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직골 <펌>
청계농협 맞은편 마을을 지칭하며,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의곡면 하청계동이
라 불렀다고 한다. 이곳은 지대가 높고 사질토(沙質土)여서 '녹두밭머리'라
할 만큼 아무 곡식도 되질 않아 가물면 재앙이 온다고 하여 '한재골'이라 했는
데, 지금은 '한직골'로 통칭되고 있다. 일설에는 이 마을 동쪽에 있는 산 줄기
가 풍수로 보아 여인이 베를 짜는 형국이어서 마을 이름을 '환직골'이라 했다
는 것이며, 또 '한직골'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일제 때 일인들이 부르던
지명이라고 한다. 음성 박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그 외 제가 알기론 큰길 건너가 옛골인 모양인데 '채세영선생 묘역 신도비'가 있고
'이희승 박사 생가'가 있고 큰 도로 서울 방향으로 조금만 가면 '하우현 성당' '도깨비 도로'
'정인섭 동요비' 가 있고 백운호수 쪽으로 오른편, '임영대군 묘역' '모락산'. 쭉 더 가면
'철도 박물관' '안자묘' '한익모 선생 묘역' '왕송 호수' '자연학습 공원'이 있대요)
*또 펌 (청계동 주민센터에서)
[ 청계동(淸溪洞) ] 지명 유래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의곡면 상청계동과 하청계동이었다가 1914년 부령 제111호에 따라 수원군 의왕면 청계리로 되었다. 그후 1949년 8월 15일 화성군 일왕면 청계리로, 다시 1963년 1월 1일 시흥군 의왕면 청계리로, 이어 1980년 12월 1일 의왕읍 청계리로 되었다가, 1989년 1월 1일 의왕시 청계동으로 불렀다.
청계동은 독정·상적막·옥박골·원터·장자터·점말·청계골·토골·한직골 등의 자연취락이 있다.
▣ 독정(獨亭)
토골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인동 장씨의 오랜 세거지이다.
독정의 유래는 조선시대에 이곳은 민가라고는 없고 오직 정자만이 있어 인근의 사람들이 ‘독정’이라 부른데서 연유하고 있다고 한다.
▣ 상직막(上直幕)
청계동 마을회관 주변에 있는 마을이다. 1972년 마을회관이 건립되면서 민가가 늘기 시작하였다. 전주 이씨 덕흥대원군과 후손중에 진산군(晋山君)이 이곳에 막을 짓고 살았으므로 ‘상직막(上直幕)’이라 부르고 있다.
▣ 옥박골
한직골에서 청계사 가는 초입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이곳에는 죄인을 가두는 옥(獄)이 있었으므로 ‘옥박골’이라 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 후 옥이 철거되면서 그 주변일대를 ‘옥터밭’이라 부르고 있다.
▣ 원터(院址)
하우고개 밑에 있는 마을로, 성남시 운중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곳은 광주·인덕원·과천을 잇는 동양원(東陽院)이란 역이 청계동 188번지에 있었다 하여 처음에는 ‘역원터(驛院址)’라 했다가 일제 초부터 ‘원터(院址)’라 부르고 있다.
이 마을은 1880년대에 하우현 성당이 생기면서 민가가 늘기 시작하였는데, 현재의 주민 대다수가 천주교인이다.
경주김씨와 밀양박씨등이 오래전부터 세거해 왔다.
▣ 장자터
원터와 토골사이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에 큰 부자가 살았던 곳이라 하여 ‘장자터’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전주 이씨의 오랜 세거지로 이곳에 명륜보육원이 있다.
▣ 점말(店村)
상청계 동쪽 끝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 말엽에 이곳에서 그릇을 구었다고 한다.
▣ 청계골(淸溪동)
이 마을은 조선 태조 이성계와 친분이 두터웠던 박순의 큰 아들 박소의 묘를 이곳에 쓴후 그의 후손들이 묘하에 거주하면서부터 취락이 형성된 곳이다.
그 후 전주 이씨 익양군의 넷째 아들인 단천군의 묘를 상청계능마루에 쓴후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마을이 더욱 번창하기 시작하였다.
청계골은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마을회관에서 청계사입구에 이르는 지역을 ‘상청계’, 마을회관에서 철도청 자매교에 이르는 지역을 ‘중청계’, 청계 시내버스 부근(한직골)은 ‘하청계’라 부르고 있다.
