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복숭아나무의 생육과 시비 |
|
복숭아나무 뿌리는 2월 상순경 지온이 5℃전후가 되면 발근이 시작되지만 뿌리에 비료성분이 흡수되어 축적되었다가 발아할 때 급속히 줄기나 눈으로 이행된다. 뿌리의 활동은 4월 상중순에 가장 왕성하고 6월 하순∼7월 상순은 다소 저하되며, 여름철 고온기에는 활동이 미미하다가 다시 9월 상순부터 활발해진다. 신초는 만개기부터 전엽되기 시작하여 서서히 신장하다가 전엽 2주 후부터는 급격히 신장하여 6월 중순에는 정점을 이루다가 6월 하순부터 신장이 느려져서 8월 중순이후부터는 미미 진다. 초기 신초신장은 저장양분과 토양 중에 있는 양·수분을 흡수하는 정도에 많이 의존한다(그림 10-7). 다비재배에 의하여 신초가 늦게 까지 신장하면 동해를 받기 십고, 2차 뿌리의 신장이 나빠져서 이듬해 초기에 충실한 신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복숭아나무 시비에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토 성 : 점토질 함량 및 유기물이 많은 식질 토양일수록 비옥도가 높고 완충효과가 커 다비재배가 가능하나 유기물이 적고 모래가 많은 토양은 양분의 보유능이 작아 비료에 의한 과다, 결핍이 반복될 수 있다.
○ 화 학 성 :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양이온함량 등을 사전에 분석하여 시비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 기상환경 : 한발과 다습조건이 빈번하여 양분흡수가 억제되므로 관수 및 배수시설을 고려하여 시비량을 결정한다.
○ 수세관리 : 강전정 및 착과를 적게 하였을 경우 질소질 비료를 줄여서 수세의 안정을 도모한다. |
2) |
연간 흡수량 |
|
복숭아에 대한 비료요소의 연간 흡수량을 보면 福田은 10a당 질소 8.9kg, 인산 3.7kg, 칼리 14.3kg, 석회 16.8kg, 고토 3.0kg으로 칼리와 석회의 흡수량이 많다. 특히 과실내의 칼리는 질소의 2.4배로서 과실의 결실량이 많을수록 칼리의 요구도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르나 (표 10-19)는 질소 : 인산 : 칼리 = 10 : 2∼4 : 6∼16까지로 변화 폭이 크다. 이는 품종, 수령, 수량, 토양조건 등이 상이한 곳에서 시험한 결과일 것이다.
(표 10-19) 복숭아 년간 삼요소 흡수량 (kg/10a)
연 구 자 |
수 량 |
흡 수 량 |
질 소 |
인 산 |
칼 리 |
Warren Voorhees (1906)
Van Slyke (1912)
Alderman (1915)
Rogers (1952)
福田 (1955) |
2,600
2,400
3,370
1,930 |
5.8(10)
8.5(10)
8.4(10)
14.7(10)
8.9(10) |
1.5(2.6)
1.9(2.2)
2.0(2.4)
2.0(1.4)
3.7(4.2) |
3.4(5.9)
8.1(9.5)
8.1(9.6)
19.9(13.5)
14.3(16.1) |
福田照, 1962, 桃編, p. 150 | |
3) |
시비량의 결정 |
|
토양 중 양분의 유효도는 여러 가지 요인들의 복합효과인데 이 요인들은 토양이나 식물체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토양 분석과 함께 엽분석을 실시하여 무기양분의 과다 또는 결핍정도를 파악한 후 시비계획을 세워야 한다.
가) 이론적 시비량
시비량은 작물이 흡수한 비료성분 총량에서 천연적으로 공급된 성분량을 빼고, 그 나머지를 비료성분의 흡수률로 나누어서 산출하는 것이 종래 방법중의 하나이다.

10a당 1,922kg을 생산하는 복숭아나무에 대한 비료의 흡수량이 질소 8.92kg, 인산 3.67kg, 칼리 14.28kg이라 하고 앞에서 제시한 방법과 비료성분의 흡수 이용율에 따라 시비할 비료 성분함량을 계산해 보면 (표 10-20)과 같다.
