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의 언어
심지어 크메르 민족이 아닐 경우에도, 대부분의 캄보디아인들은 크메르어로 말하며, 정부의 공식언어 역시 크메르어를 채택하고 있다. 태국과 베트남, 그리고 라오스에 살고 있는 크메르족의 경우, 캄보디아에서 온 크메르 원어민의 말을 일정 정도는 알아 들을 수 있다.
캄보디아 내 비주류 언어에는 베트남어, 참어(Cham), 중국의 몇몇 방언들 및 "산악지대 소수부족"(hill tribes) 언어 등이 포함된다.
오스트로아시아-몬-크메르 어족 (Austroasiatic-Mon-Khmer)
크메르어는 "오스트로아시아 어족"(the Austroasiatic phylum of languages)의 하나인 "몬크메르어군"(Mon -Khmer family)에 속한다. 미국의 언어학자 데이빗 토마스(David Thomas)와 로버트 헤들리(Robert Headley)는 몬-크메르 어족을 다음과 같이 9개의 분파로 나눈다.
1. 캄보디아 서부와 태국 동부의 페아어(Pearic) 2.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라오스의 크메르어(Khmer) 3.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의 바나어(Bahnaric) 4.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의 카투어(Katuic) 5. 라오스, 태국, 중국의 크무어(Khmuic) 6. 버마와 태국의 몬어(Monic) 7. 버마, 중국, 태국의 팔라웅어(Palaungic) 8. 인도 아쌈 지역의 카시어(Khasi) 9. 베트남의 베트남-무옹어(Viet-Muong )
몬-크메르 어족 가운데, 베트남어 사용 인구가 가장 많고(약 4700만 명), 크메르어 사용인구가 바로 그 뒤를 잇고 있다(약 800만명).
베트남어, 태국어, 라오어(=라오스어) 및 중국어와 비교할 때, 크메르어는 성조변화가 없는(nontonal) 언어이다. [외래어가 아닌] 순수한 크메르 단어들은 한 음절 혹은 두 음절로 구성된다. 크메르어에는 곡용이 없지만(uninflected [역자 주] 하나의 단어 안에서 어미변화를 안 함) 파생어를 만들 때는 삽입사(infixe)를 포함한 풍부한 접사(affixe)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크메르어는 명사(별도의 범주인 대명사 포함), 동사(상태동사와 형용사), 부사, 그리고 "문장구성성분"(particles: 여기에는 동사-부가어, 전치사, 접속사, 접미사, 감탄어미 등이 포함됨)이라 부를 수 있는 다양한 낱말들을 가지고 있다.
크메르어의 여러 단어들은 카멜레온처럼 맥락에 따라 말하는 위치가 변화된다. 문장의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 순이다. 형용사적 수식어들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의 뒤쪽에 위치한다.
이웃지역의 언어인 태국어, 라오스어, 버마어와 마찬가지로, 크메르어 역시 다른 언어로부터 많은 외래어들을 차용했는데, 특히 산스끄리뜨어(Sanskrit, 梵語)와 빨리어(Pali)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서양언어 사용자들이 라틴어나 그리스어 어근을 사용해 새로운 말 -- 특히 과학적 용어 -- 을 만들어 나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크메르어 사용자들은 산스끄리뜨어나 팔리어 어근들을 이용해 파생어를 만든다. 크메르어는 또한 중국어로부터도 단어들을 차용했다(특히 금융과 상업적 용어들 및 요리와 관련된 용어들). 물론 19세기와 20세기에는 프랑스어로부터도 어휘를 빌려왔다. 특히 이 마지막 사례는 물질적 문화와 관련된 차원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bougie"(점화플러그)가 "부어찌"(buujii)가 된 것과 같이, 특히 현대 서양과학기술과 관련된 명사들이 많다.
크메르어는 남인도의 문자에서 영향을 받아 만든 자모를 사용해 표기된다. 이 문자체계는 33개의 자음과 24개의 독립된 모음, 그리고 몇 종류의 음운론적 변화기호(diacritic)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자음들은 자음군의 두번째 위치에서 사용될 때, 변형된 첨족자(subscripts, 부수문자) 형태로 전환된다'
모음기호들은 자음의 전, 후, 상, 하에 첨가된다.
(크메르의 세계 추가사진) 최근에 무료로 보급 중인 "쭈언 낫 크메르어 사전"의 전자판 보급용 사이트의 배너 사진.
크메르어 맞춤법 통일의 시도가 일부에서 있긴 했지만 실패해, 아직도 많은 단어들이 한 가지 이상의 철자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쭈언 낫(Chuon Nath) 스님의 주도로 프놈펜의 "불교학연구소"(Buddhist Institute)에서 발행한 2권의 사전이 사전편찬(lexicography)의 표준적 저술이다.
크메르어는 3단계로 구분된다.
1. 고대 크메르어(Old Khmer) : 7세기-12세기
2. 중기 크메르어(Middle Khmer) : 12세기-17세기
3. 현대 크메르어(Modern Khmer): 17세기-현재
고대 크메르어는 첸라(Chenla, 眞臘) 시대의 언어일 것이다. 분명하진 않지만, 푸난(Funan, 扶南) 역시 몬크메르어군의 한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크메르어 비문은 프놈뻰 남부의 따께우(Takev) 지방 앙코르 보레이(Angkor Borei)에서 발견된 것으로, 서력기원 611년 경의 것이다.
오스트로네시아 어족(Austronesian languages)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은 마다가스카르(Madagascar)에서 시작해 이스터 섬까지, 그리고 타이완에서 말레이시아에 이르기까지 아시아와 태평양의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그 중 [크메르어를 제외하면] 참어(Cham), 자라이어(Jarai), 라데어(Rade), 말레이어(Malay) 등 4개 언어가 캄보디아에서 사용된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참어이다. 1975년 이전에 서부 참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10만명 정도였다. "서부 참어"(Western Cham)는 캄보디아와 인접한 베트남 내륙에서 사용되는 참어를, 베트남 중부의 해안지대에서 사용하는 참어와 구분하기 위한 용어이다. [역자 주] 캄보디아에서 "이슬람교도"를 "짬"이라고 부른다.
서부 참어는 아라비아 문자, 또는 1960년대 후반 내지 1970년대 초부터 사용된 기독교 선교사가 고안한 영어식 알파벳을 사용한다. 인도 문자에 기반한 전통적인 참어 문자는 베트남의 동부 참어에 아직도 사용되고 있지만 서부 참어에서는 사라졌다.
참어 역시 성조가 없는 언어이다. 단어들은 1음절, 2음절 혹은 3음절로 구성된다. 참어는 아라비아어, 말레이어, 그리고 크메르어로부터 많은 외래어를 빌려왔다. 기본적인 문장구조는 주어-동사-목적어 순이고, 크메르어와 마찬가지로 수식 형용사가 수식하는 명사의 뒤쪽에 위치한다.
캄보디아에서 대부분의 참어 사용자들은 크메르어도 동시에 사용하는 2중 언어 사용자들로, 그들 중 많은 이들이 아라비아어와 말레이어도 동시에 사용한다.
라데어와 자라이어는 참어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고, 캄보디아 북부에서 수천명 씩의 사용인구를 지니고 있다. 이들 언어는 베트남식 표기체계에 기반한 영어식 알파벳으로 표기한다. 이들 언어는 풍부한 구전문학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라데어로 전해진 2종의 서사적 이야기는 필사된 후 책으로 남아 있다.
자료발표 198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