▣ 토골(土谷)
장자터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1800년대 중엽 정부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천주교도들이 이곳에 토굴을 파고 숨어 살아 취락이 형성된 곳이다.
그후 교인들은 천주교가 공인되자 원터에다 하우현 성당을 세워 예배를 보기 시작하였다.
▣ 한직골
청계 시내버스 종점 주변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의곡면 하청계동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곳은 지대가 높고 사질토(沙質土)여서 ‘녹두밭머리’라 할 만큼 아무 곡식도 되질 않아 가물면 재앙이 온다고 하여 ‘한재골’이라 했는데, 지금은 ‘한직골’로 통칭되고 있다. 일설에는 이 마을 동쪽에 있는 산 줄기가 풍수로 보아 여인이 베를 짜는 형국이어서 마을 이름을 ‘환직골’이라 했다는 것이며, 또 ‘한직골’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일제 때 일인들이 부르던 지명이라고 한다. 음성박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 검청골
옥박골 서쪽 산 등성이 너머에 있는 골짜기로 이곳의 흙이 유난히 검고, 소나무는 푸르다하여 ‘검청골’이라 부르고 있다.
● 광골
국은봉 아래에 있다. 골짜기가 크고 넓어 ‘광골’이라 부른다.
● 국은봉(國恩峯)
청계사 앞에 있는 봉우리로 고려 말엽 조견이 이 봉우리 꼭대기에서 나라(고려)의 은혜를 생각하였다 하여 ‘국사봉(國思峯)’ 또는 ‘국은봉(國恩峯)’의 이름으로 불러오다가, 이 봉우리 밑에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개원되자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이곳에 들러 ‘국은봉(國恩峯)’으로 명명했다고 전해진다.
국은봉을 일명 ‘쌀개봉’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방아허리에 가로 맞추어서 방아가 걸려 있도록 마련한 나무막대기인 쌀개처럼 봉우리가 생겼기 때문이다.
● 노은골(老隱谷)
마을회관 뒤 터골의 서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이곳은 조선 초기에 음성박씨의 훈손인 박연이 관직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은둔생활을 하던 곳이기도 하다.
그의 호가 노은(老隱)이므로 그의 아호를 따서 ‘노은골’(老隱谷)이라 부르고 있다.
● 노적봉(露積峯)
상청계와 원터사이에 있다. 봉우리가 노적가리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노적봉(露積峯)’이라 부른다고 한다.
● 덤박골
탱골 밑에 있다. 골짜기의 모습이 마치 듬박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듬박이란 옷감이나 종이 등을 벨 때 사용하는 가위의 다리를 말한다.
● 독가마골
원통절터 밑에 있는 골짜기이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에서 간장이나 술 또는 김치같은 것을 담가 두는데 사용하는 독을 구웠다고 한다.
● 동편골(東便谷)
용갱이골 동쪽에 위치해 있는 골짜기이므로 ‘동편골’이라 부르고 있다.
● 때골
원터와 안양시 공원묘지 사이 양지바른 곳에 있는 산골로, 골짜기가 넓고 짧다.
● 망경대(望景臺)
청계산의 주봉으로 해발 618m에 이른다. 이곳에 석대가 있기 때문에 이를 ‘망경대’라 부른다고 한다.
본래의 이름은 ‘만경(萬景)’이라 하여 이곳에 이르면 눈아래 만가지 경치가 전개된다는데서 유래한 이름이었으나 고려말엽을 지나 이씨 왕조가 들어서자 거지같은 차림에 초라한 선비가 만경대에 오른 후로는 만경(萬景)이 ‘망경(望景)’으로 바뀌었으니 그가 바로 고려말엽의 충신 조견(본명은 趙胤)이었다.
조견은 조선의 개국공신 조준(趙浚)의 아우로 이색·길재·원천석등과 함께 고려를 빛낸 명유(名儒)이자, 충신이었다.
