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된 멜라닌 세포나 점 세포가 피부의 바깥층에서 증식을 하여 생기는 것을 점이라고 하며, 경계모반
이라고 합니다.시간이 지나면서 증식된 세포들이 점차 피부의 아래층으로 이동하여 복합 모반이나 진피
모반이 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러한 세포들은 유전적인 영향이나 햇빛에 자주 노출이 되는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증식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점은 어느 한 조직이 불균형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혈관조직으로 된 점도 있고, 색소를 포함한 세포나
모낭세포가 모여서 생긴 점도 있으며, 결합조직으로 생긴 것도 있습니다.
점이라고 해도 색이나 크기, 형태, 조직 등의 여러가지 차이가 나게 됩니다.
보통 점은 신체에 아무런 이상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점점 커진다거나 색이 진해진다거나 가렵고 아프다면
전문 의사를 찾아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점이 생기는 이유 : 점이란 멜라닌이라는 색소가 뭉쳐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우리 머리카락도 대체로 검은색이죠.그것이 멜라닌이 들어가 있어서 그런게 된것네요.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햇빛을 많이 받으면 피부가 타 버림니다.
그것이 원래 타는 것이 아니라 멜라닌이 모이는 것이고.그 멜라닌이 모여서 생기는 것이에요.
주근깨가 생기는 이유 : 주근깨는 강한 자외선을 받으면 많이 생기고 검어진데요...
특히 피부가 흰 여자들에게 많이 생기는데요..
직사광선을 피하고, 비타민 C의 내복 또는 외용, 박리고(剝離膏)나 과산화수소 등의 표백제가 쓰이지만,
완전치유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하네요...
항상 깨끗이 세수 하고 특히 요즘같은 경우엔 썬크림,모자 필수항목입니다~!!
점(색소성 모반, 흑자); 출생 전부터 예정된 모반세포가 나이를 먹음에 따라 커지면서
색소를 침착시킨다. 어릴 때 없던 점이 나중에 생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색소성 모반은 멜라닌세포의 양성증식이며, 흑색종(melanoma)은 그 악성 증식이다.
흑자란 색소성 모반의 초기단계에 적합한 이름이지만 소아 ,청년, 노년층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지속성 병변으로 나타난다. 단순흑자와 노인성 흑자가 있다.
점은 나이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지만 세상에 처음 태어났을 때에는 거의 없습니다.
물론 선천성의 '오타모반'이나 '몽고반점'같은 경우는 예외입니다. 우리 몸에 생기는
점의 대부분은 나이가 들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것입니다.
점의 형태는 편평한 갈색의 반점에서부터 약간 돌출된 점, 희미한 점, 새까만 점, 표면이
거칠고 털이 나있는 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점은 깊이도 다를 때가 많습니다.
피부가 흰 어린이나 여성들의 피부에 깨알같이 색소가 침착되어있는 주근깨는 피부의 표피에
있는 점입니다. 우리가 흔히 점이라고 하는 흑자점 역시 피부 바깥 층에 있으며 대개 깨알에서
쌀알 정도의 크기로 편평한 모습입니다.
간혹 피부표면 위로 도드라지게 큰 점을 볼 수 있는데, 이렇듯 많이 튀어나온 점일수록 뿌리도
깊은 경우가 많습니다. 털이 자란 점은 그 털의 뿌리층까지 깊게 박혀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고도 깊은 점도 있죠. 얼굴 눈 주위에 밤톨내지 오리알 크기 정도의 검푸른
죽죽한 점으로 나타나는 '오타모반'과 어린이 둔부에 보는 '몽고반점'과 '청색모반' 등이 대표적입니다.
점은 대부분 생명을 위협하지 않아 그대로 둬도 무방합니다.그러나 '악성흑색종' 같은 피부암이
의심되거나 '거대선천성색소성모반'처럼 암으로 변질되기 쉬운 점은 일찌감치 깨끗이 제거해야
합니다.따라서 어느날 갑자기 점이 자라기 시작하고 특별한 이유없이 점주변의 피부색깔이 변하면서
가렵고, 아플 때에는 암의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피부나 점막에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 점이 나타난 상태로 흑자라고도 한다.
원인은 흑색소 증가, 혈액이나 금속의 국소 침착, 약물 사용 등이다.
흑색소는 기저상피층의 흑색세포에서 생성되며, 점막 내 흑색세포의 수와 피부의 흑색세포의
수는 같다. 이 색소가 점막 내에 있는 경우에는 활성이 감소한다. 그러나 외상, 호르몬, 방사선 조사
등과 같은 다양한 자극물은 점막의 흑색소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크게 3가지 형태가 있다.
①단순 흑색점:크기는 수 ㎜ 정도로, 보통 1㎝ 이하이다. 경계가 명확한 갈색 또는 검은색 둥근
점이 1개 또는 여러 개가 피부 또는 점막에 생기는데,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다. 시간이 지나도
형태, 색,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소아기에 생기지만 어느 연령층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
악성으로 진행하지 않으면 치료할 필요가 없다.
②노인성 흑색점:얼굴, 손등, 팔 등 장기간 햇빛에 노출된 부위에 다발적으로 색소성 점들이 나타난다.
특히 50대 이후 연령층의 손등과 이마에 많이 나타난다. 예방을 위해서는 될 수 있으면 태양광선이
강한 시간에 외출을 삼가하고, 노출 부위에 자외선차단제 바르는 것이 좋다.
③악성 흑색점:주로 60대 이후 연령층에게 나타나며, 장기간 햇빛에 손상을 받은 부위에 생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고 색이 변한다. 처음에는 갈색 또는 흑갈색 색소반으로 시작하여
수년에 걸쳐 주변으로 퍼져 점차적으로 불균등하게 색이 짙어지면서 4~6㎝ 크기가 된다. 표면은
융기되어 있고, 울퉁불퉁하며, 출혈성이다. 특히 얼굴 부위에 많이 나타나며, 환자의 약 5% 정도는
악성흑색종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제거해야 한다. 치료는 수술을 통한 절제, 레이저 치료,
방사선 치료 등 방법을 사용하는데, 깊이 있는 병변까지 철저하게 제거하면 예후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