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열
신위바로밑 첫 번째열에는 밥과국.술잔.수저.송편촛대가 놓인다.좌반우갱(左飯右羹)혹은 반서갱동(飯西羹東)에 따라신위를 보며 좌측에 밥을놓고 우측에 국을 놓는다.
일반적으로 놓는 위치와 반대라 생각하면 된다.
두번째열
적(炙)과전(奠)을 놓는 자리.적은불에굽거나 찐음식으로 육적(肉炙).계적(鷄炙.어적(魚炙)이 있다.전은 기름에 튀긴 음식으로 육전(肉煎)어전(魚煎)등이 있다.어동육서(魚東肉西)에 따라 어류는 우측 육류는 좌측에놓는다.
생선을 놓을때는 두동미서(頭東尾西)원칙에 따라 머리가 오른쪽으로.꼬리가 왼쪽으로 가도록 한다.
세번째열
탕(湯)이 놓이는 자리로 두 번째 열과 마찬가지로 어동육서(漁東肉西)원칙이 적용된다.
육탕(肉湯)은 왼쪽에놓고 어탕(魚湯)은 오른쪽에 놓도록 한다.두부와채소를 넣어 만든 소탕(素湯)은 가운데에 놓으면 되는데 탕은 홀수로 놓아야 한다.
네번째열
반찬과 식혜를 놓는 자리로 좌포우혜(左脯右醯)와 생동숙서(生東熟西)원칙에 따라 놓는다.포는 우측에 식혜는 좌측에놓고 날것은 동쪽에 익힌것은 서쪽에 놓는다.
왼쪽부터 포(북어나대구포).나물.간장.김치.식혜순으로 놓으면된다.김치는희게담은김치만 올릴수있다.나물은 삼색으로 마련하는데 도라지와고사리.미나리를 주로놓는다.
다섯번째열
과일와과자등이 놓이는 자리다.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라 붉은 과일은동쪽에 놓고 힌과일은서쪽에 놓는다.
조율이시(棗栗梨枾)에 따라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올리면 된다.
집안에 따라 조율시이(棗栗枾梨)로 놓는곳도 있다
산자와약과등 과자류는 오른쪽에 놓는다.
차례상법칙.궁금한점몇가지?
1.홍동백서.어동육서.조율이시로 놓는 이유가 뭐야?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제례에도 음양오행을 따졌다.홍동백서.도 음양오행에서 유래된 차례상법칙.붉은색은 양이라 동쪽을 상징하고 힌색은 음이라 서쪽을 상징한다고 했다.
어동육서.역시 마찬가지다.땅은 음이요.바다와강은 양이다.
그러니 육지에서 난 고기는서쪽에.물에서 난 고기는 동쪽에 놓는 것이다.
조율이시는 음양오행이아닌 관직과관계가 있다는 애기가 있다
대추는 씨가 하나라 임금을 뜻하니 처음에 놓는다는 것.밤은 한송이에 세개가 들어 3정승을.
배와사과는 씨가6개니 6조 판서를. 감으느씨가8개라 8도 관찰사를 의미해 순서대로 놓았다는 설이 있다
2.차례상에 놓으면 안되는 음식이 있다.?
차례상이 지역마다 다른 이유는 그 지역에서 나는 귀한 음식을 함께 올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례상에 꼭 올려야 하는 음식이 있듯이 올리지 말아야할 음식도 있다.
가장먼저 해당되는건 복숭아와고춧가루 그리고 마늘이다.
복숭아는 무당들이 귀신을 쫓는 굿을할때 올리는 대표적인 과일로 혼령을 쫓는 것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이다.
고춧가루 역시 혼령이 싫어하는 붉은색이기에. 마늘은 향이 강하기 때문에 차례음식에는 쓰지 않는다.
또.갈치.꽁치.삼치등 치.자가 들어간 생선도 차례상에 올리지 않으며.잉어와붕어처럼 비닐이 그대로 붙어있는 생선은 역시 올리지 않는다.
3.과일의 종류는 짝수로 과일 갯수는 홀수로?
차례상에 과일을 놓을때도 음양오행이 적용된다.
제수를 진설할땐 천산양수(天産陽數).지산음수(地産陰數)법칙이 있다.
땅에 뿌리를 내리지 않는 음식은 양의 숫자인 홀수로 하고 땅에 뿌리를 내리는 음식은 음의 숫자인 짝수로 한다는 것이다.
과일은 땅에 뿌리를 두고 나는것이니 음에 해당한다.
그래서 과일은 종류는 음의 성질을 가지는 짝수로 놓아야 한다.
하지만 한 접시에 올리는 과일갯수는 홀수로한다.
이는 과일이 음이므로 양의 숫자인 홀수로 올려 조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과일의 아래와 위를 깍는건 조상님들이 드실수 있도록 혹은 높이 쌓아 올리기 쉽게 하기 위해서라는 의견이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