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대본 작성시 사용되는 용어)
Naratage 나라타쥬 - 내레이션과 몽타쥬를 합친 합성어로 화면 밖에서,화면 속에서 의도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것. 주로 회상,시간 생략 등에 자주 사용
Dialogue 다이얼로그 - 대화,독백,방백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대화를 다이얼로그라고 한다
Double Role 더블 롤 - 배우의 일인이역. 한 장면에서 한 사람이 동시에 두 사람의 역으로 나타나는 것.
Double Exposure 더블 익스포저 - 이중 노출. 하나의 화면에 다른 화면이 겹쳐져서 합성된 화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환상 혹은 유령의 출현 등에 쓰임
Director 디렉터 - 연출자.감독.
Dissolve 디졸브 - 약칭 DIS,오버랩과 같은 기법.(F.I)를 디졸 브 인이라고 쓰기도 한다.
lese Scenario 레제 시나리오 - 읽기 위한 시나리오.시 나리오 형식을 빌린 새로운 문학 형식
location 로케이션 - 옥외촬영
Long shot 롱 샷 - 원경
Mannerism 매너리즘 - 언제나 똑같은 수법을 쓰는 것. 상 투적이며, 진부한 것
Main Title 메인 타이틀 - 드라마의 제명, 스테프,캐스트 등 의 자막
*만약 “신데렐라 죽이기”라는 제목이라면 이렇게 하면 되겠죠.(M.T)빽,“신데렐라 죽이기”올라가고,(F,O)
Monologue 모놀로그 - 독백,화면 밖에서 등장 인물이 마음의 소리,내면의 소리를 전하기도 한다.
Mob scene 몹신 - 군중이 나오는 장면,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동시에 나오는 장면.
Mongtage 몽타쥬 - 필름 편집 기술, 촬영된 필름 단편을 줄거리에 따라 연결하여 한 편의 작품으로 만들어 낸다.
Bust 바스트 - 상반신의 화면.
부감 -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본 모습, 전경을 보여주는 기법
Sub Title 서브타이틀 - 설명 자막, 보충 설명이나 장소, 시 대를 표시할 때 사용.
*예를 들어“5년 후,파고다 공원”이라면(S.T) 5년 후,파고다 공원(F.O)
Shot 숏트 - 컷의 같은 뜻이나 엄밀히 따지면 한 숏트 속에서 몇 개의 컷도 있다.
Slow Motion 슬로 모션 - 고속도 촬영에 의해 화면의 움직임이 완만해진다.꿈이나 회상,운동선수의 동작 등.
Spoken Title 스포큰 타이틀 - 회화 자막
Synopsis 시놉시스 - 줄거리,간단한 스토리,드라마,시나리오를 제작하려면 먼저 이것부터 검토한다.
Situration 시추에이션 - 극적 상황, 극적사건이 일어나는 국면.극에는 36국면이 있는데.이 외에도 극적 요소나 동기는 얼마든지 있다.
Sequence 시퀀스 - 하나의 삽화로써의 부분. 스토리 속에서 이루어진 한 편의 줄거리 또는 상황
Scene 신 - 장면.
Scene numer 신 넘버 - *신의 장면에 붙이는 번호로, S#1,S#2........이런 순서로 갑니다.
Iris In 아이리스 인 - 화면 중의 임의의 일점을 중심으로 해서 원형으로 확대해 가며 화면이 나타나는 기법.이것의 반대는,(L.O)
Atmosphere 아토모스피이 - 분위기.분위는 인물의 성격이 잘 표출되어야 하고,생활의 바탕에 깔려야 하고 거기에 테마가 명확히 두드러지지 않으면 작품다운 곡골격을 상실하고 만다.
앙각 - 부감의 반대.카페라를 아래서 위로 촬영하는 기법
Adaptation 어댑테이션 - 각색 또는 원색.소설이나 희곡 그밖에 원작물을 드라마적인 표현으로 제작하는 일. 윤색은 각색한 것.
또는 극본을 조금 더 다듬는 작업인데,각색은 원작에서 얻은 소재,주제,줄거리를 영상화할 수 있도록 새로 편성하는 일이기 때문에 이 또한 창작활동에 속한다.
Arrange 어레인지 - 소설이나 희곡 등 또는 작가 자신이 착상한 것을 드라마적으로 정리하는 것.스토리를 대담하게 취하 선택하는 작업.
Episode 에피소드 - 삽화.시퀀스 속에 단편적으로 삽입하는 스토리.
Wipe Out 와이프 아웃 - 화면을 지우듯이 하면서 다음으로 다음 화면으로 옮겨가는 기법.(O.L)과 같이 생략기법으로 많이 쓰인다.
Effect 이펙트 - 효과.화면 밖으로 세리프나 음향으로 효과를 낸다.
*전화 받는 신이라면,(E)전화 받는 벨소리.이렣게 하면 되겠죠.
*문 두드리는 소리라면,(E)문 두드리는 소리.
Insert 인서트 - 삽입화면. 신문,편지,책의 한 페이지 등을 크로즈 업으로 삽입 하든가 설경등을 줄거리의 진행 도중에 효과적으로 삽입한다.
이것을 따로 찍었을 때는 인서트 컷이라고도 한다.
Continuity 콘티뉴이티 - 감독의 연출 대본.콘티라고도 한다.
Crisis 크라이시스 - 극적 위기.극의 진행 중에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
Crank up 크랭크 업 - 촬영 완료.
Crank In 크랠크 인 - 촬영 시작.
Text 텍스트 - 원문의 대본. 각본.
Fade Out 페이드 아웃 -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면서 다음 장면으로 옮겨가는 기법. 한 신이나 시퀀스를 끊을 때 사용 한다.
Fade In 페이드 인 - 화면이 점점 밝아지는 기법.퍼스트 신에도 많이 쓰인다
Fiction 픽션 - 허구.모든 극은 허구로 이루어진다. 현실 그대로는 극이 성립할 수 없다.예술은 그 본질에 있어서 허구 위에 세워지지만 인간과 우주만물의 진리와 진실이 허구를 통하여 극중의 현실로 승화된다.
드라마는 모두 허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실 그대로 리얼리틱한 면을 살린 거라면 아마도 다큐멘터리가 되겠지요.
Prologue 프롤로그 - 서막.에필로그에 대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