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 개요 : 아크 용접을 하는 경우, 열원을 공급해주는 기기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기기를 아크 용접기(arc welder)라고 한다.
아크 용접기는 용접 작업에 알맞게 낮은 접압으로 대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도록 제작디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변압기와는 달리 양극을 단락(short)시켜도 어느 일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제작되어 있어
소손이 생기지 않는다.
|
② 용접기의 종류
㈎ 교류 아크 용접기(AC, arc welding machine)
- 원의 무부하 전압이 항상 재점호 전압보다 높아야 아크가 안정한다.
용접기의 용량은 AW(arc welder)로 나타내며 이는 정격 2차 전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W200이란 정격 2차 전류가 200A임을 의미한다. 정격 2차 전류의 조정 범위는 20~110%이다.
교류아크용접기
- 가동 철심형(moving core arc welder)
- 가동 코일형(moving coil arc welder)
- 탭 전환형(tab bend arc welder)
- 가포화 리액터형(saturable reactor arc welder)
|
|
<교류아크 용접기의 특징>
용접기의 종류 |
특징 |
가동 철심형 |
1. 가동 철심으로 누설 자속을 가감하여 전류를 조정함 2. 광범위한 전류 조정이 어려움 3. 미세한 전류 조정이 가능함 4.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함 5. 일종의 변압기 원리를 이용한 것 |
가동 코일형 |
1. 1차, 2차 코일 중의 하나를 이동하여 누설 자속을 변화시켜 전류를 조정함 2. 아크 안정도가 높고 소음이 없음 3. 가격이 비싸며 현재 사용이 거의 없음 |
탭 전환형 |
1. 코일의 감긴 수에 따라 전류를 조정함 2. 탭 전환부 소손이 심함 3. 넓은 범위는 전류 조정이 어려움 4. 주로 소형이 많음 5. 적은 전류 조정 시 무부하 전압이 높아 전격의 위험이 큼 |
가포화 리액터형 |
1. 가변 저항의 변화로 용접 전류를 조정함 2. 전기적 전류 조정으로 소음이 없고, 기계 수명이 긺 3. 조작이 간단하고 원격제어가 가능 4. 핫스타트(hot start)장치가 용이함 |
㉮ 교류 아크 용접기 취급사항
· 정격 사용률 이상 사용하면 과열되어 소손이 생긴다.
· 탭 전환형 탭 전환 시는 반드시 아크 발생 중지 후 시행해야 한다.
· 2차측 단자의 한쪽과 용접기 케이스는 반드시 접지를 해야 한다.
· 접점 개폐기 접촉, 가동부분, 냉각팬을 점검하고 주유를 해야한다.
㉯ 교류 아크 용접기의 규격(KS C 9602)
종류 |
정격2차 전류 (A) |
정격사용률 (%) |
정격부합전압 |
최고2차 무부하전압 (V) |
2차전류 |
사용되는 용접봉의 지름(mm)* | ||
전압강하(V) |
리액턴스 강하(V) |
최대치(A) |
최소치(A) | |||||
AW200 |
200 |
40 |
30 |
0 |
85이하 |
200이상 220이하 |
35이하 |
2.0-4.0 |
AW300 |
300 |
40 |
35 |
0 |
85이하 |
300이상 330이하 |
60이하 |
2.6-6.0 |
AW400 |
400 |
40 |
40 |
0 |
85이하 |
400이상 440이하 |
80이하 |
3.2-8.0 |
AW500 |
500 |
60 |
60 |
12 |
95이하 |
500이상 550이하 |
100이하 |
4.0-8.0 |
* 주의
(1) 종류에 사용된 기호 및 수치는 다음과 같은 뜻을 표시한다.
AW : 교류 아크 용접기 AW300의 수치 : 정격 2차 전류
(2) 사용되는 용접봉의 지름은 참고로 표시한 것이며, 규격의 일부는 아니다.
㉰ 교류 아크 용접기에 콘덴서를 병렬로 설치했을 때의 장점
· 역률이 개선된다.
· 전원입력이 적게 되어 전기요금이 적게 든다.
· 배전선의 재료가 적어진다.
· 여러개의 용저기를 접속할 수 있다.
㈏ 직류 아크 용접기(DC, arc welding machine)
직류아크 용접기
- 전동 발전식(motor-generator arc welder)
- 엔진 구동형(engine driven arc welder)
- 정류식(rectifier type arc we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