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 양봉에서 부저병 발생 봉군의 처리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2005년 당시 해외 자료를 보면, 호주에서는 부저병이 발생한 봉군의 소비와 벌통을 모두 소각했습니다.
또, 아래에 첨부한 외국자료 BeeAware 의 관리 내용에 보면 소문을 닫은채, 봉군을 통채로 소각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생명을 존중하는 나의 견해로 맞지 않아 나만의 처리 경험으로한 처리방법을 올립니다.
그후의 그 벌통은 아무런 부저병도 재발하지 않았습니다.
외국의 벌통및 벌집 소각 장면
부저병도 노제마 질병처럼 포자로 전염이 되므로, 첫째로 벌통내의 포자를 줄여 주야 됩니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는 3일령이내 유충이 먹이를 통해 포자를 섭취할 때 발병이 안되도록 억제를
해 주지만, 포자는 죽이지 못합니다.
부저병이 발생한 벌통내에 포자가 엄청나게 많은데, 근본 원인을 제거하지 않고 유충이 부저병에 걸리지
않도록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항생제 투약후 시간이 지나면 효능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또 원인균인 패니바실루스 라비는 내성을
가지므로 효과는 별로 없습니다.
<나만의 완벽한 처리 방법>
1. 벌통을 새로 교체한다.
하루전이나, 미리 개미산이나 아세트산으로 훈증하여 멸균된 벌통을 사용하면 더 좋겠습니다.
오염된 벌통은 소각하지 말고 토치램프로 화염 방사 후, 개미산으로 5일 단위로 2-3번 훈증 멸균하여
재사용 합니다. 재사용 후 재발된 적이 없습니다.
멸균은 일중 최고기온이 25도 이상의 기온이 1시간 이상 지속되야 멸균의 최대 효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다던지, 20도 이하의 기온에서 약하게 훈증하는 것은 멸균의 효과가 떨어집니다.
(참고)
15년이 넘은 외국자료지만, 부저병에 걸린 벌통을 소독하고 처리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1, 고속전자 광선 방사. 감마선 방사.
2. 뜨거운 파라핀 담그기
3. 산화 에틸렌, 잿물 담그기
4. 염소(cl) 담그기
5. 벌통 소각
2. 오염된 벌통의 벌집(유충 및 꿀장 포함), 사양기, 개포는 모두 소각하고 그 자리에 멸균된 벌집 및 사양기,
개포를 넣어 준다.
3. 여왕벌은 새 벌통의 멸균된 소비에 미리 옮겨 놓고, 나머지 벌은 소문앞에서 털어 줍니다.
4. 강군에서 완전 봉개된 봉판 하나를 빼내어 보충해 줍니다.
한 타임의 대(代)가 끊긴 상태이므로 약군이 되지 않도록 보강을 해 줍니다.
5. 다른 벌통에서 꿀장 1장 보충하여 주고, 약간의 화분떡 및 사양(해질 무렵)을 합니다.
봉군은 분봉의 새로운 느낌으로 활력을 얻게 될 것입니다.
6. 다음날 개미산 단기처리 1번을 한다.
벌통, 벌집, 사양기, 개포를 새로 교체하였기 때문에 벌 몸에만 포자가 있는 상태입니다. 다음날
개미산 단기처리 1번 해주면 그 벌통은 포자가 거의 없다고 봅니다. 낮 최고기온이 31도 넘어가면
개미산 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31도 까지는 처리해도 괜찮습니다.
노지 봉장은 29도 넘으면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정할려면 동틀무렵 이전, 1시간전에 즉, 새벽 4시경에
해야 할 것입니다.
유기 양봉은 일체의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발병의 근원을 제거하여 봉병을 억제하기 때문에, 발생하면
일반 양봉에 비해 일이 조금 많습니다. 그렇지만, 발병의 근원을 알기 때문에 그 근원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부저병은 3일령 이내의 유충이 그 포자를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그 포자들은 수분활동 등
으로 자연계에서 들어 오고, 봉장의 상황(도봉, 표류, 오염된 벌집 상호교환, 오염된 기구 사용 등)에 따라
봉군으로 들어 옵니다.
