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ynamics의 의미
Dynamics을 일반적으로 강약법이라고 해석하는데, 성악의 경우에는 강약법이란 표현보다는 음량법(대소법)이란 표현이 더 적절하다고 말할수 있다. 왜냐하면 성악의 경우 공기 사용량의 적음과 많음으로, 또는 공기 사용량이 동일하더라도 공기 사용의 효율을 높여서 p와 f 를 표현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Dynamics라는 말에는 소리의 강약과 셈.여림과 대.소등의 의미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할수있다.
>2.강약기호(Dynamic Signature)
가.고정기호
fff > ff > f > mf > mp > p > pp > ppp < pp < p < mp < mf < f < ff < fff
(점점 어둡게)-------------------> (점점 밝게)----------------------->
* forte는 밝게, piano는 어둡게, 따라서 crescendo는 어두운 음색에서 점점 밝게 연주하고, diminuendo는 밝은 음색에서 점점 어둡게 연주하라.
* ppp 대신에 piano possible(되도록 여리게), fff 대신에 forte possible(되도록 세게) 또는 contutta la forza(온 힘을 다해서)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나. 변화기호
cresc.(<) --- crescendo ---- 점점 세게(또는 크게)
decresc.(>) --- decrescendo --- 점점 여리게(또는 작게)
dim. ---- diminuendo --- 점점 여리게(또는 작게)
* 변화기호가 있는곳에서는 음량이 점점 많아져서 소리가 서서히 커지고, 음량이 점점 적어져서 소리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해야 한다.
* 독일의 피아니스트겸 평론가 Hans von Bulow(1830-1894)의 "cresendo 할 때는 piano를 생각하고 diminuendo 할 때에는 forte 를 생각하라"는 말은,
cresc.하려면 먼저 p가 되어야 하고, dim.하려면 먼저 f 가 되어 있어야만 한다는 뜻임.
다. 강조기호
^ , > ---- Accento ----그 음(또는 화음)만 세게
* 기호가 붙어있는 음 전체를 강조하라는 의미. ^ 가 >보다 더 강조되도록 해야함.
sf. sfz.------ sforzando -------- 그 음(또는 화음)만 세게
fz.---- forzando ----- 그 음 (또는 화음)만 세게
* 기호가 붙어있는 음 전체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fp와 같이 강조한 다음 곧 원래의 크기로 돌아가도록 해야 함
rf. rfz. rinf. --- rinforzando ---- 매우 세게
* 기호가 붙어있는 음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짤막한 Phrase 전체를 강조하라는 의미를 갖음.
라. 특수기호
fp. --- forte piano --- 세게(또는 크게) 그리고 바로 여리게(또는 작게) / pf --- piano forte --- 여리게(또는 작게)그리고 바로 세게(또는 크게)
m.v. --- mezza voce --- 중간 크기의 소리로 / s,v. --- sotto voce --- 약간 억누른(속삭이는 듯하) 소리로
poco piano --- 약간 여리게(또는 작게) / poco forte ---약간 세게(또는 크게) / meno piano --- 그다지 여리지(또는 작지)않게 / piu forte --- 더욱 세게(또는 크게) / piu piano --- 더욱 여리게(또는 작게) / subito piano --- 갑짜기 여리게(또는 작게)
>3. 다이나믹의 상식적 표현법
가. 선율고저에 의한 표현법(자연스런 표현법)
대화시 강조할 부분에 감정이 점점 고조되면 격하여 큰소리로 높고 크게 말함과 같이 선율이 높아질수록 점점 크게 노래하며(이완작용), 감정이 가라 앉을 때는 낮고 작게 노래하는 표현법을 말한다.
나. 음표의 장단에 의한 표현법
고대 건물이 장엄하게 우리 눈에 비취어 그것이 마음속에 전달되듯 일반적으로 긴 음표는 보다 강하고 무겁게, 짧은 음표는 보다 여리고 경쾌하게 표현하는 것을 말함.
다. 악곡 형식에 의한 표현법
두도막 형식의 곡일 경우에 앞 큰악절(Period)의 앞 작은악절(Phrase)이 mf의 표현으로 한다면 뒷 작은악절은 mp로 한다든지 혹은 그 반대로 표현할 수 있다. 또 뒤 큰악절과 앞 큰악절과의 대조를 위해 p 나 mp가 좋을 것이며, 선율이 중복되면 대조적인 표현, 즉 p 면 f 로, f 면 p 로의 반향작용(Echo; 메아리 창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세도막 형식은 전후 악절과 중간 악절간에 대조를 이루는 것이 좋다.
라. 가사 내용에 의한 표현법
합창음악에 있어서 가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역활을 한다. 악곡이 비록 f 를 요구하는 부분일지라도 슬픔, 동정, 기원, 반성 등의 내용을 갖고 있다면 그렇게 강열한 f 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이때 차라리 긴장된 p 가 더 나은 표현일 수도 있다. 그와는 반대로 장엄, 용기, 희망, 확신 등엔 밝은 표현인 f 로 노래해야 할 것이다.
>4. 악센트 표현법
음악에 있어서 좋은 합창을 만들기 위해 표현에 신경써야 할 부분중 하나가 악센트이다. 악센트는 크게 규칙적 악센트(Regular Accent)와 불규칙 악센트(Irregular Accent)로 나뉜다.
가. 규칙적 악센트:
박자 악센트(Metrical Accent)라고도 하며, 규칙적으로 각 박의 주박인 강박에 붙는 악센트.
2박 : 강 약 / 3박 : 강 약 약 / 4박 ; 강 약 중강 약 / 6박 ; 강 약 약 중강 약 약
나. 불규칙적 악센트:
리듬 악센트(Rhythmical Accent)라고도 하며, 박자와 관계없이 리듬의 구조에 의해 붙는 악센트로 다음과 같이 세분화 된다.
1) 다이나믹 악센트(Dynamic Accent)
강약의 변화를 주기 위한 악센트로, Syncopation이나 약박에 악센트가 붙는다. 이는 소리를 크게하고 작게하는 역활을 한다.
2) 피치 악센트(Pitch Accent) = 주음 악센트(Tonic Accent)
음악의 선율에 특별히 주의해야 하며, 음정이(비록 약박이라도) 그 악구내에서 최고음이거나, 최저음이 되면 자연적으로 악센트가 생긴다.
3) 아고긱 악센트(Agogic Accent)
이 역시 선율에 주의를 요해야 하며, 주위의 리듬보다 길어질 때 자연적으로 생기는 악센트
4) 가사 Accent(Word painting의 수단)
성악 음악에서는 가사가 음악과 일치된다. 이는 가사가 감정과 서로의 의사를 표현함에 있어 통하는 키(Key)가 있기 때문이다. 정확한 가사의 악센트는 성악곡의 흐름과 선율의 감정표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요한 단어를 찾고 선율의 흐름과 가사의 흐름을 알아 악센트를 잘 표현해야 하겠다.
5) 음절 Accent
Phrse끝에 두개의 음이 있을 때, 특별히 같은 음으로 되어 있는 경우 항상 앞에 음이 악센트를 가진다. 이러한 악센트를 "음절 Accent"라고 한다.
* 참고서적; 이선우 저 "요점을 콕 찍어주는 성가대 지휘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