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혼인기념성당에서 나와 곧바로 나자렛으로 향한다.
"나자렛"(Nazareth)은 海拔 370M의 구릉지대로 "聖母마리아"와 "요셉"이 살던 곳이다.
이곳에서 聖母님께서 "성모영보(聖母領報)"를 받으셨고 예수님의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다.
예수님은 "나자렛"에서 아버지를 따라 木手 일도 하셨나 보다. (마르코 6장 3절)
실제로 이곳은 지금도 木工藝品으로 有名하여, 작은 十字架와 커다란 나무항아리 외
각가지 모양의 잘 다듬은 木刻 製品을 판매하는 곳이 많다고 한다.
예수님께서 "나자렛"에서 傳導를 시작하셨지만 동네 사람들은 "木手"의 말을 믿지 않을뿐 아니라
그를 고을 밖 산 벼랑으로 내몰아 절벽에서 떨어뜨리려 한다 .(루카 4장 29절)

"나자렛"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예수님을 밀어 떨어뜨리려고 한 "墜落山".
"墜落山"은 "나자렛" 마을에서 동네를 벗어나는 지점에 있는 산으로 산 오른쪽이 가파른 절벽이다.
예수님은 그 일을 당하신 후 "갈릴레아"湖水 옆의 "카파르나움"으로 자리를 옮기신다.
우리는 "나자렛"의 대표적인 순례지인 "성모 영보 (聖母領報) 大聖堂"과 "聖 요셉 聖堂"으로 간다.
"가브리엘 天使"가 "나자렛"의 한 처녀를 찾아가 말한다.
"恩寵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루카: 1장 26절~28절)
天使는 또 처녀에게 말을 한다.
"두려워 하지 마라, 마리아야. 너는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보라, 이제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터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루카: 1장 30~31절)
이렇게 하여 산골짝의 작은 마을은 人類 大歷史의 시작의 터가 된다.
이 작은 마을 "성모 마리아"의 집터에 이스라엘 에서는 가장 크고 아름다운 성당이 지어진다.
326年 聖女 "헬레나에 의해 聖堂이 지어지기 시작하여 파괴와 재건을 반복한다.
그 후 여섯 번째 聖堂이 1960년 ~ 1969년에 完成된다.(폭 30M 길이 70M)
聖殿안에 잘 保存되어 있는 洞窟은 "聖母 領報 洞窟"로
聖母님이 어렸을 때부터 사시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라고 한다.



이 聖堂을 가려면 복잡한 아랍계 市場 안으로 들어 가야 한다.
아마도 차길이 복잡해서 지름길로 가는듯하다.
시장길을 지나 조금은 가파른 언덕을 오르면 聖堂이 보이기 시작한다.


聖堂 前面에는 아래와 같은 글이 써 있다.
"ANGELUS DOMINI NUNTIAVIT MARIAE"
"주님의 천사가 마리아께 아뢰다."
"VERBUM CARO FACTUM EST ET HABITAVIT IN NOBIS"
"말씀이 사람이 되셨고 우리와 함께 사시다."

出入門 銅板에는 浮彫로 예수님의 生涯가 여섯 부분으로 彫刻되어 있다.
좌측 위에서 부터
1) 탄생, 2) 이집트 피난, 3) 목수일 도움, 4) 세례 받으심, 5) 가르치심, 6) 십자가에서 돌아가심.


聖母 領報 洞窟 祭臺.

자료사진.
"VERBUM CARO HIC FACTVM EST"
"바로 여기서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 라는 뜻의 라틴어가 씌여져 있다.
"성모 영보 동굴" 앞에 있는 小聖殿에서 미사를 드리기로 예약을 해 놨는데,,,,,,,
이곳도 착오가 생겨 독일의 순례팀과 같은 시간으로 접수가 됐다고 한다.
의논 끝에 독일 순례단과 같이 미사를 드리기로 한다.

독일 순례단은 촬영장비까지 가져왔기에 우리가 양보 하여 2층으로 올라가기로 했다.





독일 순례자들은 녹음기를 준비하여 聖歌를 부를 때 기-타로 반주하며 음악을 같이 한다.
우리의 미사와 별반 다르지 않았지만, 약간씩 차이는 보인다.
신부님의 강론은 내용은 모르겠는데 억양이 교회 목사님의 말씀을 듣는듯 하다.
평화의 인사를 나눌 때는 모두들 반갑게 손을 흔들어 인사를 했다.





입구 윗부분의 스테이드 글라스.

미사를 마치고 복도에 있는 各國에서 보내온 聖母님 그림을 본다.


우리나라에서 보내 온 모자이크畵.
故 이남규 先生(루카·1931~1993)의 作品이라고 한다.
이남규先生은 中林洞 聖堂의 "스테인드글라스"를 비롯해 여러 聖堂의 창문을 만드신 분이다.



그 나라의 풍속에 맞도록 성모님을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