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호치민시 개황 1. 기본 개관 (2007) ㅇ 인구 : 6.105,8만명 (비공식 800만명) - 베트남 전체 84.155,8만명 ㅇ 면적 : 2,098,7평방km (전체 국토 33.211,6만평방km) ㅇ 기온 : 최저 25℃ (12월) - 최고 40℃ (4월) - 건기 : 11-4월 - 우기 : 5-10월 ㅇ 1인당 GDP : 약 U$2,000 - 베트남 전체 1인당 GDP 약 U$ 724 ㅇ 수출액 : 13.694,8억불 (전년대비 12.5%) - 베트남 전체 396억불 ㅇ 수입액 : 66억불 (전년대비 4.4%) - 베트남 전체 444억불 ㅇ 외국인 투자 : 152억불(2,341건) (1988-2007.6) - 총 베트남 투자 : 655억불(7,267건)으로 호치민은 베트남 전체의 23% ㅇ 성장률 (전년대비) - GDP : 12.2 % - 공업 : 10.5 % - 건설 : 13.5 % - 서비스 부문 : 13.7% - 인구 : 11.5% - 인플레이션 : 3.98% ㅇ 기타 - 신규일자리 창출 90,000명 - 수도 공급율 : 85% - 실업률 : 5.7% 2. 행정 및 정치조직 ■ 행정조직 ㅇ 5개 특별시의 하나로 중앙정부로부터 광범위한 자치권 인정 ㅇ 시 행정구역 : 24개의 District(19군 및 5현)로 구성 ■ 시공산당 ㅇ 조직 : 당서기와 3명의 당 부서기, 최대 59명의 집행위원으로 구성된 시당 및 24개 군 또는 현(District) 당위원회로 구성 ㅇ 기능 : 주요정책의 수립과 시전체 행정조직을 감독하는 실질적 최고 권력기관 ㅇ 시 당서기 : Mr. Le Thanh Hai(정치국원) ■ 인민의회 (The People's Council) ㅇ 구성 : 지방 인민의 선거로 선출된 임기 5년(‘04.11-’09.11)의 의원 95명으로 구성(입후보자는 공산당 추천이 필요) ㅇ 기능 : 인민위원회(시청)와 인민재판소 재판관 선출 및 감독 ㅇ 의장 : Mrs. Pham Phuong Thao ■ 인민위원회 (The People's Committee) ㅇ 구성 : 인민의회에 의하여 선출된 위원장, 5명의 부위원장, 21개국 (Department)와 이하 24개 특별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음 ㅇ 기능 : 최고 행정집행기관 ㅇ 위원장 : 인민위원장 (시장) : Mr. Le Hoang Quan ■ 기타기관 ㅇ 중앙정부 사무소 - 17개 중앙독립부서가 남부 지역을 총괄하는 차관 또는 국장급의 상설사무소 및 연락 사무소를 호치민시에 설치 ㅇ 호치민 조국전선위원회 (Fatherland Front) - 조직 : 1941년에 설립된 항불 독립운동 단체인 Viet Minh 후신으로 사회 각 계층 및 종교 단체 대표자로 구성 - 위원장 및 21명의 부위원장 - 기능 : 공산장 외곽 조직으로 당 정책 지원 및 정책 건의 - 위원장 : Tran Thanh Long(전 부시장) ㅇ 호치민시 우호친선단체 연합회(Union of Friendship Organization HCMC) - 조직 : 위원장 및 14명의 부위원장 - 기능 : 외국과의 우호 증진을 위한 각종 친선협회 업무를 관장, 동 산하에 베ㆍ한 우호협회 등 20여개의 국별 친선조직이 결성 - 위원장 : Le Hung Quoc (호치민 외교부 제1부대표 겸) 3. 경제사회 동향 ■ 경제 ㅇ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생활수준 유지 - TV 보급률 : 93.7% - Video 보급률 : 75.7% - 오토바이 보급률: 89.1% - 냉장고 보급률 : 53.9.% - 에어컨 보급률 : 11.8% - 세탁기 보급률 : 21.4% - 전화 보급률 : 51.5% ㅇ 호치민시는 입지조건 및 비교적 양호한 인프라 시설, 외국인투자의 집중 등으로 베트남의 경제성장을 선도하고 있음. 매년 15-20%의 경제성장률을 시현 ㅇ 2006년 12월 현재 호치민시에는 58개국에서 2,491개의 외국상사 대표사무소가 소재하고 있음. 이중 싱가폴 494개 (19.8%), 한국 306개 (12.3%), 대만 234개(9.4%) 등이 큰 비중을 점하고 있음. ㅇ 외국인 투자유치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5백만불 이하의 외국투자 허가는 호치민시 투자계획국 (DPI), 1천만불까지는 시 인민위원회에서 직접 허가. ㅇ 호치민시는 2005년이후 250,000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자유무역지대내 외국인 투자유치, IT 및 전자산업 중점 육성, 불필요한 기업규제 및 감사 폐지 등의 정책을 적극 시행중. - 호치민시 인근에 하이테크 산업단지 조성계획 (2005년도 1차 완공) ■ 사회 문제 ㅇ 사회 개방화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인근 농어촌 인구의 유입, 주택난, 빈곤, 실업문제 등 사회적 갈등이 야기되고 있으며, 범죄, 마약, 매춘 등 사회악도 증가하는 추세. ㅇ 비대한 관료조직, 권한의 집중 등으로 관료주의가 심하며, 공무원의 낮은 임금이 사회경제적 최저생계수준을 반영치 못하는 것이 관료들의 부정부패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원인 4. 