(표 10-20) 복숭아나무에 대한 시비량 계산 (kg/10a)
구 분 |
질소 |
인산 |
칼리 |
비 고 |
흡 수 량
천연공급량
필 요 량
시 용 량 |
8.92
2.97
5.95
11.90 |
3.67
1.84
1.83
6.04 |
14.28
7.14
7.14
17.85 |
10a당 수량 1,922kg의 경우
질소는 흡수량의⅓, 인산て칼리는 흡수량의½
흡수량 - 천연공급량
질소는 필요량의 2배, 인산은 3.3배, 칼리는 2.5배 |
나) 표준 시비량
시비량에는 최고 수량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양과 경제적으로 이익이 가장 높은 시비량이 있다. 후자를 적정 시비량이라고 하며 이 양이 실제 시비하려고 하는 시비량이다. 적정 시비량은 품종, 수세, 수량, 토양조건, 기상조건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다. 적정 시비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여러 차례의 비료시험을 해야 한다. 그러나 과수에 대한 비료시험은 방대한 면적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이 소요되고 장해요인이 많아 그 실시가 매우 어렵다. 때문에 많지 않은 비료시험 결과와 재배자의 체험을 가지고 나무의 영양상태와 결실상태를 감안하여 시비량을 결정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방법이 되었다. 원예연구소에서는 복숭아나무에 대한 시비량을 (표 10-21), (표 10-22)과 같이 추천하고 있다. 또한 퇴비를 시용하면 20∼30%의 비료량을 감해주는 것이 좋다. 최근에 많이 시용되는 유기질 비료 및 부산물 비료는 많은 비료 성분량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계산하여 나머지 양을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0-21) 복숭아에 대한 시비 성분량 (kg/10a)
수 령
(년) |
질 소 |
인 산 |
칼 리 |
퇴 비 |
비옥지∼척박지 |
비옥지∼척박지 |
비옥지∼척박지 |
1∼2
3∼4
5∼10
11이상 |
2(4)
3∼5(7∼11)
7∼11(15∼24)
13∼18(28∼39) |
1(5)
2∼3(10∼15)
4∼6(20∼30)
7∼10(35∼50) |
1(2)
2∼4(3∼7)
6∼9(10∼15)
10∼15(17∼25) |
300
1,000
2,000
2,000 |
( ) : 질소는 요소, 인산은 용성인비, 칼리는 염화가리
(표 10-22) 복숭아에 대한 수령별 시비성분량 (g/주)
비 료 성 분 |
수 령 (년) |
1 |
2 |
3 |
4 |
5 |
질 소
인 산
칼리 |
50(110)
30(150)
50(80) |
100(220)
70(350)
100(170) |
200(430)
100(500)
160(270) |
400(870)
200(1000)
320(530) |
500(1100)
250(1250)
400(670) |
( ) : 질소는 요소, 인산은 용성인비, 칼리는 염화가리
다)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는 과수원의 비옥도 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적절량의 시비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표 10-23, 24, 25)를 참고하면 된다.
(표 10-23) 토양유기물 함량에 의한 질소성분의 시비량 (kg/10a)
수 령
(년) |
유 기 물 함 량(g/kg) |
15이하 |
16∼25 |
26이상 |
1∼2
3∼4
5∼9
11이상 |
2.5
6.5
11.0
18.0 |
2.0
4.0
9.0
15.5 |
1.5
3.0
7.0
13.0 |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1994, p.375 |
(표 10-24) 토양내 유효인산에 따른 인산 시비량 (kg/10a)
수령
(년) |
유효인산 함량(mg/kg) |
200이하 |
201∼400 |
401∼600 |
601이상 |
1∼2
3∼4
5∼10
11이상 |
1.5
3.0
6.0
10.0 |
1.0
2.5
5.0
8.5 |
1.0
2.0
4.0
7.0 |
1.0
2.0
3.0
3.0 |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1994, p.375 |
(표 10-25) 토양내 치환성 칼리에 함량에 따른 칼리 시비량 (kg/10a)
수령
(년) |
치환성칼리 함량(cmol/kg) |
0.3이하 |
0.31∼0.60 |
0.61∼1.0 |
1.01 |
1∼2
3∼4
5∼10
11이상 |
1.5
4.0
9.0
15.0 |
1.0
3.0
7.5
12.5 |
1.0
2.0
6.0
10.0 |
1.0
2.0
3.0
3.0 |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1994, p.375 |
라) 엽분석에 의한 시비
(1) 엽분석의 필요성
엽분석은 배 잎의 무기성분을 분석하므로서 배나무의 영양상태를 진단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시비량을 추정할 수 있다. 잎의 영양수준은 부족, 정상, 과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전 생육기를 통하여 그 적정수준이 달라지며 한 과수원에서도 나무에 따라 차이가 심하고 같은 나무라도 하더라도 잎의 채취부위에 따라 변화가 많다. 엽시료 채취는 그림 10-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정된 시기(7월 상순∼8월 상순)에 과수원에서 대표적인 나무 5∼10주를 선정하여 식물체의 적정부위(수관 외부 도장성이 없고 과실이 달리지 않은 신초의 중간부위)의 엽 50∼100매를 채취하여 사용하면 된다.
