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관인식 순용이요, 살상겁인 역용임을 심효첨은 주장한다.
그런데 식신대살, 상관대살은 왜 격성일까? 심효첨은 이에 대한 답을 하지 않았다.
[연해자평 상관대살격]을 살펴보자.
'갑을생이 인오술을 모두 가질 때, 경신에 의뢰하여 위권으로 삼고 이를 제복하면 복이 된다.'고 적혀있다.
아.. 칠살을 권으로 쓰려는 의도구나.
연해자평의 상관대살은 제살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면 '월령은 바로 제살을 하는가?' 라는 의문이 발생할 수 있다.
원칙을 지키자.
투간, 회지, 상충 등이 아니고선 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심효첨은 제살을 전제로 논하진 않았다고 본다. 단지 무재만 따질 뿐이다. (난 이 견해엔 반대입장이다.)
식신대살과 상관대살의 칠살은 상신인가?
심효첨은 전국의 격이 한 글자에 의지할 때, 그 글자가 상신이라 하였다.
대살로써 격성을 논하였으므로 칠살은 상신의 지위를 얻는다.
첫댓글 네 맞습니다
식신대살과 상관대살의 칠살은 상신인가?
심효첨은 전국의 격이 한 글자에 의지할 때, 그 글자가 상신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대살로써 격성을 논하므로 칠살은 상신의 지위를 얻는다.
--------
식신격을 기준으로 칠살을 배치한다고 하면
이것은 전국의 격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한 글자가 칠살이 되는 겁니다
이게 상신입니다\
그래서 말하길
용신이 있으면 다른 위치에 반드시 용신을 돕는 상신이 잇게 된다
=별취유상
그래서 칠살인 상신을 제복했는가
이게 가장 중요한 주제가 되는 것입니다
이 칠살의 제복여부를 보고 격국의 성패를 논하는 거죠
따라서 제복에 동참하는 글자들은 상신을 상신 답게 만드는 글자는 희신이라고 말하는 겁니다
그러므로 만약 식신대살이라고 상황이 되어도
격패는 잇을 수 있죠
왜냐하면
-칠살이 태과하고 식신이 무력한 경우
-식신태과하고 칠살무력하여 제살태과한 경우
모두 격패이죠
그걸 행운에서 패중유성으로 구응받는가
살피는겁니다
감사합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1.11 17:2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1.11 17:1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1.11 2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