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래잡기는 지방에 따라 <숨바꼭질>또는 <술래놀이>라고도 한다. 나현성의 [한국유희사연구(백상문화사,1977)]에서는 술래잡기의 유래에 대해 {해동죽지海東竹枝}를 인용하였다.
『옛 풍습에 인경 종이 울린 뒤 나졸邏卒을 풀어 야경夜警을 범하는 사람을 잡는데, 아이들이 이것을 시늉내어 놀이를 한다. 이것을 순라잡기라고 이름한다』라고 하는 것을 보아 순라잡기 놀이는 순라병巡邏兵(조선 때, 도둑이나 화재 따위를 경계하기 위해 밤에 사람의 통행을 금하고 순찰을 돌던 군졸)에서 유래되었다.
즉, 오늘날 '술래'라는 말은 순라巡邏에서 온 것이다.
3. 술래놀이의 분류
① 몸 잡기 : 환경의 조작이나 도구 없이 몸만을 사용하여 노는 방법
② 진치기 : 술래에게 잡히지 않고 진을 치면 자유몸이 되는 방법
③ 찾기 : 숨어있는 아이들이나 숨겨진 물건을 술래가 찾아내는 방법
④ 눈으로 잡기 : 술래 몰래 동작을 바꾸거나 취하는 아이를 눈으로 잡는 방법
⑤ 버티기 : 술래의 다양한 공격에 버티는 방법
⑥ 알아 맞추기 : 눈을 가리거나 감은 술래가 감(느낌)으로 자신을 건드린 아이를 알아 맞추는방법
⑦ 도둑과 경찰 : 술래(경찰)가 여러 방법을 통해 바뀌는 도둑을 잡는 방법
⑧ 의자 원대형 : 의자 원대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술래를 계속 바꾸는방법
⑨ 금 안에서 잡기 : 땅바닥에 그어진 선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방법
⑩ 빼앗기 : 다른 아이들이 주고받는 것을 술래가 빼앗는 방법
⑪ 포로 : 술래에게 먼저 잡힌 아이들이 일정 지역에 갇히게 되고 다른 아이들의 도움으로 탈출할 수 있는 방법
⑫ 열 발뛰기 : 먼저 정해진 걸음을 뛰고 난 뒤 술래의 주문에 따라 동작을 취하며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방법
⑬ 등넘기 : 대장이 술래의 등을 뜀틀처럼 뛰어 넘으면서 하는 동작을 나머지 아이들이 차례대로 따라하는 방법
⑭ 자투리 : 명확하게 분류할 수 없는 방법
※ 술래놀이를 편의상 분류해 보았지만 서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4. 술래놀이의 종류
① 몸 잡기 : 술래잡기, 등치기, 앉은뱅이, 얼음땡, 까막잡기, 그림자밟기, 병0잡기, 병0전염, 자석땡, 강시땡, 무좀땡, 그물, 새0치기, 발밟기, 불사신
☞술래놀이의 시작은 먼저 술래뽑기 부터 시작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위바위보를 해서 뽑지만 게임을 통해서 뽑는 방법도 재미있다. 술래가 뽑혔으면 술래와 다른 아이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 한 상태에서 술래는 "됐나?", "됐다."라든지 "한데이?", "해라."와 같이 '준비'와 '확인'에 의해 시작된다.
만약 '진'을 정해서 하는 술래놀이 일 경우 술래는 '진'에서 일정한 수를 헤아리고 난 후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둘, 어떻게 해야 죽는가?
☞ '잡기', '치기'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잡기는 너무 어려워 일반적으로 '치기'로 한다.
셋, 다음 판의 술래를 뽑는 방법?
☞ 술래놀이의 방법에 따라 바뀐다.
① 술래에게 처음 잡힌 아이가 술래가 되는 방법
② 술래에게 모두 잡혀서 술래를 제외한 모두가 가위바위보로 뽑는 방법
③ 술래에게 모두 잡히고 술래를 포함해서 모두가 가위바위보로 뽑는 방법
④ '진'을 치지 못하고 죽은 아이들이 가위바위보로 뽑는 방법
넷, '공간제약'
☞ 술래놀이는 뛰고 달리는 놀이이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넓은 공간에서는 술래놀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들다. 이럴때는 일정한 공간을 정해놓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 몸술래잡기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동시에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간다.
③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센 다음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채인 아이는 죽어서 다음판 술래가 된다.
※ 공간이 너무 넓을 때에는 경계를 정한다.
▣ 등치기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센 다음 다른 아이들의 등을 치러 간다.
③ 술래에게 등을 채인 아이는 죽어서 다음판 술래가 된다.
▣ 앉은뱅이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세고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다른 아이들은 술래가 몸을 잡기 전 ‘앉은뱅이’ 라고 외치며 자리에 앉으면 술래에게 잡히지 않는다.
④ 앉은 상태에서 돌아다닐 수 있으며 자유롭게 일어설 수 있다.
⑤ 일어선 상태에서 술래에게 채인 아이와 ‘앉은뱅이’를 말하지 않고 앉았다가 술래에게 채인 아이는 죽어서 다음판 술래가 된다.
▣ 얼음 땡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나머지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잡으러 간다.
