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아직 오프라인으로 출판되지 않은 문서입니다. 이 책은 기본 자료실 34번 자료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책 『이해찬 1세대의 외침 – 사교육과 입시 없는 나라를 위하여』의 집필 동기와 내용 구성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이념과 목표에 따라 필자는 주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여러 가지 글들을 올리고 또 신문(한겨레 신문)에도 몇 차례 교육관련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따라서 이 책 「제 1부 교육공화국을 위한 이론적 작업」 에서는 교육공화국 운동에 관한 필자의 논문과 짧은 글들을 실었고 「제 2부 이해찬 세대의 분노」에서는 필자가 가르친 2002년 1학기 경희대학교 교양과목 [사회 윤리의 제문제]를 수강한 학생들이 쓴 교육제도에 관한 레포트와 그에 대한 필자의 논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학생들 중 대다수가 소위 이해찬 1세대라고 불리는 1983 년생, 2002학번들이 많았었습니다. 그들은 이해찬 전 교육부 장관의 교육 정책인 소위 “열린 교육”의 대상이었습니다, 그러나 열린 교육을 받고 난 그들은 “단군이래 최저 학력”을 소지했었다고 놀림을 받은 세대이며 또 나중에는 입시제도의 변덕으로 큰 피해를 본 당사자들이었습니다. 그 중 한 학생은 이렇게 자신의 입시 시절을 회고하고 있습니다 :
“각자의 특기와 적성 하나만을 가지고도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는 말로 많은 이들의 마음을 뒤흔들어 놓았던 그 이해찬 씨의 1세대라고 하는 사람 중에 나도 한 사람이다. 실로 엄청난 교육 정책의 뒤집기와 흔들기로 어찌나 마음 고생을 시켰던지 이루 말로 표현 할 수가 없다. 단군 이래 최저 학력이란 말을 들으면서도 여러 가지 불이익과 어려움을 당했던 세대가 바로 올해 입학한 우리 1학년들인 것이다”.
물론 이해찬 장관 혼자 우리나라 조령모개식, 임기응변적 교육 정책 변화의 책임을 전부 질 이유는 없겠지만 그래도 가장 상징적으로 그런 사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제목을 그렇게 붙였으니 양해를 구하는 바이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을 『이해찬 1세대의 외침 – 사교육과 입시없는 나라를 위하여』라고 붙이게 되었다.
목차
서문 ------------------------------ 1
1. 공화국의 이념 --------------------- 1
2. 이해찬 1세대의 분노 ------------------ 4
제 1부 교육공화국을 위한 이론적 작업 ------- 10
1. 한국의 교육정책의 정립을 위한 준비 ------------- 10
2. 통일은 이미 시작되었다! 이제 남북문제는 지역문제로 축소된다.
(교육공화국 2002.5.28) --------------------- 15
3. "평준화 깨기" - 잘못된 문제설정 --------------- 16
4. 점점 벌어지는 지역간의 차이 ----------------- 18
5. 대학 교육 시스템 분류 (교육공화국 2002.5.13) ------- 19
6. 교육공화국 운동 취지문 (2002. 5.25) ------------- 24
7 . 교육공화국 편지 2 – 공화국의 이념 (2002. 6.4) ------ 25
8. 공화국 편지 3 - 플라톤의 교육학 ( 2002 . 6. 11) ------- 26
9. 공화국 편지 4 - 학벌 철폐 운동과 대학평준화 운동에 대해
(2002.6.11) ------------------------- 27
10. 대학 민영화 주장에 대하여 (2002.6.25) ----------- 28
11. 출발의 평등, 결과의 평등 (2002.6.28) ------------ 29
12. 교육 공화국 편지 6 - 미국 공립학교의 인성교육에 대해
(2002.7.4) --------------------------- 30
13. 교육공화국 편지 7 - 동아리 결성 촉구 (2002.7.12) ---- 31
14. 미국 교육, 더 이상 한국 교육의 모델이 될 수 없다.
