 정서에 의해 평가될 때, 그는 신속하고, 열정적이며, 급진적이고, 단호했다." [149]
그의 연설에 흥분한 군중은 더글러스에게 기립 박수를 보냈다. 링컨의 미망인 메리 링컨은 링컨이 가장 아끼던 지팡이를 더글러스에게 감사의 표시로 주었다고 합니다. 그 지팡이는 그의 마지막 거주지인 워싱턴 D.C.의 "시더 힐"에 여전히 남아 있으며, 현재 프레더릭 더글러스 국립 사적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연설을 한 후 더글러스는 즉시 워싱턴의 전국 공화당 신문에 편지를 썼는데(이 신문은 5일 후인 4월 19일에 그의 편지를 실었다), 동상의 디자인을 비판하고 자유로운 흑인들의 더 위엄 있는 기념물로 공원을 개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곳의 흑인은 일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무릎을 꿇고 벌거벗고 있다"고 더글러스는 썼다. "내가 죽기 전에 보고 싶은 것은 네 발 달린 동물처럼 무릎을 꿇고 앉은 것이 아니라 사람처럼 두 발로 서 있는 흑인을 대표하는 기념비입니다." [151]
재건 시대
남북전쟁 이후에도 더글러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여성의 평등을 위해 계속 일했습니다. 전쟁 중 그의 명성과 행동주의로 인해 Douglass는 여러 정치적 임명을 받았습니다. 그는 재건 시대의 Freedman's Savings Bank의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152]
한편 전쟁 후 남부에서는 백인 반란군이 급속히 일어나 처음에는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을 포함한 비밀 자경단을 조직했다. 무장 반란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났다. 강력한 준군사 조직으로는 화이트 리그(White League)와 레드 셔츠(Red Shirts)가 있었는데, 두 단체 모두 1870년대에 미국 최남단에서 활동했습니다. 그들은 "민주당의 군사 조직"으로 활동하면서 공화당 공직자들을 몰아내고 선거를 방해했다. [153] 전쟁이 끝나고 10년 후부터 민주당은 옛 남부연합의 모든 주에서 정치적 권력을 되찾고 백인 우월주의를 다시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폭력, 인종 분리를 강요하는 19세기 후반의 법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리를 박탈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 등을 조합하여 이를 시행했습니다. 새로운 노동법과 형법도 그들의 자유를 제한했다. [154]
이러한 노력에 맞서기 위해 더글러스는 1868년 율리시스 S. 그랜트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지원했다. 1870년, 더글러스는 그의 마지막 신문인 뉴 내셔널 에라(New National Era)를 창간하여 조국이 평등에 대한 약속을 지키도록 노력했습니다. [75] 그랜트 대통령은 더글러스를 동반하고 의회가 후원하는 위원회를 서인도 제도에 파견하여 산토 도밍고의 합병이 미국에 이익이 될 것인지를 조사하도록 했다. 그랜트는 합병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자신들의 주를 허용함으로써 남부의 폭력적인 상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더글러스와 위원회는 합병에 찬성했지만, 의회는 여전히 합병에 반대했다. 더글러스는 합병에 반대하는 찰스 섬너 상원의원을 비판하면서, 만약 섬너가 합병에 계속 반대한다면 그는 "그를 이 대륙에서 유색인종이 가진 최악의 적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155]
집
자서전적 글쓰기, 1권, 내러티브
이 책에는 Frederick Douglass의 세 가지 자서전 중 첫 번째이자 가장 유명한 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845년 보스턴에서 처음 출간된 이 책은 더글러스가 노예 생활에서 벗어난 지 불과 7년 만에 출간되었으며, 이 소설은 작가로서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기 위한 토대를 제공했다. 더글러스는 두 권의 자서전을 더 썼고, 19세기 미국인 중 자신의 삶에 대한 글을 두 권 이상 출판한 몇 안 되는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 그의 책은 그의 삶에서 일어난 사건들뿐만 아니라 그가 살았던 노예 제도와 자유의 복잡한 세계에 대한 그의 변화하는 인식에 대한 비할 데 없는 기록을 제공합니다. 자서전은 그의 나이(첫 번째는 27세, 마지막 자서전은 70대에 썼다), 그의 기억, 그리고 그가 글을 쓴 다양한 시기의 목표를 반영한다.
Douglass의 첫 번째 자서전의이 권위있는 판에는 포괄적으로 주석이 달려 있으며 출판 및 비판적 수용과 관련된 역사적 문서의 복제가 수반됩니다. 이 책에는 시리즈 소개, 책 소개, 역사 주석 및 부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편집 순서 출판 상태 타이틀 날짜 오름차순 내림차순 종류
총 1
FREDERICK DOUGLASS 논문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