호치민시 중ㆍ장기 개발계획 ㅇ 2010년까지 남부경제삼각구(호치민-동나이-바리아 붕따우) 경제발전 계획 - 연 GDP성장율 14%, 2010년 3개지역 1인당 GNP U$3,500(호치민시 U$4,000선) ㅇ 신도시 개발 계획 - 호치민 시내 5㎞남동쪽의 Thu Thiem 반도(750ha)와 사이공강을 낀 Binh Quoi 지역을 국제금융, 관광, 서비스 중심도시로 육성 - 외곽 위성도시 12개를 건설, 2010년 인구 7백만명(유동인구 포함시 1천만명)의 대도시로 개발 - 저소득층 주택난 해소를 위해 공동 주택공급계획 ㅇ Hi-Tech Park 조성 - Hi-Tech 분야의 외국인투자유치 및 대학ㆍ기업연구소 등 유치를 위한 세계수준의 시설 마련 - 호치민시 중심부에서 15㎞ 떨어진 지역에 804㏊ 조성 - 1단계 사업에 5억불 투자, 2010년 project 완료 목표 ㅇ 97-2010년간 22억불을 투입하여 도로망(2002년 현재 도로율 4.5%)을 2배(2,400㎞)로 확장하고, 200㎞의 지하철 및 전철을 2010년까지 건설 ㅇ 대중교통 활성화 계획 - 우선 버스 25개 노선 운영 - 2006년 현재 대중교통 80% 개인화 ㅇ 사이공 항구(투자비 : 6억 7천만불) 및 탄손누트 공항(투자비 : 1억 8천만불) 확장 공사 추진 ㅇ 농촌지역 개발 계획 : 2000년부터 도로 및 수로개선 등으로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농산물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시행 및 계획하고 있음. 5. 주재기관, 기업 및 교민 현황 ■ 체류자 현황 ㅇ 07.3월 현재 약 6만여명으로 추정 ㅇ 상사, 투자진출업체 임직원 및 자영업자 가족이 대부분 ■ 기업진출 현황(2007.6월 현재) ㅇ 상사대표사무소 : 약 150 지사 ㅇ 투자업체 : 인근지역 포함시 800 여업체(인가기준) ㅇ 자영업자(비공식 투자) : 450여개 * 우리 진출기업 1,300여개사에 종사하는 베트남 근로자는 약 30만여명임. ㅇ 투자액 : 07년 6월 현재 한국의 대 베트남 총 투자액 87억불로 투자순위 2위국임. 대호치민 및 인근지역 FDI투자액은 300억불로 베트남 전체 투자액의 46% 점유. ㅇ 투자현황 - 호치민시 경제권에 포함되는 인근 동나이성, 빈증성, 바리아붕따우성의 투자액을 포함하면, 우리나라 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액의 50%, 투자건수의 70%에 달할 것으로 추산 - 투자분야는 전통적으로 제조업 중심으로 섬유, 봉제, 신발, 전자 등이며 석유가스 개발업에도 진출하고 있음. 최근에는 호텔, 철강, 리스, 관광업, IT산업, 건설 등으로 다양화 및 대형화하고 있는 추세임. ■ 정부 및 정부투자기관 ㅇ 총영사관 : 17명(외교관 9명, 국제교류재단 1명, 한국인행정원 7명) ㅇ KOTRA : 5명 (92.11.23 개설) (☎822-3944) ㅇ 석유개발공사 : 21명(임시직포함36명) (☎825-7808) ㅇ 남부지역 KOICA 봉사단 : 16명 (☎04-831-5117) - 호치민 6명(한국어지도 5, 태권도지도 1) - 속짱 3명(태권도지도1, 체육지도1, 축산지도1) - 껀터 2명(태권도지도1, 체육지도1) - 달랏 2명(한국어지도2) - 끼엔장 2명(건축2) - 나짱 1명(간호지도) ■ 주요 한인단체 ㅇ 호치민 한인회 : 한기윤 회장(☎920-1610) ㅇ 호치민 원로회 : 조병기 회장 ㅇ 호치민 한인상공인연합회(330개 회원사) : 이창근 회장(☎837-9154) ㅇ 부인회(☎425-5604), 학부모회(☎412-1301), 사이공한인연합교회(1,200여명), 상조회, 사랑회, 유학생회, 한ㆍ베 가족모임 등이 있음. ■ 한인 2세 현황 ㅇ 총 1,500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들은 대부분 연령상 결혼을 하여 현지 사회에 동화 흡수되어 있음. ㅇ 종교단체에서 직업훈련학교를 운영(2개) - 한인2세 및 베트남 청소년의 직업훈련 교육실시
■ 한국학교 가. 설립취지 ㅇ 거주 한국인이 증가하면서 자녀들의 교육문제가 최대의 당면과제로 대두 - 현지 베트남 학교나 국제학교는 국적부재의 교육내용, 학력 불인정, 비싼 교육비부담, 언어소통 등의 문제발생 ㅇ 한인 자녀들이 큰 학비 부담없이 우리 교육과정을 충실히 받고, 귀국후 국내 학교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함.