(한겨레 왜냐면 2002. 7.16일 투고) -------------- 32
15. 창의력과 무관한 한국의 수학교육
(한겨레 독자칼럼 2002.4.11) ------------------ 34
제 2부 이해찬 1세대의 외침 ----------------- 34
1. 내일을 위한 선택(한국의 교육현실에 대한 나의 견해) ---- 34
「내일을 위한 선택」에 대한 논평 -------------- 36
2. 한국의 교육현실과 개혁방안 ------------------- 36
「 한국의 교육현실과 개혁방안」에 대한 논평 --------- 39
3. 장래 교사의 고민 -------------------------- 39
「3. 장래 교사의 고민」에 대한 논평 -------------- 41
4 . 고등학교는 대학의 수단이 아니다 ----------------- 41
「고등학교는 대학의 수단이 아니다」에 대한 논평 -------- 42
5. 독창적인 자기 개발의 문제 --------------------- 43
「독창적인 자기 개발의 문제」에 대한 논평 ----------- 44
6. 교육 기회의 불평등에 관해---------------------- 45
「교육 기회의 불평등에 관해」 에 대한 논평 ----------- 48
7. 교육부재와 교육망국 -------------------------- 48
「교육부재와 교육망국」에 대한 논평 ---------------- 56
8. 이해찬 1 세대의 분노 ------------------------ 56
「이해찬 1 세대의 분노」에 대한 논평 --------------- 60
9. 제도의 변화, 사람의 변화 ---------------------- 60
「제도의 변화, 사람의 변화」에 대한 논평 ------------- 62
10. 교육 본질의 소외 --------------------------- 62
「교육 본질의 소외」에 대한 논평 ------------------ 65
11.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 65
「뉴질랜드의 고등학교」에 대한 논평 ---------------- 67
12. 모두가 꿈꾸는 교육의 유토피아 -------------------- 68
「모두가 꿈꾸는 교육의 유토피아」에 대한 논평 ---------- 70
13.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성 ------------------------ 70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성」---------------------- 72
14. 사고 능력을 키우는 교육 ----------------------- 73
「사고 능력을 키우는 교육」---------------------- 75
15. 한국 교육의 현 위치 -------------------------- 75
「한국 교육의 현 위치」------------------------- 77
16 . 이제는 정말로 바꾸어야 한다 --------------------- 78
「이제는 정말로 바꾸어야 한다」에 대한 논평 ----------- 78
17. 인적 자원 개발의 허구 ----------------------- 79
「인적 자원 개발의 허구」에 대한 논평 : 교육은 근본적으로 자기 교육이다 - ----------------------------- 82
18. 한국 교육의 전망과 과제 ---------------------- 84
「한국 교육의 전망과 과제」에 대한 논평 ------------ 85
19. 바보로 만드는 교육 ------------------------- 87
「 바보로 만드는 교육」에 대한 논평: 입시위주의 교육은 무능하고
고집 센 인간을 육성한다 --------------------- 88
20. 비평준화 지역의 입시공부 ------------------- 89
「비평준화 지역의 입시공부」에 대한 논평 :
염라대왕 같은 수능 시험 -------------------- 90
21. 기형적인 교육 현실 ----------------------- 91
「 기형적인 교육 현실 」에 대한 논평 : 독일 대학에서의 경쟁
----------------------------------- 92
22.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 95
「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에 대한 논평 : 입시제도 개혁 없이
인적 자원 개발이란 없다 -------------------- 101
23. 놀자판 대학생 --------------------------- 101
「 놀자판 대학생 」에 대한 논평 : "심심한데 졸업이나 할까?"