그러므로, 검고 오래된 벌집은 폐기하고 개미산, 아세트산으로 포자를 멸균한 벌집을 사용하고, 봉기구의
정기적인 살균처리하는 위생적인 관념의 정립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개미산은 응애 살충 효능 뿐만 아니라,
각종 봉병의 포자를 멸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봉병은 우리와 점점 멀어질 것입니다.
같은 개미산을 사용했는데도 처리 방법에 따라 봉병의 발생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즉, 단기처리방법과 장기처리방법에 따라 봉병의 발생이 차이가 납니다
또, 패드의 기화가 일중의 최고 기온이 25도 이상 고온상태에서 1시간이라도 기화가 됐느냐의 차이에서
멸균의 효과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낮은 온도 보다 고온에서 처리 방법이 응애도 마찬가지지만, 멸균도 효능이 더 높을 것입니다.
개미산 단기처리 원문에 보면,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일중에 1시간 이상 고온에 머물 필요가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때까지 노제마 질병, 백묵병, 부저병에 대해 일체의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억제하는 유기양봉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유기양봉은 봉병의 발생 원인을 알기 때문에 그 원인을 제거하여 봉병을 억제합니다.
일반 양봉은 모르니까 약품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겠지요. 이제는 알았으니까 봉병에 약제를 안 쓰고
해 보시기 바랍니다.
2008년 2월 29일, 꿀벌사랑 동호회를 통해 꿀벌나라 100% 친환경 유기농 양봉을 완성하다라고 외쳤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 검색해 보세요.
여러분도 이제 유기 양봉에 대해 공부하였으니까 올해 부터 봉병에 일체의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또 유기산만
사용하여 응애를 구제하는 100% 유기양봉을 완성했다고 외치시길 바랍니다.
BeeAware
비어웨어 홈페이지의 부저병 자료 중 관리 부분만 참고 자료로 인용합니다.
Management
관리
Many honey bee pests and diseases occur when the colony is under stress, such as a shortage of nectar or
pollen, unfavourable climatic conditions, a poorly performing queen bee or infestation with other pests or
diseases. This is not the case with AFB. Both strong and weak colonies areto AFB and can be infected at any
time of the year.
많은 꿀벌 해충과 질병은 꽃꿀 또는 화분의 부족, 불리한 기후 조건, 빈약하게 수행하는 여왕벌
또는 다른 해충이나 질병의 만연과 같이 봉군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발생한다. 이것은 미국
부저병의 경우가 아니다. 강군과 약군 모두는 미국 부저병에 영향을 받기 쉽고 연중 언제든지
감염될 수 있다.
If young larvae are fed AFB spores by nurse bees, these larvae will die after capping. The bacteria can then
multiply rapidly, producing billions of spores. The nurse bees attempt to clean away the diseased pupae,
but in this cleaning up process, the nurse bees become carriers for the disease and further infect new young
larvae when they feed them.
어린 유충이 내역봉에 의해 미국 부저병 포자를 먹으면 이 유충은 봉개 후에 죽게 된다. 그 후에
박테리아는 빠르게 증식하여, 수십억 개의 포자를 생성한다. 내역봉은 병든 번데기를 치우려고
하지만, 이 청소 과정에서, 내역봉은 질병의 매개체가 되어, 유충에게 먹이를 줄 때 새로운 태어난
어린 유충을 더 감염시킨다.
The number of AFB spores and population of honey bees in the colony will influence the rate of spread of
the disease within the colony. The decline in the colony population may happen slowly over several months
or very quickly, due in part to the number of spores in the hive. The higher the number of AFB spores in the
initial infection, the quicker the colony’s death.
봉군 내의 미국 부저병 포자 수와 꿀벌의 개체군은 봉군 내의 질병 확산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봉군 개체수의 감소는 부분적으로 벌통의 포자 수로 인해, 몇 달에 걸쳐 천천히 또는 매우 빠르게
발생할 수 있다. 초기 감염에서 미국 부저병 포자의 수가 많을수록, 봉군의 죽음이 더 빨라진다.
The only way to manage AFB is to stop infections from occurring through adopting beekeep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and if an AFB outbreak does occur, quickly dealing with it before additional colonies
become infected. For this reason, beekeepers should always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management
practices which outline what to do, and what not to do to help control AFB.
