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두콩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 지역이다.
그렇다면 알렉산더대왕이 동방 원정을 왔을 때 병사들이 자신들이 고향에서 먹던 콩을
대완국까지 가지고 와서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한나라 외교관 장건이 전했건 또는
비단길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왔건 서역의 완나라에서 전해진 콩이라는 뜻으로 완두라는 이름을 얻었다.
.

10세기 송나라 때 이방이 편찬한 백과사전인 《태평어람(太平御覽)》에 완두콩을 먹는다는
서역의 오랑캐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구체적으로 나온다.
한나라 때 외교관이었던 장건이 서역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대완국(大宛國)에서 새로운 콩 종자를 얻어 왔기에
완두라는 이름을 얻게 됐다고 적혀 있다






밥에 넣어 먹으면
완두밥이 되요...
완두를 많이 먹으면
오랑케 처럼 힘도 세지고...
싸움도 잘하게 되요...
그러니 힘이 없고 허약한 사람들에 완두콩을
적극 권장해요....
ㅎㅎ
저는 완두를 밥할때 쌀반 완두반 엄청 많이
넣어먹어요,,,
그래서 그런지 점심을 먹지 않고도 하루 점두룩 일을 하는데
배가 고픈줄 몰라요...
이게 모두 완두 덕분인가봐요....ㅎㅎ



신의 실패작 키위...
비운의 꽃 키위꽃..

키위학 개론
키위의 역사는 중국의 양쯔강 계곡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곳에서 키위는 양따오(Yangtao)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이 과일은 에메랄드 녹색과 그 맛을 사랑한 칸(Khans)의 왕실에서 별미로 여겨졌습니다.
1600년대 중국사람들이 키위재배를 시작합니다.
그러다 1800년과 1900년대에는 다른 국가에까지 전파되기 시작하여 1906년에 중국
구즈베리(Gooseberry)라는 이름으로 뉴질랜드에 소개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뉴질랜드에서 대규모 키위재배를 시작했습니다.
물론 1940년대에는 다른 국가에서도 키위를 재배하였고 1960년대에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게 됩니다.
1962년에는 뉴질랜드는 자국의 국조(national bird)인 키위(kiwi)새와 비슷하다고 하여 그 이름을
바꿨으며, 미국에 첫 수출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참다래'라고 불리는 국내산 키위는 1974년 뉴질랜드에서 들여와 1980년대부터 남해안지방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꽃을 자세히 보면 꽃가운데 가느다란 실처럼 나와서 끝에 노란색 꽃밥이 달려 있습니다.
이 노란색 꽃밥 속에는 꽃가루가 들어 있으며, 꽃이 피면 꽃가루가 바람에 날리거나 벌과나비가
수정을 해주는 것이 자연적인 현상인데
이 바보 멍텅구리같은 키위시키들은 알아서 수정을 할 줄 모르는 비운의 꽃이랍니다..
그래서 사람이 일일이 수꽃을 채취해서 하루동안 직사광선을 피해서 꽃가루를 바짝 말린다음
곱게 분말을 내어서 암꽃하나하나에 수정을 시켜주어야 열매가 달린답니다..
그렇지 않고 자연적으로도 열매가 열리는데
그렇게 되면 열매가 작고 맛이 없습니다..

젊은 수꽃입니다....
꽃송이를 손으로 채취합니다...
꽃가루가 많이 묻어 있는 이런 녀석을 채취 합니다..
아무때나 채취하는 것이 아니랍니다...
아침 일찍 10시 이전까지...
채취해야 꽃가루가 많이 붙어 있답니다..
한 낮에 꽃을 따면 꽃가루의 수분이 햇볕에 증발되어 살짝만 건드려도 꽃가루가 날아가 버립니다..
수꽃을 채취할때에는 활짝 피어버린 꽃보다 사진처럼 약간 오므라지면서 핀 꽃이 좋습니다..




활짝 피어버린 숫꽃은 꽃가루가 멀리 여행을 떠나버렸네요.
이런 꽃은 꽃가루 채취가 어렵답니다...
.

암꽃입니다..


가운데에 바람개비 같은 촉수가 수두룩 합니다..
숫꽃은 이런게 없답니다..



아직 피지 않은 암꽃

필려고 준비중인 암꽃


꽃가루가 채취되지 않는 수꽃


늙은 수꽃들..



암꽃


암꽃

늙은 수꽃




젊은 수꽃






베이비 참깨


보리

보리

보리

보리


메밀 베이비

메밀

코끼리리 마늘쫑

베이비 오이

베이비 오이

애플민트의 새순

들깨의 새순

국화의 새순

오이의 손

베이비 오이

오이 새순

잡닭
백봉오골계와 청계의 짬뽕

청계

연산오골계



Camera:canon Pawer Shot A650 is.
Camera:PENTAX K20D
Camera:PENTAX K-3
Lense
smc pentax -DA1:4 17-70mm AL [IF] SDM
smc PANTAX-DA 1:4~5.8 55-300mm ED
smc pentax -DA 35mm F2.8 Macro Limite
smc pentax -F 1:2.8 100mm MACRO
smc pentax -DA★ 1:2.8 50-135mm ED[IF]SDM
smc pentax - DA Fish - Eye 1:3.5 - 4.5 10-17 ED[IF]
HD
PENTAX-DA 55-300mm ED 1:4-5.8 WR
접사튜브:Pz - AF UNIPLUS TUBE 25 KENKO. Kenko Extension Tube 36mm+20mm+12mm.링플레쉬:Metz MECABLITZ 15MS-1 digital .
Camera:Nikon D700
Lense
AF NIKKOR 20mm 1:2.8
AF NIKKOR 35mm 1:2D
AF NIKKOR 50mm 1:1.4D
AF NIKKOR 180mm 1:2.8D
MF NIKKOR 135mm 1:3.5
TAMRON SP AF ASPHERICAL XR Di [iF]28-75mm 1:2.8 macro

☞다음까페 [아름다운 음식여행] 바로가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