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례와 성찬의 의미 [마3:13-17]
1. 우리가 받는 세례
(1) 우리는 원죄의 결과로 하나님 떠난 죄인입니다.
① 첫 사람 아담, 하와가 지은 범죄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은 원죄 아래 있습니다.
② 죄의 결과로 저주받고 멸망 받으며 영원히 지옥 갈 신분이었습니다.
③ 원죄와 결과인 저주는 어떤 것으로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
(2) 죄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
① 모든 죄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서만 용서받을 수 있습니다.
② 세례는 ‘죄 씻음 받는다’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③ 이 사실을 믿고 영접하는 자에게는 구원의 축복이 임하게 됩니다.
(3) 세례의 의미
① 죄와 저주로부터 완전히 해방 받은 신분이 된 것입니다.
② 하나님과 교회 앞에서 내가 구원받은 성도임을 증거 하는 것입니다.
2. 주님이 받으신 세례
(1) 구약의 모든 약속이 이루어지는 현장입니다.
① 구약 시대에는 희생제물(양)이 피를 흘림으로 죄 용서함을 받았습니다.
② 이 예식을 감당하는 직분이 제사장이었습니다.
(2) 대속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
①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으로 오신 주님
② 세례 요한(제사장)을 통해 세례를 받으시므로 인류의 죄를 짊어지셨습니다.
(3) 영원한 제사장 되신 예수 그리스도
① 죄 없으신 예수님이 피 흘리심으로 우리의 죄가 용서받게 되었습니다. (요19:30)
② 우리는 죄 용서의 확신으로 저주를 이기고 살아갑니다. (롬8:1~2)
③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예수님이 그리스도 되심이 확실히 증거되었습니다.
3. 성찬의 의미
(1) 주님의 십자가 희생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①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 달리사 흘리신 보혈과 주님의 몸을 의미합니다.
② 그리스도의 비밀과 구원의 축복을 늘 기억하는 것입니다.
③ 구원의 감사가 있는 성도에게는 날마다 증거가 찾아옵니다.
(2) 임마누엘의 비밀을 회복하고 누리는 예식입니다.
① 성찬은 주님과 우리의 연합을 의미합니다.
② 의미를 알고 참여할 때 놀라운 치유와 증거가 나타납니다.
(3) 우리는 이 모든 축복의 증인입니다.
① 이것을 깨달은 초대교회는 예수가 그리스도 되심과 부활의 증인이었습니다.
② 이 축복을 누릴 때 흑암과 저주 세력은 무너집니다.
③ 이 축복을 전달할 때 현장은 살아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