(2) 엽 성분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잎의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주요 요인은 토양환경, 품종, 시비량, 시료의 채취시기 등이다. 식물의 양분흡수는 식물의 생리적 특성요인에 토성, 토양수분함량, 토양 비옥도 등의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비옥도가 높고 양분의 흡수가 용이한 토양조건하에서는 더 많은 양분이 흡수되며, 같은 비옥도라면 식질토보다 사질토에서 양분을 흡수하기가 용이하여 일시적으로는 더 많은 양분을 흡수하지만 그 지속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시비 직후에는 과다현상이 발생하고 시일이 경화함에 따라 결핍상태가 되기 쉽다. 점질토양에서는 영양분이 계속적으로 꾸준히 공급되므로 비효는 다소 늦어지지만 결핍상태는 적은 편이다.
(3) 엽 분석에 의한 복숭아의 영양진단
표 10-26은 복숭아의 엽 분석에 의한 무기성분별 부족, 정상 및 과다 등으로 기준치를 주요 재배지대 7개 지역(소사, 인천, 수원, 조치원, 충주, 대전, 나주)에서 대구보와 백도 두 품종을 대상으로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실시한 결과이다. 따라서 복숭아 과원에 대한 시비처방은 엽 분석 자료를 근거로 하여 정상수준이 되도록 시비량의 가감이 필요하다. 이는 1년차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년간의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표 10-26) 복숭아 엽의 영양기준농도 및 정상 과원율
원 소 |
기 준 농 도 |
정상과원율
(%) |
부 족 |
정 상 |
과 다 |
N(%)
P(%)
K(%)
Ca(%)
Mg(%)
Fe(ppm)
Mn(ppm)
B(ppm)
Zn(ppm) |
< 2.27
< 0.12
< 0.59
< 0.14
< 0.21
< 31
-
< 5
- |
2.93 ∼ 3.59
0.172 ∼ 0.224
1.75 ∼ 2.91
1.12 ∼ 2.10
0.38 ∼ 0.57
125∼219
137∼425
23∼ 41
29∼101 |
4.25<
0.275<
4.07<
3.08<
0.75<
313<
713<
59<
173< |
74.2
70.0
68.6
75.4
72.5
77.5
71.4
71.0
89.8 | |
4) |
시비방법 |
|
과수의 수평 근군은 수관보다 멀리 분포하며 양분흡수의 주체가 되는 잔뿌리는 수관바깥 둘레에 많이 분포한다. 그리고 수직 근군이 분포는 지표로부터 50㎝사이에 대부분이 분포한다. 복숭아나무는 흡비력이 강하여 6∼7년생 미만의 유목기에는 척박한 땅에서도 비교적 생육이 왕성하나 본래 뿌리가 얕은 과수이므로 나무가 커진 후에는 비료분의 부족에 예민하므로 노쇠하기 쉽다. 따라서 유목기에는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성목이 된 다음에는 나무의 영양상태를 관찰하여 도장지의 발생이 지나치지 않으면서 적당한 발육지가 많이 발생하도록 시비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특히 척박한 땅에서는 유기질 비료를 병행하여 무기질 비료의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또한 경사지인 경우는 토양 유실을 감안하여 시비하여야 한다.
<토양 조건에 따른 시비방법>
○ 배수 불량원 : 배수가 불량한 과원에서는 윤구시비나 방사구 시비를 행하면 물이 괴게되어 나무의 생육을 오히려 해롭게 하므로 배수시설을 설치하거나 배수가 되는 방향으로 도랑을 파서 물이 잘 빠지게 해야한다.