----------------------------------- 103
24. 이해찬식 교육이 우리에게 남긴 것 ---------------- 99
「 이해찬식 교육이 우리에게 남긴 것 」에 대한 논평 :
지방대와 서울대 -------------------------- 105
25 . 사교육비는 자본의 낭비이다 ------------------- 106
「 사교육비는 자본의 낭비이다 」에 대한 논평 :
사교육을 페지해도 문제없다 ------------------ 107
26. 지식의 세습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 110
「 지식의 세습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에 대한 논평 :
강남공화국 ---------------------------- 114
27. 살벌한 학습 분위기 ------------------------ 115
「 살벌한 학습 분위기 」에 대한 논평 : 상처입은 제2의 탄생기
----------------------------------- 116
28. 학벌 독점 사회 --------------------------- 117
「 학벌 독점 사회 」에 대한 논평 : 대학입시제도 철폐가 살길이다
----------------------------------- 119
29. 획일적, 암기식 교육의 병폐 -------------------- 120
「획일적, 암기식 교육의 병폐」에 대한 논평 :
수학시험을 구두시험으로 보는 독일대학 ------------- 122
30. 학원 중심의 학창생활 ------------------------ 122
「학원 중심의 학창생활」에 대한 논평 -------- ----- 124
31. 대학의 민영화 ---------------------------- 125
「대학의 민영화」에 대한 논평 : 민영화의 폐해 -------- 126
32. 이해찬 전 장관 옹호 ---------------------- 130
「이해찬 전 장관 옹호」에 대한 논평 :
인성교육 중심으로 수업할 수는 없다 ------------- 130
33. 인간성 교육을 위하여 ----------------------- 130
「인간성 교육을 위하여」에 대한 논평 :
교과목 중심이 문제가 아니라 입시 중심이 문제이다 ------ 132
34. 자유로운 미국 교육 ------------------------- 133
「자유로운 미국 교육」에 대한 논평 : 미국교육의 빛과 그림자
----------------------------------- 135
35. 교육공화국의 이념 ------------------------ 137
「교육공화국의 이념」에 대한 논평 : 자유주의의 모순 --- 139
36. 대학 입시제도 변천의 역사 ------------------- 139
「대학 입시제도 변천의 역사」: 대학 자율은 국가적 테두리 안에서
----------------------------------- 142
37. BK21과 국립대 민영화의 문제점 ----------------- 143
「BK21과 국립대 민영화의 문제점」:
철학의 정신은 기업가의 정신과 일치한다 ----------- 147
38. 교육으로부터의 해방을 꿈꾸며 ------------------ 148
「교육으로부터의 해방을 꿈꾸며」------------------------- 151
39. 사랑하는 우리 학교의 모습들 ------------------- 152
「사랑하는 우리 학교의 모습들」: 돈 되는 학문, 돈 되는 공부 - 154
40. 자립형 사립고의 문제 ----------------------- 155
「자립형 사립고의 문제」에 대한 논평 -------------- 163
41. 학교를 탈출하는 아이들 ---------------------- 164
「학교를 탈출하는 아이들」에 대한 논평 ----------------- 168
42. 교과서와 수능시험 ------------------------- 168
「교과서와 수능시험」에 대한 논평 ---------------- 170
43. 학원은 '날아가고', 학교는 '기어가고' ---------------- 171
「학원은 '날아가고', 학교는 '기어가고」에 대한 논평 ------- 173
44. 내일을 위한 선택 -------------------------- 173
「내일을 위한 선택」에 대한 논평 ----------------- 175
45. 파행의 교육역사 --------------------------- 175
「파행의 교육역사」에 대한 논평 ------------------ 179
46. 교육의 불평등한 구조 ------------------------- 179
「」「교육의 불평등한 구조」에 대한 논평 --------------- 180
47. 학교는 군대가 아니다 ------------------------ 180
「학교는 군대가 아니다」에 대한 논평 --------------- 189
48. 평준화와 비평준화 --------------------------- 190
「평준화와 비평준화」에 대한 논평 ------------------ 197
49.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 -------------------------- 197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에 대한 논평--------------- ---199
50. 이해찬 1세대들의 배신감 -------------------- --- 200
「이해찬 1세대들의 배신감」에 대한 논평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