그는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황급히 두류산(頭流山)_으로 은거하였다. 태조가 호조전서의 교지와 개국공신 2등으로 평양군에 봉한다는 교서를 내렸으나 이를 거절하고 “송산에서 고사리를 캐먹는 것이 소원이요, 성인(임금)의 신하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라 하여 이름을 조윤에서 조견으로, 자를 종견(從犬)으로 고쳤다. 나라가 망하였는데 구차하게 목숨만 살아 있으니 개와 같다 하여 이름을 견으로 고치고 또한 개도 주인을 연모하고 의리를 따른는다는 뜻에서 자를 종견(從犬)으로 고친 것이다. 그 후 그는 두류산에서 청계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곳은 증조부 조인규가 중창한 청계사가 있고 영정을 모신영당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청계산 산정에 올라 송경(松京)을 보고 통곡하므로 그 후부터 사람들이 만경대를 ‘망경대(望景臺)’라 불렀던 것이다.
조견이 청계산에 있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이성계는 친히 청계산을 찾아 그에게 조선왕조에 들어와 함께 일하도록 권유했으나 멀리 종경만 바라볼뿐 아무말도 하지 않자 조견의 마음이 금석(金石)같음을 간파한 이성계는 그가 울던 자리에 초막을 지어 주었으나 이를 마다한 조견은 곧 청계산을 떠났다고 하며, 바로 이 초막이 있었던 자리가 오늘의 ‘망경대’이다.
● 망바위(望岩)
얼경바위와 분두골 사이에 있다. 일제 때 밀주조사를 하기 위하여 일인들이 이 바위에 숨어 망을 보았다고 한다.
● 매봉
청계동 상청계와 과천시 막계동에 걸쳐있는 산으로, 청계산의 연봉이다. 산봉우리는 매와 흡사하며 348.8m에 이른다.
● 벌통바위
하우현 성당 뒷산에 있다. 이 바위 밑에 굴이 뚫려 있는데 이곳에서 토정꿀을 채취했다고 한다.
● 분두골
덤바위골 밑에 산소가 많아 ‘분두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 불당골(佛堂谷)
상청계앞에 조선시대에 절이 있었다 하여 이곳을 ‘불당골(佛堂谷)’이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 뽀죽봉
국은봉과 매봉 사이에 있는 봉우리로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 사람절터
안골 서남쪽에 조선시대에 사찰이 있었다가 폐사되자 어떤 사람이 그 절터에 집을 짓고 살았다고 한다. 그 후부터 이곳을 사람절터라 지칭하였다하며, 일명 ‘물방아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 사만이들
청계 시내버스 종점에서 동북쪽에 있는 들이다. 한재골의 산 내령이 흡사 기러기(雁) 세 마리가 앉아있는 형국이라 하여 ‘삼안이(三雁)들’이라 했는데, 후대에 내려오면서 ‘사만이들’로 통칭되고 있다.
● 삼박골
ㅣ안양시 공원묘지 남쪽으로 조선시대에 이곳에 삼(痲)을 심었다 하여 ‘삼밭골(痲田谷)’이라 했다고 한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삼박골’로 통칭되고 있다.
● 서당재
하우현 성당뒤에 있다. 이곳 산 중턱에 서당이 었었다고 하나 정확한 위치는 알수가 없다.
● 서당재고개
원터와 청계사 사이에 있다. 비포장도로로 현재는 사람이 다니지 않는다.
● 서리골
국은봉 밑에 있는 골짜기로, 음지(陰地)여서 서리가 일찍 내린다.
● 안골
국은봉과 청계사 중간지점으로 청계사 안에 있는 골짜기이다.
● 알바위
하우현 성당 서쪽에 있는 바위로 바위 가운데 부분이 계란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약정바위
용갱이골과 삼박골 사이 도로변에 있는 바위로, 일명 ‘노적바위’라 부르기도 한다.
구전에 따르면 조선시대에 광주목 사리에 사는 염부(鹽夫)들이 사소한 일로 언쟁이 일어나자 이를 담판지으려고 당시 관아가 있던 경안으로 가는 길에 이 바위에 이르러 서로 잘못을 뉘우치고 서로 화해하기로 약정했다고 한다. 그 후부터 이 바위를 ‘약정바위’라 부르고, 바위가 놓인 고개를 약정하기로 하우했다고 하여 ‘하우고개’라 부른다고 한다.
● 얼경바위
덤박골 중간지점에 있다. 바위가 험상굳고 얼겄으므로 ‘얼근바위’ 또는 ‘얼경바위’라 부른다고 한다.
● 용갱이골(龍光谷)
안양시 공원묘지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구전에 따르면 아주 먼 옛날에 청계사 호래미골 밑 원통절터에 있는 바위에서 어느 스님이 독경을 하자 별안간 바위에서 혹이 나왔다고 한다.