○ 산성토양 : 토양산성(pH)를 교정하기 위한 석회시용시 칼슘은 토양내에서 이동성이 매우 낮아 심층시비를 해야하고 인산질 비료도 토양내 이동성이 낮아 심층 시비를 해야 한다.
|
5) |
시비시기 |
|
비료의 분시 비율은 품종, 토양 및 기상조건, 비종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서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보통 퇴비, 두엄, 계분과 같은 지효성 유기질비료와 인산은 전량을 밑거름으로 시용한다. 물론 석회와 고토도 밑거름으로 시용하여 붕사는 밑거름으로 시용하거나 엽면시비를 하기도 한다. 복숭아의 분시비율은 대체로 (표 10-27)과 같다.
(표 10-27) 복숭아나무에 대한 분시비율 (%)
비 료 성 분 |
밑 거 름 |
덧 거 름 |
가을거름 |
질소
인산
칼리 |
70
100
60 |
10
0
40 |
20
0
0 |
*퇴비, 석회, 산화마그네슘, 붕사 등의 비료는 전량 밑거름으로 시용함 |
가) 밑거름
밑거름(기비)은 뿌리의 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시용하는 것이 좋다. 질소질을 다량으로 시용하는 시기는 새가지 및 어린 가지의 생장이 왕성해지는 때이나 밑거름을 빨리 시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는 것은 비료분이 근군분포 부위까지 도달하는데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고 또 뿌리의 활착이 시작된 다음에 시비하면 생장하는 새 뿌리가 절단되어 저장양분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이다. 특히 봄에 가물 때 시비하면 다음에 비가 내릴 때까지 비료분을 흡수하지 못하여 비료분이 오랫동안 유지될 때는 비효가 늦게 나타나서 나무가 도장하고 과실의 품질저하 및 생리적 낙과를 유발하기 쉽다. 그러므로 밑거름은 땅이 얼기 전에 시용하는 것이 좋다. 늦은 가을에 시용하지 못했을 때는 봄에 땅이 녹은 직후에 시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퇴비, 두엄 기타 유기질 비료는 분해되어 흡수, 이용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리므로 가을에 시용하여야 한다.
나) 웃거름
비료분이 유실되기 쉬운 사질토 또는 척박한 땅에서는 생육후기에 비료분이 부족되기 쉬우므로 중생종과 만생종에서는 칼리와 속효성 질소비료의 덧거름이 필요할 때가 많다. 그러나 경핵기에 질소가 과다하면 낙과하기 쉽고 성숙기에 과다하면 숙기를 늦게 함과 동시에 품질을 저하시킴으로 덧거름은 유의해야 한다. 덧거름의 시기는 5월 하순∼6월 상순이다.
다) 가을거름
복숭아나무는 과실의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성숙기에 질소가 약간 부족한 상태가 좋다. 또 수확기가 빨라 낙엽기까지 기간이 길기 때문에 질소의 가을거름 시용 효과가 크다. 복숭아의 화아는 7월 하순 ∼ 8월 상순에 분화하기 시작하는데 그후 영양상태에 따라 화아의 충실도가 좌우되고 다음해 수량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다음해 초기 생육은 저장양분에 의존하므로 수확 후 잎의 동화작용을 왕성하게 하여 저장양분을 축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시비시기는 뿌리의 활동이 재개되는 8월 하순∼9월 상순이 좋고 시비량은 연간 시비량의 10∼20% 정도로 하되 수세에 따라 가감한다. 수세가 강한 나무는 시비를 피하여야 하며 시비량이 많든지, 또 시비가 늦어지면 새로운 가지가 발생하여 동해의 발생의 원인이 된다.
