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촌집
"然亦有月令無用神者 將若之何 如木生寅卯 日與月同 本身不可為用....."
"그러나 또한 월령에 용신이 없을 때도 있는데, 장차 이를 어찌할 것인가?
만약 木이 寅卯월에 생하면 日과 月이 같아서 일간과 같은 오행은 용신으로 쓸 수 없다......."
◯ 甲 ◯ ◯
◯ ◯ 寅 ◯
"일간과 같은 오행은 용신으로 쓸 수 없다."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게 록겁격입니다. 월령에 용신이 없다는 거죠.
"록겁격은 록겁이 용신이다." - 이런 말하는 역술인은 격국법을 엉터리로 배운 사람입니다.
비견 겁재를 용신으로 쓰는 격국법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첫댓글 투간회지별취용신(透干會支另取用神)의 정의
투간(透干)회지(會支)라는 것은 천간에 투간하거나 혹은 월령과 회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천간투출자 혹은 지지회합자로 용신을 잡는다”는 용신잡는 기본방식이죠.
그런데 이것은 원래 변격장에서 주로 언급했던 부분입니다.
그런데 월령에 용신이 없는 경우를 설명하는 대목에서 왜 하필 이 내용을 다시 가져와 소개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즉 이 부분은 역시 변격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갑(甲)일간 인월(寅月)이면 동일(同一) 오행(五行)이므로
본신이 동일하면 용신을 잡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본신 이외의 투간한 인중(寅中)의 무토(戊土) 혹은
인중(寅中)의 병화(丙火)가 천간에 투간했는지를 살펴보라는 말입니다.
또는 오화가 있으면 인오합(寅午合)으로 회지(會支)가 되는지도 찾아보라는 당부입니다.
그 결과 투간회지에 성립이 되면 그것으로 변격 용신을 잡으라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변격에도 해당이 안되면 어쩔 것인가?
그렇다고 하더라도 종국에 용신은 월령 위주에서 탐구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월령 이외의 장소에서 용신을 잡으면
이건 변격이고
변격애서 조차도 용신이 없다고 하면
본신으로 용신을 잡는 것인데
이것이 건록월겁격이다.
이것은 본래 용할 수 없는 것으로 용신을 잡는 것이다
然亦有月令無用神者將若之何如木生寅卯日與月同本身不可爲用必看四柱有無財官殺食透干會支另取用神然終以月令爲主然後尋用是建祿月劫之格非用而即用神也
이 원문 구결이 상당한 설명들을 생략하고 있어서 눈이 밝지 못하면 해독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쉽게 생각하면 해석도 가능합니다
사례명조에서 확인
癸 癸 戊 庚
亥 酉 子 戌
록겁용관 (祿格用官)에서 소개가 된 김승상 (金丞相 )의 명조이다 .
월지의 자수 중에서는 지장간에 계수가 존재하는데
오직 본기 투간은 있어도 본기 이외의 투간자는 없는 것이다.
곧 중기, 여기가 투간하지 못하면 변격으로 용신을 잡을 수가 없다.
또한 회합자도 없다
그러므로 자수를 그대로 용신으로 하는데
이것은 본래 용할 수가 없는 것으로 용신을 잡는 것이다.
이것이 건록월겁격이다
己 癸 壬 丁
未 卯 子 巳
록겁용살(祿劫用殺)에서 소개가 된 누참정명조이다
월지 자수는 일간 계수와 본신이 동일하여 용신으로 잡을 수가 없다.
그러므로 다른 장소에서 투간회지를 찾아야 한다.
그런데 자수중에는 중기와 여기에서 투간한 글자가 없다
그러므로 변격 용신을 잡을 수가 없다.
그렇지만 종국에 용신은 외격이 아닌 이상 월령 위주로 잡아야 하는 것이므로
자중의 계수를 용신으로 하였다.
이것은 본래 용할 수 없는 것이였지만 어쩔 수 없이 용신으로 잡은 것이다
이것이 건록월겁격은 용할 수 없는 글자로 용신을 잡는다라고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