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충대상 관리방법
♣ 1차 방지대책 : 방충의 3단계에 따라 방충방서 설비를 마련해야 하며 작업장내로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외곽지역에 대한 1차 차단을 위한 대책을 수립합니다.
■ 조명 : 출입구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
■ 건물인접 조경 : 나무 금지, 잔디보다 자갈을 추천
■ 쓰레기장, 오폐수 처리장, 하수구 등 : 정기적인 소독 실시
■ 트랩, 끈끈이, 초음파퇴치기, 살충제, 기피등 등을 설치
♣ 2차 방지대책 : 작업소내로 침입하는 해충을 차단하기 위하여 출입구, 창문, 작업장내
하수구 관리 등의 2차 차단 대책을 수립합니다.
■ 출입문 하단 틈새를 고무판 등으로 완전히 막는다.
■ 창문의 방충망 설치
■ 설치된 방충망 틈새를 실리콘등으로 잘 막는다.
■ 작업장내 하수구 - U-Type Trap 설치 등
■ 출입 이외에는 항상 항상 문을 닫도록한다.
(자동문, 에어커튼, 비닐커튼, 등)
♣ 3차 방충관리 : 유인등을 이용하여 비례해충을 유인 후 포집 또는 살충
■ 살충등 : UV램프로 유인하여 전력을 이용해 태워 죽임(모니터링 불가)
■ 외부로 빛이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외부 해충을 유인할 소지가 있음)
■ 설치위치 : 지면에서 1.5~2m(높거나 낮을 경우 효과없음)
■ 살충등은 곤충의 파편으로 인한 오염의 발생소지가 있으므로 작업소내
설치불가 (창고 등 일부지역에 설치가능)
■ 해충을 UV램프로 유인하여 끈끈이로 포획하는 방식은 작업소내 설치 가능(모니터링 가능)

◈ 방서대상 관리방법(쥐)
주요 방서 대상인 쥐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건물뿐만 아니라 외곽지역까지 확대하여 방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살서제의 경우 작업소 내부에 설치하지 않으며 건물외부에 설치를 하도록합니다.
※ 쥐의 주 출입경로 : 배수로, 배관틈새, 출입문 틈새, 야적 물건 혼입 등
※ 방서설비 : 초음파 퇴치기, 쥐덫, 살서제, 끈끈이 등
■ 건물외곽 : 침입경로를 파악 후 약제를 두어 1차 차단

■ 건물내부 : 각 종 트랩을 설치하여 2차 차단

■ 작업소내 : 쥐덫, 끈끄이, 초음파 퇴치기를 설치하여 3차 차단
※ 월별 모니터링을 통하여 포충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기준초과 시 적극적인 보완작업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외곽 서식지의 소독실시
■ 출입문 에어커튼, 방충망 등의 점검 및 수리
■ 건물 하수구, 화장실 소독 및 점검 및 보완
■ 작업장내 서식 가능한 벽면, 틈새 등에 대한 청소 및 소독, 틈새메움 등
제품이나 원자재의 오염 및 파손 등이 발생하여 클레임이나 부적합 사유가 발생한 경우 어떠한 과정에서 혼입이 되었는지를
파악하고, 동일한 클레임 사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며,
적극적인 방충,방서의 활동을 통하여
곤충이나 해충의 혼입등으로 인한 제품 품질의 이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첫댓글 너무 감사 드립니다!!!
좋은 자료네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죄송하지만 파일로 받아볼수는 없나용? ㅜㅜ
감사합니다
세스코 계약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필요한가요?
거기까지는.. gmp를 생각하다면 좋지만 넓지안다면 하실수있을거에요
좋은 정보 감사 드립니다.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