나. 설립경위 ㅇ ‘97. 11 한국학교 설립추진위 구성 ㅇ ‘98. 1 호치민시 인민위원회 한국학교 설립허가(초등-고교과정) ㅇ ‘98. 8 우리 교육부 한국학교 설립인가(초등 및 중등과정) ㅇ ‘98. 9 한국학교 개교(남 54, 여 33) ㅇ ‘00. 2 교육부로부터 고교과정 인가 ㅇ ‘01. 11 신축공사 준공식 ㅇ ‘04. 3 15개 교실 증축 공사완료
다. 학생 및 교직원 현황 ㅇ 학생 현황 : 총 867명(유치원 28, 초등 442, 중등 182, 고등 215명) ㅇ 교직원 현황 : 총 94명(정부파견 5명)
라. 학교 신축현황 추진 경위 ㅇ 99. 2 호치민시로부터 학교 신축부지(6,000평) 사용허가 (20,000㎡, ㎡당 연간 $1.2 사용료) ㅇ 99. 11 전한인사회 모금운동 전개(총 45만불 모금) ㅇ 00. 12 교육부 예산으로 50만불 지원금 확보 ㅇ 01. 11 신축공사 준공식 마. 한국학교 현안 사항 ㅇ 학생수 증가에 따른 증축(증축위원회 구성, 증축기금 모금 중) 6. 한ㆍ베트남 관계 ■ 외교관계 ㅇ 1992. 4 양국 연락대표부 설치 합의 ㅇ 1992. 8 주베트남 연락대표부 설치 ㅇ 1992.10 주한 베트남 연락대표부 설치 ㅇ 1992.12 외교관계 수립, 대사관 설치 ㅇ 1993.11 주호치민 총영사관 설치 * 정상급을 포함한 고위급 인사교류 활발 < 베트남 방문 > ‘96. 11 김영삼 대통령 ‘98. 12 김대중 대통령 ‘2003. 9 박관용 국회의장 ‘2004. 10 노무현 대통령 ‘2005. 4 이해찬 총리 ‘2006. 1 김원기 국회의장 ‘2006. 11 APEC계기 노무현 대통령 ‘2007. 5 전윤철 대통령 특사 < 한국 방문 > ‘93. 5 Vo Van Kiet 총리 ‘95. 4 Do Muoi 당서기장 ‘2001. 8 Tran Duc Luong 국가주석 ‘2003. 9 Phan Van Khai 총리 ‘2004. 6 Nguyen Van An 국회의장 ‘2005. 11 Tran Duc Luong 국가주석
■ 무역관계 ㅇ 양국간 교역은 ‘98년 외환위기 중에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 ‘06년에는 수출 3,927백만불(14.4% 증), 수입 924백만불(33.3% 증)을 기록 - 한국은 베트남의 제7위 교역 대상국이며 베트남은 한국의 29위임 (수출18위) - 매년 베트남이 30억불 이상의 무역적자를 기록, 양국간 현안으로 자주 등장. ㅇ 특히, 2002년도부터 대베트남 투자 증가와 베-미 무역협정 이후 베트남의 대미 섬유류 수출 급증 등에 따라, 섬유류 원자재 및 동 기계류의 대베트남 수출이 급등하였음. ㅇ 대베트남 수출은 섬유류, 화공제품, 철강금속, 자동차 등 베트남의 수출용 원자재 및 산업용 자본재 위주이며, 수입은 수산물, 광산물, 의류, 농산물 등 1차산품 위주임. <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연도별 교역현황 >
< 한국의 對베트남 품목별 수출현황 > (단위:백만불,증감율%)
< 한국의 對베트남 품목별 수입현황 > (단위:백만불,증감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