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시 : 2019년 5월 15일 ~ 17
여 행 지 : 가덕도, 거제도, 사량도, 통영(충무), 고성 상족암
참 석 자 : 이건우, 남경우, 박혜숙, 이용우, 차미숙
용우 동생 부부가 미국 가기 전 2박3일 여행 다녀 옵시다 하면서 이미 여행일자 를
4명이서 작당(?)을 하여 정하여 놓고 차량 도 찬우 차 를 용우가 운전할수 있도록
보험도 들어 놓고 반 강제적으로 나에게 통보를 하여
행선지 만 정해서 가자는데 내가 무슨 힘이 있나 !!!
안갈 수도 없고 갈 수밖에 이왕 가는김에 즐겁게 가야지

"날짜" 정하지 말고 "목적지" 정하지 말고 쉬엄 쉬엄 유람이나 다녀 볼까 하고
5월 15일 9시에 집에서 출발한다 우선은 가덕도로 간다
우선 "광안대교"를 지나 영도까지 "부산항 대교" 를 지나 영도 남항동 에서 송도 까지
"남항 대교" 를 지나 새롭게 개통한 송도에서 구평동 까지 "천마 터널" 을 지나 신평을 통과
"을숙도 대로 명지다리"를 통과 명지 에 도착하여 신호공단 을 지나
가덕도 "가덕대교" 지나 가덕 대항 마을 에 도착
가덕도란 ?
통일신라때 무역항이었던 가덕도는 조선시대 에는 부산 과 진해로 진입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외양포는 군사 보호구역이라 개발이 불가능해 당시의 흔적이 잘 남아 있다 포진지, 화약고, 헌병부, 건물등 아픈 역사를 증언한다 대항 새바지에는 2차 세계전쟁당시 강원도 탄광 노동자들이 판 일제의 요세 동굴이 있다

대항 외양포의 안내도

가덕도 대항마을 전경(이곳 "소희 네집에서 " 중식 해결)

지난 정부 시절 거론됬었던 신공항 예정 해안을 바라보고 (지금 재차 거론 되고있음)
전망대 에서 바다를 바라 보며 모형은 뜬금 없이 비행기 모형이다(아마 신공항을 의미)

자기들이 무었이길래 대한민국을 점령하고 우리의 백성들로 하여금 중노동과 착취로 자기네 땅도 아니면서 마구 파 뒤집어 놓고 우리가 힘이 없어서 당했지만 많이 반성 해야 될것 같다
참으로 통탄 할일이다
새바지 마을에 도착 일본 군인들이 파놓은 대항 암반 3 연 동글

새바지 3 연결 동굴

3 연결 동굴 중 산 반대편 백사장 으로 향하는 포 구멍

포 구멍이 십자 모양으로 만들어진 바닷가 방향으로 지나 반대편 백사장의 출구쪽
이곳에는 잘아는 낚시꾼 들만 이 낚시를 하는가 보다


가덕도에서 맛집으로 유명한 "소희네 집" 평소에는 12시를 넘기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데
우리는 11시 30분 에 도착 문을 열기를 기다려서 1착으로 줄을 서지 않고 착석 하여
깔끔하고 색다른 정식을 맛있게 먹고 외양포 마을에 있는 일제시대의 포 진지를 보러 간다

식사후 외양포에 있는 일제 시대의 포 진지 일본군들의 막사 등을 둘러본다

일본군인 들의 막사 지금은 현지인들이 산다

오른편 삼각 지붕은 포탄 보관창고





포탄 보관창고

뒤 밑에 보이는 원형이 포대자리


가덕도를 돌아보고 바다밑 수심 40m의 침매터널 을 거쳐 거가대교를 지나

가덕도를 지나 저도 위의 거가대교 와 침매터널 를 지나(지도의 힌색 선)

거제도의 김영삼 대통령 생가를 둘러보고


김영삼 대통령 부부와 함께 한컷


차미숙 정책 발표중

김영삼 대통령이 공부하든 방 , 책상


바람의 언덕 오솔길(둘이서 무슨 할 말이 많은지? )







바람의 언덕 명물 핫도그를 맛을보고

차미숙 친구가 운영하는 망치마을의 "거제 연수원" 이정미,김해진 부부가 추천한 거제포로수용소 옆의 계룡산 모노레일을 한번 타보고 계룡산 에 올라가 보라고 하여 포로수용소 로 다시 간다

거제포로 수용소는 대한민국의 아픈역사 6.25 전쟁의 결과로 생긴 거제시 신현읍 고현리에 1949년 제네바 협정에 의하여 세웠다 규모가 1200 정보 (360만평)정도의 넓비에 6,25 전쟁 포로 중공군, 인민군 등 30만명 정도가 수용 되어 휴전을 앞두고 휴전이 되면 북한으로 가겠다는 친공 포로 와 대한민국에 남겠다는 반공 포로 의 다툼으로 포로석방을 앞두고 수많은 사건과 친공 포로 들이 반공 포로 들을 린치와 인민재판으로 몽둥이와 죽창등으로 많은 포로들을 살해를 하여 아침이면 시체들이 쌓이고 포로석방을 앞두고 미군 돗드 수용소 소장 납치 등을 저지르다가 북한과의 포로 교환을 상호 마무리 하고 1953년 9월 6일 폐쇄 되었다



당시 포로수용소 내무반

모포가 없어 짚으로 짠 바닥
모노레일 탑승권(경노 우대권 2명 ?)
모노레일 탑승장 대기


계룡산 정상 에 하차 전망대로 향한다

계룡산 정상 근처의 포로수용소

계룡산 정상 밑의 포로수용소

계룡산 정상 에서 한컷

내려오는 모노레일 안에서

다시 학동 흑진주 해변으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