③ 다른 아이들은 술래가 치기 전 ‘얼음’ 하고 동작을 멈추면 술래는 치지 못한다.
④ ‘얼음’이 된 아이는 다른 아이가 ‘땡’하면서 쳐줄 때까지 움직일 수 없다.
⑤ 술래에게 죽은 아이는 다음판 술래가 된다.
▣ 까막 잡기
① 술래를 뽑아 눈가리개를 한다.
② ‘시작’과 함께 눈을 가린 술래가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다른 아이들은 박수를 치며 도망을 간다.
④ 술래에게 잡힌 아이가 술래가 된다.
※ 공간을 제한해야 한다.
▣ 그림자 밟기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술래는 다른 아이들의 그림자를 밟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그림자를 밟힌 아이는 죽어서 다음판 술래가 된다.
※ 그림자가 어려울 때는 끈 밟기로 응용
▣ 병신술래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술래는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채인 아이는 다음판 술래가 되는데 이때, 술래에게 채인 부분에 한 손을 대고 ‘병신술래’가 되어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병0전염
▣ 병신 전염
①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술래는 한 손을 머리에 대고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채인 아이는 채인 부분에 한 손을 대고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④ 병신술래는 바뀌지 않고 계속 늘어나는데 전체가 전염이 되면 끝난다.
▣ 자석 땡
①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나머지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잡으러 간다.
③ 술래가 치기 전에 옆 사람과 ‘자석’이라고 외치며 두 손바닥을 붙이면 술래가 잡지 못한다.
④ 다른 아이가 ‘땡’하며 쳐주면 다시 움직일 수 있다.
⑤ 혼자 잡히거나 ‘자석’을 외치지 않아 술래에게 잡힌 아이는 다음판 술래가 된다.
⑥ 전체가 ‘자석’을 하여 움직일 수 없으면 전체가 다 죽게된다. 이때는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뽑는다.
▣ 강시 땡(창작)
①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다른 아이들은 강시처럼 양발을 모아 모둠발로 뛰면서 도망을 가고 술래도 모둠발로 잡으러 간다.
③ 술래가 잡으러 왔을 때 ‘강시’라고 외치면서 손을 앞으로 내밀면 술래가 잡지 못한다.
④ 다른 아이가 ‘땡’하며 쳐주면 다시 움직일 수 있다.
⑤ 술래 몰래 뛰거나 걸을 수 있다.
⑤ 술래에게 들키거나 잡힌 아이는 다음판 술래가 된다.
▣ 무좀 땡(창작)
①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다른 아이들은 깨금발로 도망가고 술래도 깨금발로 잡으러 간다.
③ 깨끔발로 도망가다가 술래가 잡으러 오면 ‘무좀’하며 옆 사람과 발바닥을 붙이면 술래가 잡을 수 없다.
④ 다른 아이가 ‘땡’하고 쳐주면 다시 도망 칠 수 있다.
⑤ 술래 몰래 발을 내리거나 발을 바꿀 수 있다.
⑤ 술래에게 들키거나 잡힌 아이는 다음판 술래가 된다.
▣ 그물술래
① 가위바위보를 하여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센 다음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잡힌 아이는 술래와 손을 잡고 그물이 되어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술래에게 잡힌 아이들은 그물술래가 되어 그물이 점점 커지게 된다.)
④ 모두가 그물이 되면 가위바위보를 하여 다음판 술래를 뽑는다.
▣ 새끼치기
①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세고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잡힌 사람은 새0술래가 되어 어미(첫)술래와 손을 잡고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④ 술래가 늘어나 4명이 되면 2명씩 분가를 하여 잡으러 다닌다.
⑤ 모두가 잡히면 놀이가 끝난다.
※ 어미 술래가 처음 시작할 때 외에는 혼자 잡으러 다닐 수 없다.
▣ 발 밟기
①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함께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세고 깨금발로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처음 발을 밟힌 사람은 깨금발로 도망을 친다.
④ 술래가 발 밟기를 실패하여 땅바닥을 밟았을 때는 ‘저금’을 해놓아 술래에게 밟혔을 때 쓸 수 있다.
④ 술래에게 두 번째 발을 밟힌 사람은 다음판 술래가 된다.
※ 술래는 제 자리에서 발을 바꿀 수 있다.
▣ 불사신(창작)
① 술래를 뽑는다.
② ‘시작’과 다른 아이들은 도망을 가고 술래는 정해진 수를 세고 다른 아이들을 잡으러 간다.
③ 술래에게 첫 번째 잡힌 아이는 한 손을 머리 위에 올리고 도망을 친다.
④ 술래에게 두 번째 잡힌 아이는 두 손을 머리 위에 올리고 도망을 친다.
⑤ 술래에게 세 번째 잡힌 아이는 두 손을 머리 위에 올리고 깨금발로 도망을 친다.
⑥ 술래에게 네 번째 잡힌 아이는 죽어서 다음판 술래가 된다.
첫댓글 겨울학기때 한번 해볼까남유

저학년 체육 시간이나 학기초에 어색할 때 아이들과 함께 하면 재미있겠어요. 역쉬!!! 은영샘 이렇게라도 만나니 무지 반갑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