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윤씨네 가족모임(동해리)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상식 및 예의 범절 스크랩 지방 쓰는 법
윤승진 추천 0 조회 26 08.11.15 04:2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지방 쓰는 법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쓰며 길이는 22센치 넓이 6세치 정도로 한다.

*시중에 지방함을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면 품위 있고 편리하다.


알아두어야 할 점

지방을 쓸 때는 몸을 청결하게하고 깨끗한 백지에 쓰며 가로 세로 위 글과 같이 하고 남자의 지방을 쓸 때 벼슬이 없으면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를 쓰고 벼슬이 있으면 그 벼슬의 명칭을 쓴다. 그 부인의 경우는 옛날에는 높은 벼슬을 한 분의 부인은 정경부인(貞敬夫人)을 쓰기도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유인(孺人)으로 쓴다. 남자 지방의 고(考죽은아비고)는 부(父 )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부(父)라 하고 사후에는 고(考)라 한다.

어머니의 경우는 비(妣죽은어미모)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모(母)라 하고 사후에는 비(妣)라고 한다.

여자의 경우는 유인(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쓰며 아내의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제주가 되고 자식의 경우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주가 된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의 지방일 경우는 왼쪽에 남자 지방 중간에 본처지방 오른쪽에 후처의 지방을 쓴다.

*지방을 부치면 축문을 읽는 것이 옛 풍습이다.

         

 고조부 지방

 현고조고학생부군 신위

 (顯高祖考學生府君 神位)

 고조모 지방

 현고조비유인(본관성씨:예 청주한씨) 신위

 (顯高祖妣孺人淸州韓氏 神位)


 증조부

  현증조고학생부군 신위

 (顯曾祖考學生府君 神位)

 증조모 지방

 현증조비유인(본관성씨:예 청주한씨) 신위

 (顯曾祖妣孺人淸州韓氏 神位)

 

 조부

 현조고학생부군 신위

 (顯祖考學生府君 神位)

 조모 지방

 현조비유인(본관성씨:예 김해김씨) 신위

 (顯祖妣孺人金海金氏 神位)


 부 지방

 현고학생부군 신위

 (顯考學生府君 神位)

 모 지방

 현비유인(본관성씨:예 고성이씨) 신위

 (顯妣孺人固城李氏 神位)


 

 백 부 지방

 현백부학생부군 신위

 (顯伯父學生府君 神位)

 백 모 지방

 현백모유인(본관성씨:예 청주한씨) 신위

 (顯伯母孺人淸州韓氏 神位)


 처 지방

 망실유인(본관성씨:예 청주한씨) 신위

 (亡室孺人淸州韓氏 神位)


 형

 현형학생부군 신위

 (顯兄學生府君 神位)

 형수

 현형비유인(본관성씨:예 청주한씨) 신위

 (顯兄婢孺人淸州韓氏 神位)


 동생

 망제학생(이름) 신위

 (亡弟學生정휘 神位)

 

 아들

 망자수재(이름) 지영

 (亡子秀才(이름) 之靈)


 한글 지방

 아버님 신위

 어머님 신위


 고조할아버지 신위

 고조할머니   신위


 형님 이정휘 신위

             

참고 

불교식 지방

사십구재 지방

行孝子 이 길등 伏爲 

新圓寂 嚴父 慶州後人 이 길동 靈駕

(행효자 이 길등 복위 

 신원적 엄부 경주후인 이 길동 영가 )



여자 어머니일 경우

行孝子 김길등 伏爲 

新圓寂 慈母 慶州孺人 김길동 靈駕

(행효자 김길등 복위

신원적 자모 경주유인 김길동 영가)   등 으로 쓴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