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단어, 형태소, 어절
|
(1) |
단어 :언어의 내옹적 단위의 요소로 한 개 또는 몇 개의 음운으로 의미를 가진 언어의 최소 단위다.
낱말(단어):홀로 설 수 있는 말 |
① | 뜻이 있다. : 단어는 의미 전달의 최소 단위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단, 조사는 문법 관계를 나타내지만 하나의 단어로 인정한다. (예) 나무 - 하나의 단어. 나무를=나무+를(조사) - 두 개의 단어 |
자립할 수 있다. : 단어는 문장에서 홀로 쓰일 수 있다. 단, 조사는 자립할 수 없으나 하나의 단어로 인정한다. (예) 몹시 - 하나의 단어. 꽃이=꽃+이(조사) - 두 개의 단어 |
(2) | 형태소 : 뜻을 가진 말의 최소 단위 |
① | 자립 형태소 :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형태소. 자립 형태소는 하나의 단어가 된다. (예) 나무 - 자립 형태소이자 하나의 단어 |
② | 의존 형태소 :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없어 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형태소. 의존 형태소는 기본적으로 단어가 될 수 없으나, 이 중 조사는 하나의 단어가 된다. (예) 맏아들 - '맏'은 의존 형태소로 단어가 되지 못함. 여기는 - '는'은 의존 형태소이나 하나의 단어로 인정함. |
③ | 실질 형태소 : 실질적인 뜻을 가진 형태소. 용언의 어간을 제외한 실질 형태소는 하나의 단어가 된다. (예) 하늘 - 실질 형태소이면서 하나의 단어임. 먹다 - '먹-'은 실질 형태소이나 하나의 단어가 아님. |
④ |
어절 : 문장을 구성하는 도막도막의 마디. 띄어쓰기의 단위와 일치한다.
|
(1) | 뜻 : 성질이 같은 단어들의 모임을 말한다. |
(2) | 분류의 기준 : 의미, 기능, 형태 |
(3) | 우리 나라의 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9개) |
① | 실질적인 뜻이 없는 품사 : 조사 |
② | 실질적인 뜻이 있는 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
③ | 문장과 독립해서 쓰이는 품사 : 감탄사 |
④ | 한 가지 구실만 하는 품사 : 관형사, 부사 |
⑤ | 여러 가지 구실을 하는 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
⑥ |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 :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서술격 조사를 제외한 조사 |
⑦ |
형태가 변하는 품사 :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
음절:한 번에 소리낼 수 있는 소리마디
예)새가 날아간다.=새,가,날,아,간,다. 6음절
이 각각의 소리를 음절이라고 합니다.
어절:끊어 읽는 대로 나누어진 도막도막의 마디
새가, 날아간다. 2어절
예)가을이되었습니다.=가을이 되었습니다.
가을이와 되었습니다는 각각 어절입니다.
그래서 이문장은 두어절로 이루어져있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형태소: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새가 날아간다. 새, 가, 날아가, ㄴ, 다, 5개 형태소이다.
아침에바람이불었다=(아침, 에, 바람, 이, 불, 었, 다,)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일단 형태소는 낱말처럼 홀로 설 수 있는 말을 가려낸뒤조사를 따로 분류해놓음
여기에서 이다,는,을,를 등은 문제가 없이
형태소로 인정하나, 할 것이다,했었다 등은
시제가 미래나 과거를 나타 내므로 (할, 것, 이다,)3개의 형태소, 했었다=(했, 었, 다,) 로 나눈다.
음운: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예)공=ㄱ+ㅗ+ㅇ 즉 (ㄱ과 ㅗ와 ㅇ의) 음운이 모여 하나의 음절이 되었다.
모음의 분류☆☆
ㅏ,ㅐ,ㅓ,ㅔ,ㅗ,ㅚ,ㅜ,ㅟ,ㅡ,ㅣ는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으로 단모음이라고 합니다.
ㅑ,ㅒ,ㅕ,ㅖ,ㅘ,ㅙ,ㅛ,ㅝ,ㅞ,ㅠ,ㅢ는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움직이는 모음으로 이중모음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단모음을 다시 작게 분류할 수있는데여
ㅏ,ㅐ,ㅓ,ㅔ,ㅡ,ㅣ는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양쪽으로 펴지므로
평평할 평(平)입술 순(脣)을 써서 평순모음이라고 하고
ㅗ,ㅚ,ㅜ,ㅟ는 발음할 때 입술 모앙이 둥그래지므로
둥글 원(圓)입술 순(脣)을 써서 원순모음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단모음의 또다른 분류 방법은
님께서 요청하신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인데요.
ㅣ,ㅔ,ㅐ,ㅟ,ㅚ는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을 혀의 최고점이 앞쪽에 있을때
소리가 나므로 이를 전설모음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전설을 예부터 내려오는 이야기라는 뜻이 아니라 혀 앞이라는 뜻입니다.
ㅡ,ㅓ,ㅏ,ㅜ,ㅗ는 발음할때 혀의 최고점이 뒤 쪽에 있을 때 소리가 나므로
이것을 후설모음이라고 한다.
고,중,저 모음이 있는데. 이것은 발음할때 혀의 높이에 따라 분류해 놓은 것이다.
고모음:ㅜ,ㅣ,ㅡ
중모음:ㅓ,ㅗ, ㅟ,ㅔ,ㅐ,
저모음: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