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란?
- 도기와 자기를 포함한 말로써 점토를 불에 구워 만든 모든 그릇.
- 소성온도에 따라 토기, 도기, 석기, 자기로 구분
- 소성온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아 잘 깨지지 않는 특성을 지님
고대~중세를 망라하여 여러가지 무역품 중, 상위를 차지하는 몇가지 중 하나는 도자기였다.
현재 도자기의 국제적 통용어는 China이다.
옛날엔 중국제라면 각 나라에서 앞다투어 사갔다고 한다.
영어로는, porcelain ware라고 표기할 수 도 있지만,
대부분 비싼 것은 [차이나]라고 부른다. 특히 내구성이 뛰어난 도자기는 [bon china]라고 한다.
Q) 도자기는 왜 'china ware'일까?
영어단어 [차이나]는 중국어란 뜻일뿐 아니라 도자기란 뜻도 있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도자기나라로 불리워 왔다.
도자기의 전신은 원시적인 청자기였는데 이는 도기로부터 자기로 이행하는 과도단계의 산물로서 도자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원시적인 도기의 흔적까지 가지고 있다. 중국 최초의 원시적인 청자기는 산서 하현의 룡산문화유적지에서 발견되였다. 이는 지금까지 이미 약 4200년의력사를 가지고 있다.
기원10세기부터 13세기초에 이르는 당나라와 송나라 시기 중국의 도자기제작기술이 계속 발전하였다. 당삼채가 바로 이 시기에 산생된 칼라 도자기 공예품이다. 이는 주로 진흙으로 만든 도자기 원형에 먹인 천연색 유약이 구워내는 과정에 화학적인 변화를 발생하여 이루어진것이다. 당삼채는 중국 국화와 조각 등 공예미술의 특징을 채용하여 붙이고 조각하는 등 형식의 장식도안으로 한 도자기 그릇에 동시에 붉은색과 푸른색. 흰색 유약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3가지 유약을 발라 고온에서 구워내면 3가지 유약이 서로 어울려 3가지 색갈이 여러가지 색으로 변한다. 원색과 복색으로 된 이런 도자기는 사람들의 눈에서 여러가지 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것이 바로 당삼채유색의 특징이다.
명나라와 청나라시기는 중국 도자기생산의 전성기로서 도자기생산의 수와 질이 최고봉에 이르렀다. 남방도시 경덕진이 도자기도시로 확립된 후 경덕진 도자기 가마가 명나라와 청나라 도자기분야를 수백년동안 유지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중국의 최고급 도자기가 여전히 여기에서 생산되고 있다.
중국도자기는 8세기부터 국외로 수출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앞서 유명한 실크로드가 벌써 중외상업무역과 문화교류를 개척하였다. 그때로부터 중국은 실크의 나라로 불리우게 되었다. 8세기에 들어선후 중국 도자기가 외부로 수출됨에 따라 중국은 또 도자기의 나라란 미명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 도자기는 최초에 주로 아시아지역에로 수출되었다. 17세기에 들어선 후 서부유럽의 황실과 궁전에서 중국 도자기를 소장하는 바람이 불었다. 포르투칼에서 새로운 항로를 개척한후 도자기는 또 유럽사회의 가장 진귀한 선물이 되었다. 이 시기에 유럽에서 유행되던 로코코 예술풍경격은 생동하고 아름다우며 자연스러움을 특색으로 하였다. 로코코의 에술작풍은 중국 예술풍격의 정밀하고 보드라우며 깜찍하고 우아한 특징과 일치한다. 이것은 도자기를 포함하여 중국의 풍격을 가진 물품이 전반 유럽에 진입하도록 촉진하였다. 불완전한 통계에 의하면 17세기에 중국은 해마다 약 20만개의 도자기를 수출하였는데 18세기에 와서는 해마다 백만개의 도자기를 수출하였다.
중국도자기가 전세계의 범위에서 팔리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되었다. 차이나란 이 단어도 중국 도자기가 영국과 유럽대륙에서 널리 전파됨에 따라 도자기의 대명사로 되여 중국과 도자기가 긴밀한 관계를 가지게 하였다. 중국 고대 도자기의 휘황한 성과와 그로 인한 도자기전파로 하여 중국의 특색을 가진 이 물품이 세계인민의 사랑을 받게 되였고 중국과 도자기는 하나로 연결되었다.
이렇듯 도자기는 영어로 china이고, 그 어원은 중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양, 주로 유럽 사람들이 동북아시아와교역을 시작할 때 주로중국과 일본에 교역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도자기는 중국에서, 칠기는 일본에서 수입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china는 도자기를 뜻하고, japan은 칠기를 뜻함)
중국의 도자기가 처음 서양에 소개되었을 때 도자기를 부르는 마땅한 이름이 없었던 서양인들은 도자기를 차이나라고 불렀다고 한다.
고려청자가 아무리 뛰어나고, 나전칠기가 아무리 뛰어났다 하더라도 영어권 사람들이 모르는 이상 명칭이 korea로 될 이유가 없다.
도자기가 발전된 계기에 중국이 많은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도자기가 세계 공통어로 china가 된 것이다.
출저: 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