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명: 신발류(HS Code 64)
□ 시장동향
ㅇ Euromornitor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신발 시장은 2018년 전년 대비 8.0% 증가한 65억 링깃 규모에 달했음.
ㅇ 각종 신발 브랜드들은 다양한 묶음 구매 행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여성 신발류 시장은 다양한 국제/로컬 브랜드의 유입으로 전년 대비9.0% 높은 증가율을 보였음.
ㅇ K-pop과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국의 패션과 화장품이 말레이시아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신발 시장 또한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 수출입 현황
말레이시아 신발 수출입동향(HS Code 64)
(단위: USD 백만)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수출 | 151 | 151 | 150 | 173 | 152 | 147 |
수입 | 278 | 313 | 497 | 640 | 633 | 697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2018년 신발 수출액은 전년대비 2.7% 감소한 147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액은 전년대비 10.0% 증가한 697백만 달러를 기록함.
ㅇ 말레이시아 신발 수입 시장은 5년 전 대비 127.6% 증가되었음.
말레이시아 신발 국가별 수출동향(HS Code 64)
(단위: USD 천)
순위 | 국가 | 2016 | 2017 | 2018 |
1 | 싱가포르 | 49,633 | 44,468 | 46,258 |
2 | 아랍에미레이트 | 9,328 | 12,157 | 16,611 |
3 | 인도네시아 | 11,158 | 11,473 | 10,583 |
4 | 태국 | 8,021 | 7,863 | 9,248 |
5 | 영국 | 10,638 | 14,543 | 8,571 |
6 | 베트남 | 7,077 | 6,738 | 6,162 |
7 | 홍콩 | 4,432 | 4,441 | 4,755 |
8 | 호주 | 3,321 | 2,778 | 3,454 |
9 | 필리핀 | 1,849 | 1,925 | 2,657 |
10 | 독일 | 3,647 | 2,237 | 2,467 |
11 | 대만 | 680 | 760 | 2,373 |
12 | 미국 | 1,950 | 1,727 | 2,296 |
13 | 사우디아라비아 | 4,989 | 4,211 | 2,293 |
14 | 뉴질랜드 | 2,342 | 2,077 | 1,942 |
15 | 인도 | 2,983 | 3,484 | 1,910 |
16 | 캐나다 | 1,801 | 1,634 | 1,890 |
17 | 한국 | 6,294 | 2,732 | 1,593 |
18 | 파키스탄 | 1,978 | 2,056 | 1,587 |
19 | 페루 | 1,657 | 1,818 | 1,574 |
20 | 이집트 | 1,674 | 1,539 | 1,398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말레이시아의 신발 수출대상국 1위는 싱가포르로, 2018년 수출액은 전년대비 4.0% 증가해 46,258천 달러에 달했으며, 전체 수출액의31.5%를 차지함.
ㅇ 2018년 수출대상국 2위인 대아랍에미레이트 수출액은 36.6% 증가한 16,611 천 달러를 기록한 반면, 대인도네시아 수출액은 7.8% 감소한 10,583천 달러를 기록함.
말레이시아 신발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64)
(단위: USD 천)
순위 | 국가 | 2016 | 2017 | 2018 |
1 | 중국 | 330,333 | 309,959 | 328,542 |
2 | 베트남 | 115,979 | 121,271 | 139,767 |
3 | 인도네시아 | 51,402 | 59,811 | 60,827 |
4 | 이탈리아 | 19,147 | 22,006 | 24,662 |
5 | 인도 | 18,124 | 18,565 | 23,517 |
6 | 홍콩 | 14,996 | 15,212 | 18,617 |
7 | 캄보디아 | 8,574 | 9,755 | 13,952 |
8 | 싱가포르 | 13,388 | 14,844 | 13,509 |
9 | 태국 | 17,065 | 15,409 | 12,620 |
10 | 미국 | 5,928 | 6,761 | 10,645 |
11 | 영국 | 4,036 | 7,114 | 7,679 |
12 | 미얀마 | 2,656 | 3,896 | 7,309 |
13 | 네덜란드 | 8,564 | 4,270 | 6,078 |
14 | 스위스 | 1,353 | 1,692 | 3,555 |
15 | 대만 | 3,193 | 3,668 | 3,321 |
16 | 방글라데시 | 1,743 | 3,014 | 3,149 |
17 | 파키스탄 | 816 | 332 | 2,471 |
18 | 스페인 | 2,216 | 2,568 | 2,420 |
19 | 브라질 | 2,885 | 1,937 | 2,147 |
20 | 한국 | 2,407 | 924 | 1,994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말레이시아의 신발 수입 1위 대상국은 중국으로 2018년 수입액 328,542 천 달러로, 전년대비 6% 증가하였으며, 전체 수입 시장점유율의 47.2%를 차지함.
