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일류 대학에 들어간 사실 하나만 갖고 명주의 품격을 평가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일생 전반을 돌아볼 나이가 되었을 때, 전반적인 품격을 논해보는 게 더 바람직할 듯해 보입니다.
그리고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 간 사람이 인간성도 좋다면 금상첨화이겠으나, 공부 잘한 사람이 인성도 좋을 경우는 제 경험칙에 의하면 (일반화 하기는 뭣하지만) 좀 드물지 않겠나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살면서 고학력에 안하무인인 사람을 여러 번 보았기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출세 여부가 품격 판단의 기준이 되는 세태이기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모름지기 '인간성 판단'이 품격 판단의 기준이 돼야 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첫댓글
일류 대학에 들어간 사실 하나만 갖고 명주의 품격을 평가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일생 전반을 돌아볼 나이가 되었을 때, 전반적인 품격을 논해보는 게 더 바람직할 듯해 보입니다.
그리고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 간 사람이 인간성도 좋다면 금상첨화이겠으나, 공부 잘한 사람이 인성도 좋을 경우는 제 경험칙에 의하면 (일반화 하기는 뭣하지만) 좀 드물지 않겠나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살면서 고학력에 안하무인인 사람을 여러 번 보았기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출세 여부가 품격 판단의 기준이 되는 세태이기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모름지기 '인간성 판단'이 품격 판단의 기준이 돼야 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주학에서는 성공과 인격을 동일하게 보지 않죠
그건 일반 사회의 속성도 마찬가지가 아니겠나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간법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종관살이군요..
격용을 모르면 이런사주는 헛다리 짚게되죠..
그래서 사주공부가 어려운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