|
6) |
유기질 비료 |
|
유기질 비료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같은 유기질 비료라도 부숙정도에 따라 성질 및 비효가 다르다. 최근에는 산업폐기물이 유기질 비료에 추가되고 도시 쓰레기가 유기질 비료로 쓰이고 있는데, 이와 같이 유기질 비료의 분류는 다양하나 현재 농가의 자급 유기질비료는 퇴구비, 녹비, 고간류 및 분뇨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 유기물의 효과
○ 질소를 비롯한 양분의 저장고로서 기능과 양이온 및 음이온의 흡착력 능력 증대
○ 물을 흡수하는 보수력의 기능이 증대되어 토양유실 및 가뭄피해 경감
○ 토양의 심한 변화를 막는 완충능 증대와 입단형성으로 토양 물리성이 개선
○ 토양 미생물의 활성을 높여 각종 양분의 가용화를 촉진과 유효인산의 고정 억제
나) 유기물의 종류와 유효 성분량
유기물의 종류는 퇴비, 구비(우분뇨, 돈분뇨, 계분), 나무껍질, 왕겨, 도시쓰레기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이들의 1톤당 성분량과 유효성분량은 표 10-28과 같이 질소함량이 매우 많은 종류는 돈분과 계분 및 하수오니와 식품산업 폐기물이며 인산과 석회가 많은 것은 계분과 하수오니이고 칼 리가 많은 것은 계분으로 하수오니와 계분은 모든 양분이 상당히 많아 비료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구비중에서 비료로써의 효과가 큰 것은 전질소 함량이 높고 탄질율이 낮은 것으로서 계분퇴비 돈분퇴비 등이 이에 해당된다.
(표 10-28) 유기물 1톤당 성분량과 유효 성분량
구 분 |
수분
(%) |
성분량(kg/t) |
유효성분량
(kg/톤/년) |
질소 |
인산 |
칼리 |
석회 |
고토 |
질소 |
인산 |
칼리 |
퇴 비
구 비 (우분뇨)
(돈분뇨)
(계 분)
목질혼 (우분뇨)
합퇴비 (돈분뇨)
(계 분)
나무껍질
왕겨퇴비
도시쓰레기 퇴비
하수오니 퇴적물
식품산업 폐기물 |
75
66
53
39
65
56
52
61
55
47
58
63 |
4
7
14
18
6
9
9
5
5
9
15
14 |
2
7
20
32
6
15
19
3
6
15
22
10 |
4
7
11
16
6
8
10
3
5
5
1
4 |
5
8
19
69
6
15
43
11
7
24
43
18 |
1
3
6
8
3
5
5
2
1
3
5
3 |
1
2
10
12
2
3
3
0
1
3
13
10 |
1
4
14
22
3
9
12
2
3
3
15
7 |
4
7
10
15
5
7
9
2
4
4
1
3 |
자료 : 농토배양기술. 1992. 농촌진흥청.
일반 농가에서 쉽게 쓸 수 있는 농축산 폐기물의 시용효과를 크게 분류하면 화학적 개량효과는 질소, 인산, 염기함량 등에 의하여 판정됨으로 돈분퇴비, 계분퇴비 등이 크고, 퇴비, 톱밥 및 왕겨퇴비 등은 비료적 성격이 적어 화학적 개량효과는 적다. 물리적 개량효과는 공극 확보와 투수성, 보수력 등이 중심이 되므로 섬유질이 많은 목질혼합 가축분 퇴비, 왕겨퇴비 등이 효과가 크고 돈분퇴비, 계분퇴비는 비료 효과가 크기 때문에 물리성 개량 효과는 적다. 농가에서 이용하기 가장 좋은 유기물 재료는 볏짚과 왕겨로 만들어진 퇴비라고 생각하면 된다.
(표 10-29) 각종 유기물의 특성
유기물의 종류 |
원 재 료 |
시 용 효 과 |
시용상 주의 |
비료적
개 량 |
화학적
개 량 |
물리적
개 량 |
퇴 비 |
볏짚, 보릿짚
야채류 |
중 |
소 |
중 |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음. |
구 비 류 |
우분류
돈분류
계 분 |
우분뇨와 볏짚류
돈분뇨와 볏짚류
계분과 볏짚류 |
중
대
대 |
중
대
대 |
중
소
소 |
비료효과를 고려하
여 시용량을 결정 |
목 질 부
혼 합
퇴 비 |
우분류
돈분류
계 분 |
우분뇨와 톱밥
돈분뇨와 톱밥
계분과 톱밥 |
중
중
중 |
중
중
중 |
대
대
대 |
미숙물질과 충해가
발생하기 쉬움. |
나무껍질 퇴비류 |
나무껍질, 톱밥을
주체로 한 퇴비 |
소 |
소 |
대 |
물리성 개량
효과가 큼 |
자료 : 농토배양기술. 1992. 농촌진흥청.
1995년도에 시판되는 각종 유기질 비료를 분석해 본 결과 각 성분의 최대 및 최소 성분량은 (표 10-30)과 같다.