미국 부저병을 관리하는 유일한 방법은 양봉 최선 관리 실행을 채택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막고, 미국 부저병 발병이 발생하면, 추가 봉군이 감염되기 전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양봉인는 미국 부저병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약술하는 다음 관리 실행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Good colony management practices
훌륭한 봉군 관리 실행
Beekeepers should check brood combs at least twice a year (spring and autumn) for early signs of AFB.
As a precautionary measure, brood combs should be replaced every 3-4 years as old brood combs can
act as a reservoir of the bacterium.
양봉인은 미국 부저병의 조기 징후가 있는지 최소한 일년에 두 번 (봄과 가을)에 유충 벌집을
확인해야 한다. 예방 조치로, 유충 벌집은 매 3-4 년마다 교체해야 한다. 오래된 유충 벌집은
박테리아의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A key aspect of good colony management also involves the beekeeper reducing or preventing the
interchange of hive materials that can spread AFB amongst hives, or to different apiaries. AFB spores are
very difficult to kill and easily transferable between hives.
훌륭한 봉군 관리의 핵심 측면은 양봉인이 벌통이나 다른 양봉장 사이에 미국 부저병을 퍼뜨릴
수 있는 벌통 재료의 상호교환을 줄이거나 방지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미국 부저병 포자는
죽이기 매우 어려우며 벌통간에 쉽게 옮길 수 있다.
AFB can be accidentally spread on tools or via normal beekeeping practices, so look at implementing
simple measures such as cleaning tools between hives and taking care when moving material between hives
in order to reduce the spread of AFB and other pests. If you notice that some hives are infected with AFB,
always clean your beekeeping gear before inspecting a new apiary.
AFB(미국 부저병)는 도구 또는 일반적인 양봉 관행을 통해 뜻하지 않게 확산될 수 있다, 그래서
AFB 및 기타 해충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서 벌통 간의 청소 도구 및 벌통 간의 재료를 이동할 때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같은 간단한 조치를 실행하는 것을 검토하라. 일부 벌통들이 AFB에 감염된
것을 인지하면, 새로운 양봉장을 검사하기 전에 항상 양봉 장비를 깨끗이 하라.
If AFB is detected in a colony, there are two options in dealing with the hive. The first option is to kill the
colony (including the frames) and irradiate all box parts which will destroy the AFB spores. If irradiation is
not possible, it is recommended that all hive components are buried in a deep pit and burnt. If the burn
and bury option is followed, always ensure that the hive entrance and any other openings are closed so
that bees are not able to escape. Once the hives have been burnt, bury the remains in the pit.
봉군에서 AFB가 감지되면, 벌통을 처리하는데 두 가지 옵션이 있다. 첫 번째 옵션은 봉군
(벌집 포함)을 죽이는 것이다 그리고 AFB 포자를 파괴할 모든 벌통 부분품을 방사선을 쬐게 한다.
방사선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 모든 벌통 구성 요소를 깊은 구덩이에 태워 묻는 것이 추천이 된다.
태우고 묻는 옵션을 따를 경우에, 벌이 탈출할 수 없도록 소문와 다른 구멍이 닫혀 있는지 항상
확실하게 하라. 벌통이 타 버린 후에는, 구덩이에 묻는다.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control measures, see the Videos tab.
이러한 억제 조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비디오 탭을 참조하라.
Barrier management system
장벽 관리 시스템
The main way that pests and diseases, especially bacterial diseases such as AFB, are spread between hives
and apiaries is through the transfer of infected materials and disease contaminated equipment. Unfortunately,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know if equipment is contaminated, so it is better to be cautious to prevent
spreading the pest or disease from infected to healthy colonies.
해충과 질병, 특히 AFB와 같은 세균성 질병이 벌통과 양봉장 사이에 퍼지게 되는 주된 방법은
감염된 재료과 질병에 오염된 기구의 이동을 통해서 이다. 불행히도, 기구가 오염이 되었는지를
항상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감염된 봉군에서 건강한 봉군으로 해충이나 질병이 확산
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
One way to reduce any possible transfer is to use a barrier management system.