ㅇ 그 뒤를 베트남(139,767 천 달러, 점유율20.1%), 인도네시아(60,827 천 달러, 점유율 8.7%)가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1,994천 달러, 점유율 0.3%로 20위에 그쳤으나, 전년 대비 증가율은 115.9%에 달함.
□ 대한국 수입동향
말레이시아의 신발 대한국 수입동향(HS Code 64)
(단위: USD 천, %)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금액 | | | | | 924 | 1994 |
증가율 | -15% | 10% | 118% | 166% | -62% | 116%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한국산 신발 수입액은 2013년 377 천 달러에서 2081년 1994 천 달러로 428.9% 증가함. 2016년 2407천 달러로 크게 급증하였다가 2017년 924천 달러로 줄었음. 2018년 1994천 달러로 큰 폭 회복한 모습이며, 한국산 신발 브랜드 유입에 따라 수입액이 큰 폭 늘어난 것으로 분석됨.
□ 관세: (일반) 0~25%, (AK FTA) 0%/판매용역세(SST): 10%
ㅇ 신발류(HS Code 6406)는 Customs Duties order 2017에 따라 수입관세 0~25%가 부과되며,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FTA)에 따라서는 0%의 수입관세가 부과되며, 10%의 판매용역세가 부과됨.
신발류 세부 HS Code별 관세율(HS CODE 6403류 단위: %)
일반관세율
Sub | Item | 단위 | 상품설명 | 수입세율 |
10 | 1000 | KGM | - - Metal toe-caps | Nil |
10 | 9000 | KGM | - - Other | Nil |
| | | - Outer soles and heels, of rubber or plastics: | |
20 | 1000 | KGM | - - Of rubber | 25.00% |
20 | 2000 | KGM | - - Of plastics | 25.00% |
| | | - Other: | |
90 | 1000 | KGM | - - Of wood | 5.00% |
90 | 2100 | KGM | - - - Of iron or steel | Nil |
90 | 2200 | KGM | - - - Of copper | 2.00% |
90 | 2300 | KGM | - - - Of aluminium | 20.00% |
90 | 2900 | KGM | - - - Other | 25.00% |
| | | - - - In-soles: | |
90 | 3110 | KGM | - - - - Of plastics | 10.00% |
90 | 3120 | KGM | - - - - Of rubber | 25.00% |
90 | 3200 | KGM | - - - Complete soles | 30.00% |
90 | 3300 | KGM | - - - Other, of plastics | 10.00% |
90 | 3900 | KGM | - - - Other | 25.00% |
90 | 9100 | KGM | - - - Gaiters, legging and similar articles and parts thereof | 5.00% |
90 | 9900 | KGM | - - - Other | 25.00% |
한-아세안 FTA(A-K FTA) 특혜 관세율
HEADER | SUB | ITEM | 상품설명 | 특혜관세율 |
6401 | 10 | 0 | -Footwear incorporating a protective metal toe-cap | 0 |
6402 | 12 | 0 | --Ski-boots, cross-country ski footwear and snowboard boots | 0 |
6402 | 19 | 1000 | ---Wrestling footwear | 0 |
6402 | 20 | 0 | -Footwear with upper straps or thongs assembled to the sole by means of plugs | 0 |
6403 | 12 | 0 | --Ski-boots, cross-country ski footwear and snowboard boots | 0 |
6403 | 19 | 3000 | ---Footwear for wrestling, weight-lifing or gymnastics | 0 |
6403 | 20 | 0 | -Footwear with outer soles of leather, and uppers which consist of leather straps across the instep and around the big toe | 0 |
6403 | 40 | 0 | -Other footwear, incorporating a protective metal toe- cap | 0 |
6404 | 11 | 2000 | ---Footwear for wrestling, weight-lifing or gymnastics | 0 |
6404 | 20 | 0 | -Footwear with outer soles of leather or composition leather | 0 |
자료원: Customs Duties Order 2017, ASEAN-Korea Free Trade Agreement (AKFTA), Sales Tax Order 2018
□ 유통 구조
ㅇ 말레이시아 내 일반적인 신발 유통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진행됨.
□ 제품등록/인증서/규제 등
ㅇ Customs Order 2017에 의거, 신발류 수입 시에는 많은 제한이 없음.
ㅇ 그러나, 신발 제작 시 원재료에 돼지 또는 개의 성분이 들어가지 않아야함.
- 돼지털을 포함한 페인트 브러시가 유통 과정에서 압수 당하고, 말레이시아 내에서 큰 이슈가 되었던 적이 있음.
□ 트랜드
ㅇ 말레이시아의 일부 소비자들은 가격이 높더라도 국제적으로 알려진 브랜드를 기꺼이 구입함. 예를 들어, Birkenstock은 젊은 소비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으며, 브랜드가 없는 신발 시장은 그다지 좋지 않음.