(표 10- 30) 시판되는 유기질 비료의 성분량
구분 |
EC
(dS/m) |
OM
(%) |
전질소
(%) |
유효인산
(%) |
K2O
(%) |
CaO
(%) |
MgO
(%) |
Na2O
(%) |
최대 |
54.1 |
53.4 |
1.75 |
4.85 |
1.47 |
1.85 |
0.39 |
0.7 |
최소 |
4.0 |
9.6 |
0.23 |
0.19 |
0.06 |
0.04 |
0.03 |
0.04 |
평균 |
23.2 |
37.0 |
1.01 |
2.03 |
0.65 |
0.49 |
0.19 |
0.21 |
퇴비 공정규격 |
|
25%이상 |
|
|
|
|
|
|
자료 : 1996년도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사업보고서 p. 59
|
7) |
엽면시비
|
|
가) 엽면시비의 목적
비료 또는 각종 영양제를 토양에 시비하는 대신 나뭇잎에 살포하여 흡수시키는 것을 엽면시비 또는 엽면살포라고 한다. 따라서 엽면시비는 토양시비와는 달리 일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뿌리에서 제 기능이 안되어 흡수할 수 없을 때 나뭇잎에 살포하여 빠른 시일 내에 보충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즉 응급조치라고 볼 수 있으므로 상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며 응급조치에 나무 관리를 의존하면 뿌리의 제 기능이 떨어질 수도 있고 필요이상으로 비용이 부담되어 생산비 절감에 역행하는 시비관리가 될 수 있다.
나) 엽면살포 방법
현재 우리 나라 과수농가에서는 요소의 엽면살포 이외에 마그네슘, 칼륨, 붕소 등의 엽면살포를 실시하고 있다. 표 10-31은 성분별 엽면살포제의 살포농도를 보여주고 있다. 또 각종 비료요소가 함유되어 있는 영양제(제4종 복비)의 엽면살포가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표 10- 32는 엽면시비 후 각 양분별로 흡수되는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표 10-31) 엽면살포제와 살포농도
비료성분 |
엽 면 살 포 제 |
살 포 농 도 |
질 소 |
요소(CO(NH2)2) |
생육기간 : 0.5%정도
수확후 : 4∼5%(사과) |
인 산 |
H2PO4) |
0.5∼1.0% |
칼 리 |
인산 1칼륨, 황산칼리(K2SO4) |
0.5∼1.0% |
칼 슘 |
염화칼슘(CaCl2) |
0.4% |
마그네슘 |
황산마그네슘(MgSO4, 7H2O) |
2%정도 |
붕 소 |
붕사(Na2B4O·7H2O), 붕산(H3BO3) |
0.2∼0.3% |
철 |
황산철(FeSO4ㅗ5H2O) |
0.1∼0.3% |
아 연 |
황산아연(ZnSO4ㅗ7H2O) |
0.25∼0.4% |
* 질소는 농약과 혼용해도 무방, 약해방지를 위하여 인산과 칼리는그 1/2량의 생석회와 혼용.
마그네슘은 요소와 혼용, 붕소는 요소 또는 농약과 혼용가함.
민감한 품종의 경우, 아연은 동량의 생석회와 혼용하면 약해가 방지됨 |
(표 10-32) 엽면에 살포된 양분의 흡수속도
원 소 |
처 리 된 식 물 |
50% 흡수에 소요된 시간
(시간 또는 일수) |
질 소
(요소태) |
사 과
파 인 애 플
사 탕 수 수
옥수수
셀러리, 감자 |
1∼4시간
〃
<24시간
1∼6시간
12∼24시간 |
인 산 |
사 과
잠 두 콩
사탕수수 |
7∼11일
30시간, 6일
15일 |
칼 륨 |
잠두콩, 호박
포 도 |
1∼4일
1∼4일 |
칼 슘 |
잠 두 콩 |
4일 |
마그네슘 |
사 과 |
1시간에 20% |
황 |
자 두 콩 |
8일 |
염 소 |
잠 두 콩 |
1∼3일 |
철 |
잠 두 콩 |
24시간에 8% |
몰리브텐 |
잠 두 콩 |
24시간에 4% |
*연구자에 따라 다른 값이 얻어지고 있다.
김종협역, 1984, 식물의 양분흡수, p.12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