The barrier management system is used to separate hives or apiaries into different units. This prevents the
interchange of honey bees, combs, honey and hive components from one unit (hive, loads of hives or
apiary) to another.
어떤 가능한 이동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장벽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장벽 관리 시스템은
벌통이나 양봉장을 다른 단위로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꿀벌, 소비, 꿀 및 벌통 구성 요소가
한 단위 (벌통, 벌통의 소비 또는 양봉장)에서 다른 단위로 상호 교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adoption of this system can also enhance traceability, biosecurity and quality assurance aspects of the
beekeeping enterprise, as well as building on best practice principles.
이 시스템의 채택은 또한 양봉 기업의 추적 가능성, 생물 보안 및 품질 보증 측면을 향상시키고,
뿐만아니라 모범 사례 원칙을 세울 수 있다.
There is the ability for some honey bee stocks to demonstrate an increased tolerance of AFB through genetically
inherited traits. This variation in susceptibility is due to differences in the hygienic ability of the honey bees,
which influences their ability to detect, uncap and remove the infected brood. .
일부 꿀벌 종은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특성을 통해 AFB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보여
주는 능력이 있다. 감수성의 이러한 변화는 꿀벌의 위생 능력의 차이로 인해, 감염된 유충을 감지
하고, 봉개하지 않고 제거하는 능력에 영향을 준다.
Although it is beneficial to have this AFB tolerant stock, these genetically inherited traits are not sufficient to
manage an AFB outbreak and do not offer any substantial protection to a colony, especially when beekeeping
equipment may remain highly contaminated and continually reinfect colonies.
이 AFB 내성 종을 보유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만, 이러한 유전적으로 물려 받은 특성은 AFB 발병을
관리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특히 양봉 기구가 고도로 오염된 상태로 계속해서 봉군을 재감염할 수
있는 경우, 봉군에 어떤 실질적인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Chemical control
화학적인 억제
Antibiotics are not recommended, and are not lawful to use in Australia for the control of AFB. Although
antibiotics such as Oxytetracycline (OTC) can be used to control European foulbrood, which allows for the
disease cycle to be broken and the bees to clean up the disease, OTC should not be used to control AFB
for the following reasons:
항생제는 추천하지 않으며, 호주에서 AFB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것은 합법적이지 않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OTC)과 같은 항생제는 유럽 부저병을 억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그것은
질병 주기를 끊고 꿀벌이 질병을 정화할 수 있게 하지만, OTC를 다음과 같은 이유로 AFB를 억제
하는데 사용해서는 안된다.
* Antibiotic use for AFB infected colonies only masks the disease symptoms; it does not control the disease.
* Unlike EFB which does not produce a spore, AFB produces a spore which is not destroyed through the use
of OTC.
Therefore, the inoculum source can remain in a hive, continually reinfecting colonies.
* Antibiotic use does not extend to hive components, tools or equipment which also provides another
source of reinfection for colonies.
* Antibiotic use can contaminate honey.
*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of AFB can begin to develop. This has already started to occur in other parts
of the world.
* AFB에 감염된 봉군에 항생제를 사용하면 질병 증상만 숨긴다. 그것은 질병을 억제하지 않는다.
*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 유럽 부저병과 달리, 미국 부저병은 옥시테트라 사이클린을 사용해도
파괴되지 않는 포자를 생성한다. 따라서, 박테리아는 벌통에 남아, 지속적으로 봉군을 재감염
시킬 수 있다.
* 항생제 사용은 봉군에 또 다른 재감염 원인을 제공하는 벌통 구성 요소, 도구 또는 기구까지
확장되지 않는다.
* 항생제 사용은 꿀을 오염시킬 수 있다.
* AFB의 항생제 내성 균주가 발생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For these reasons, antibiotics such as OTC should never be used to control AFB.
AFB is a reportable disease in every state and territory of Australia. If you think you have AFB contact your local
state or territory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 assistance.
이러한 이유로, OTC와 같은 항생제를 AFB 억제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AFB는 호주의 모든 주와
영토에서 보고 가능한 질병이다. AFB가 있다고 생각되면, 도움을 받기 위해 당신의 지방 주 또는
지역 농업 부서에 접촉하라.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