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람가능
김숙검(金叔儉) 호 괴정(槐亭) : 김숙검(金叔儉)의 생몰년은 알 수 없다.
조선 전기에 지금의 인천광역시 남구가 속해 있던 인천군(仁川郡)의 지군사(知郡事)를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호는 괴정(槐亭)이다. 아버지는 김로(金輅)이고, 할아버지는 김광부(金光富), 증조할아버지는 김지예(金之銳)이다.
1417년(태종 17) 정유 식년시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수문전직제학(直提學)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1454년(단종 2) 6월에 부지승문원사(副知承文院事)로 있다가, 인천지군사(仁川知郡事)로 부임하여 1457년(세조 3) 7월까지 재직하였다. 김숙검은 1455년(세조 1)에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김숙검의 묘소는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위안동에 있다.
(참고문헌)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세조실록(世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인천부 읍지(仁川府邑誌)』
『태종실록(太宗實錄)』 인천광역시사 편찬 위원회, 『인천광역시사』(인천광역시, 2002)
의성 김씨 진사공파(http://jinsa33.hosting.paran.com) ★ 현재 의성김씨 괴정공파로 개편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한국 역대 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한국 족보 자료 시스템(http://jokbo.skku.edu)
백운문중(白雲門中)의 입향조는
20世 진사공(進士公) 극예(克禮) 선조의 둘째 아드님이신 21世 장사랑(將仕郞) 팔급(八及)선조 이시며, 서기 1610년(朝鮮 光海君 2년경) 무렵에 충북 괴산군 문광면 침곡(바느실)에서 이 곳 충북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백운(白雲=일명 배원)으로 사촌 동생인 팔해(八垓) 선조와 함께 이주하신 것으로 추정된다. 백운문중(白雲門中)의 시거 유래는 400年이 넘는다.
장사랑(將仕郞) 팔급八及) 선조께서는 네분의 아드님을 두어 백운문중은 아래와 같이 4개의 집안으로 나누어 진다.
① 第一子 상로(商老)공파
② 第二子 석로(碩老) 첨추공(僉樞公)파
③ 第三子 동로(東老)공파
④ 第四子 명로(命老) 율재공(栗齋公)파
백운문중에 거주하는 20世 기준 옥이재공파(玉怡齋公派/극효(克孝)의 후손 대부분과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극항(克恒)의 자손은 모두 팔급(八及)선조의 第四子 명로(命老) 선조의 후손들이 양자(養子)로 나가 이룬 집안의 자손들로서 "백운문중(白雲門中)"의 구성원 대부분은 21世 장사랑공(將仕郞公/팔급八及)선조의 친손(親孫)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