그 후 어느날 소나기가 쏟아지자 혹이 터지면서 금송아지 두 마리가 나와 한 마리는 현 청계사 부근으로 가더니 없어지고, 다른 한 마리는 다른 골짜기에 이르자 용으로 변하더니 광채를 내며 승천했다고 한다.
그후부터 이 골짜기를 용이 광채를 낸곳이라 하여 ‘용광(龍光)이골’이라 했는데, 시대변천으로 ‘용갱이돌’로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에서 백자를 굽기도 하였다고 한다.
● 용모안산(龍池案山)
서리골 밑에 있는 산으로 아주 오랜 옛날 이산의 정상에 있는 연못에서 용이 승천했다고 한다.
● 원통절터
청계사는 본래 호래미골 밑에 있었다고 한다. 이곳은 천하 명당자리인데 원인모를 불이나자 현재의 자리로 청계사를 옮기자 스님들이 원통하게 여겼다고 한다. 현재도 절터가 그대로 남아 있다.
● 인동골들
검청골 밑으로 하청게와 중청계 사이에 있다. 마을 인동 골짜기에 있는 들이므로 ‘인동골들’이라 부른다고 한다.
● 작은골
삼박골 밑에 있으며 골짜기가 좁고 짧다.
● 장승박이
청계사 입구 길 양편에 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의 두 장승이 있었으나 일제 중엽에 없어졌다.
● 절내미고개
청계사와 과천시 막계동 사이에 있다. 예전에 과천 사람들이 이 고개를 넘어야 청계사를 갈수 있었다고 한다.
● 제빌재고개
청계골 모퉁이에서 과천시 갈현동 제비울로 가자면 반드시 이고개를 이용했다. 본래의 이름은 ‘제비울재고개’이다.
● 진골(陣谷)
하우고개 남쪽으로 삼박골 위를 칭한다. 조선시대에 전란이 일어나자 군인들이 이곳에 진을 치고 있었다고 한다.
● 진산(晋山)모퉁이
청계골 상청계 입구에 있는 산 모퉁이를 kf한다. 예전에 전주 이씨 덕흥대원군파 후손들이 그의 선조인 진산군(晋山君)의 묘소를 가자면 반드시 이곳을 거쳐 갔다고 하여 ‘진산모퉁이’라 부른다고 한다. 진산군의 묘소는 상청계 탱골에 있다.
● 청계교(淸溪橋)
청계동 한재골과 포일동 경계로 청계 시내버스 종점에서 서쪽으로 약 500m지점에 있는 다리이다. 다리의 길이 33m, 교폭 7.5m로 1970년 9월 18일에 착공하여 1970년 12월 10일에 준공되었다.
● 탱골
독가마골밑 서편을 말하낟. 이 골짜기 뒤 산봉에다 조선시대에 어느 왕자의 태(胎)를 묻었다고 한다. 이곳에 전주 이씨 익양군의 손자 순성군(順城君)의 묘가 있다.
● 터골
청계동 마을회관 뒤에 위치한다. 조선시대 큰 부자가 살던 집터가 있었다 하여 이곳을 ‘터골’이라 부른다.
● 하우고개
청계동 원터 마을과 성남시 운중동 사이에 있는 큰 고개를 말한다.
구전에 따르면 조선시대 광주목의 영역이 현 안산시 반월동 사리에 까지 이르렀는데, 어느 때인지는 확실히 알수는 없지만, 하루는 사리에 사는 염부들이 소금밭에서 작업을 하다가 사소한 일로 시비가 벌어지자 이를 가리기 위해 당시 관아가 있던 경안으로 가는 길에 이 고개에 이르러 서로 하우(和解)했다고 한다.
그후부터 이 고개를 ‘하우고개’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 호래미터골
조선시대에 어느 홀아비가 살았던 곳으로 청계사 아래에 있는 골짜기이다.
● 횟골(灰谷)
안양시 공원묘지가 자리잡고 있는 곳을 말한다. 이곳의 흙 색깔이 장례 등에 쓰는 회성분이기 때문에 ‘횟골’이라 부르고 있다. 공원묘지 인근은 골짜기가 크므로 ‘큰횟골’이라 부르고 큰 횟골 너머는 골짜기가 작으므로 ‘작은횟골’이라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