ㅇ 비브랜드는 리뷰가 많이 없어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며, 이에 하이엔드 및 중저가 브랜드 사이의 격차가 발생함.
ㅇ 말레이시아에는 오프라인 판매 뿐만 아니라 온라인 판매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체 시장의 약 2%수준에 그침. 이는,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이 신발 구매 전 직접 신어보는 것을 선호하는 습관에 기인함.
ㅇ Zalora, Lazada 등의 인터넷 소매업체는 온라인 신발 구매를 장려하기 위해 무료 반품 및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Bata, Timberland, Vincci 등 주요 신발 브랜드들은 자체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함.
ㅇ 일부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고객이 자신의 신발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함.
- http://www.christyng.com/에서 "Design your own"을 선택하면 신발 본체 유형, 깔창 높이, 재료, 색상, 기타 장식물 등 직접 선택하여 신발을 디자인할 수 있음.
□ 주요 판매업체 현황(경쟁업체)
ㅇ 말레이시아 내 신발 제조/공급 업체들의 브랜드 점유율은 아래와 같음.
신발류 주요 경쟁업체 현황(단위: 백만 링깃)
회사명 | 브랜드명 | 2016 | 2017 | 2018 |
Bata Ltd | Bata (Bata Ltd) | 7.5 | 7.8 | 8.0 |
adidas Group | adidas (adidas Group) | 3.8 | 4.1 | 4.4 |
Padini Holdings Bhd | Vincci (Padini Holdings Bhd) | 2.9 | 3.3 | 3.8 |
Nike Inc | Nike (Nike Inc) | 2.4 | 2.5 | 2.5 |
Bonia Group | Bonia (Bonia Group) | 2.3 | 2.2 | 2.0 |
Skechers USA Inc | Skechers (Skechers USA Inc) | 1.6 | 1.8 | 2.0 |
adidas Group | Reebok (adidas Group) | 1.3 | 1.4 | 1.5 |
Puma SE | Puma (Puma SE) | - | - | 1.5 |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 New Balance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 1.3 | 1.3 | 1.4 |
Nike Inc | Converse (Nike Inc) | 0.8 | 0.8 | 0.9 |
Padini Holdings Bhd | Brands Outlet (Padini Holdings Bhd) | 0.6 | 0.7 | 0.8 |
Kering SA | Gucci (Kering SA) | 0.4 | 0.5 | 0.7 |
Asics Corp | Asics (Asics Corp) | 0.5 | 0.5 | 0.6 |
Prada SpA | Prada (Prada SpA) | 0.5 | 0.5 | 0.5 |
Inditex, Industria de Diseño Textil SA | Zara (Inditex, Industria de Diseño Textil SA) | 0.4 | 0.4 | 0.5 |
Burberry Group Plc | Burberry (Burberry Group Plc) | 0.5 | 0.5 | 0.5 |
H&M Hennes & Mauritz AB | H&M (H&M Hennes & Mauritz AB) | 0.5 | 0.5 | 0.5 |
Salvatore Ferragamo SpA | Salvatore Ferragamo (Salvatore Ferragamo SpA) | 0.5 | 0.4 | 0.4 |
Wolverine World Wide Inc | Stride Rite (Wolverine World Wide Inc) | 0.3 | 0.4 | 0.4 |
Groupe Royer SA | Kickers (Groupe Royer SA) | 0.3 | 0.3 | 0.3 |
자료원: Euromonitor
□ 시장 진입 전략 및 시사점
ㅇ 말레이시아 신발 수입업자 A사에 따르면, 새로운 공급 업체를 물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는 지나치게 높은 최소 주문 수량(MOQ)를 요청하는 기업자들이 많다는 것임.
ㅇ 바이어의 관심을 끌기 위해 외국 수출업자는 유연해야하며, 다른 시장보다 MOQ를 적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특히, 거래 초반에는 시장 테스트를 위해서 적은 MOQ를 요구하는바이어들이 많은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함.
ㅇ 바이어는 크리스마스, 중국 신년, 무슬림 하리 라야, 인도 디파 발리와 같은 축제 시즌을 주요 쇼핑 시즌으로 보고 집중 판매를 기대함. 외국 수출업자는 축제 시즌 전부터 주문에 대한 정시 배달을 엄격히 준수해야함.
◦ 말레이시아 바이어들은 유럽 표준의 36-38 크기에 해당하는 5 - 6 사이즈를 더 많이 구매하는 경향이 있음. 이는 한국 표준 사이즈 보다 작은 수준으로 공급 업체는 크기에 맞는 재고를 준비해야 함.
◦ 일부 말레이시아 중산층들은 최고급 신발 구매가 가능하지만, 절대 다수가 저가 신발을 구입함. 따라서 시장에 수용될만한 가격을 선정하는 것 또한 중요 과제임.
자료원: WTA, Euromonitor, The Malaysian reserve 등 말레이시아 주요 언론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