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숙집을 낸다 전세를 낸다
누구한테 빌려주거나 빌려주고 돈 받는 것이다.
ㄹ-->ㄴ 로인-->노인 로산-->노산 로상-->노상
전세를 놓다
영어사전
세를 놓다
1. rent[let] 2. take in lodgers
lodger 놓져
세들어 사는 사람이다.
하숙을 놓다 lodge 놓지
tenant 세입자
테-->th번데기-->세 貰
tax 세금
수입에서 얼마떼어 바친다.
뗐어-->어원
tariff 떼어삐-->떼버려 의 경상도사투리 관세,요금표
영어사전
tenant
1. 세입자, 임차인, 소작인 2. 임차해서 살다; (땅을) 소작하다
세낸다,세내니드 -->세냅니다의 경상도사투리 (어원)
tenement 셋방
세냄니드 세냄더 -->세냅니다의 경상도사투리
tender 시중드는 사람,간호인
시중을 들다 의 활용 든다 드니 tend 든다 -er은 사람 어르 (사람;어원)
시중드는 사람
tenure 보유,보유권
ㅌ-->ㅊ 발음변천과정
티니어 티녀-->디니어 디녀-->지니어 지녀 (어원)
서양애들은 김치를 킴치라고 발음하잖아!
기본형 지니다
우리말로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국어사전
지니다
1. 몸에 간직하여 가지다.
2. 기억하여 잊지 않고 새겨 두다.
3. 바탕으로 갖추고 있다.
영어사전
지니다
1. (몸에) keep, carry 2. (마음·성품·의미 등을) have, keep
attend 역시 우리말 발음을 잘 이해하면 동음이의어나 다의어를 쉽게 익힌다.
attend
1. 참석하다 2. (…에) 다니다 3. 주의를 기울이다
attend는 수업을 듣다는 의미로 쓴다.
~에다+든는다 (어원) 비음현상 듣는다
[자동사][V] ~ (to sb/sth) (격식) 주의를 기울이다
She hadn't been attending during the lesson.
그녀는 수업 시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었다.
주의를 기울이기 보다 듣는다라고 해석하는 편이 더 좋다.
참석하다는 뜻 ~에다 든다 入 enter,get in
기본형 들다의 활용형이다.
참석하다
The meeting was attended by 90% of shareholders.
그 회의에는 90%의 주주가 참석했다.
to attend a wedding / funeral
결혼식/장례식에 참석하다
We'd like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attend.
가능하면 많은 분들이 참석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다닌다는 뜻이다.
~에다 ad+tend 드는다-->다닌다 (전설모음화)
n은 은 는 느 등으로 발음될 수가 있다.
-nce ~는거 진행 명사형접미사
~ing ~은거 ~잉거 ~인거
[타동사][VN] (…에) 다니다
Our children attend the same school.
우리 아이들은 같은 학교에 다닌다.
How many people attend church every Sunday?
일요일마다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인도 드라비다어족의 언어 타밀어로 가르치다(teach)의 말은
Kaṟṟu 이다.
역시 드라비다어족의 언어 칸나다어는 Kalisu
어근은 우리말 가르 와 같다.
lesson
1. 수업 (시간) 2. 과, 가르침(의 내용) 3. (특히 불쾌한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교훈
guru 라는 말이 있다.
가르치다의 어근 가르(어원)
영어사전
guru
1. 구루(힌두교・시크교의 스승이나 지도자) 2. 전문가, 권위자
힌두교, 불교, 시크교 및 기타 종교에서 일컫는 스승으로 자아를 터득한
신성한 교육자를 지칭한다. 구루의 기원은 초기 우파니샤드에서 찾을 수 있다.
<무겁다>라는 의미의 산스크리트어의 형용사로, 뜻이 바뀌어서
<존경해야 할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가 되었다. 인도에서 부(父)ㆍ모(母)를
비롯해 손윗사람 일반을 가리켜서 이용되는데, 그중에서도 <스승>의 의미로
이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루 [guru]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연구사)
가르칠,교 敎의 한자상고음이 khgru인데 그르-->가르 가르치다의 어근
그르-->가르 변한다.
음악할때 악 :가락 역시 樂 그륵-->가락 -->각-->악
r이나 l앞의 kh나 g는 모두 사라지더라.모든 언어가 그렇다.아마 경구개음은
입 안의 제일 위쪽에서 소리나기에 묻히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강을 뜻하는 rio,river 역시 앞에 kh가 생략되었는데 kh를 붙여 복원하면
khrio 흘러 khriver 흘러버려 우리말 강 江도 가람에서 r탈락으로 축약 변형된 것
이다.더 거슬러가면 gram 인데 garam으로 변한다. 즉 g는 kh일종인데 가래끓는
소리 ㅎ와 ㅋ의 중간발음.흐름이 된다.
흘러가는 것이 곧 강인 것이다.
lesson 역시 이와 같은 발음현상인데 앞에 kh나 g를 붙여 복원한다.
glesson -->galesson 가르셨은-->가르셨음
독일어가 더 발음에 와 닿겠다.
galektion 가르켰은-->가르켰음 가르쳤음 가르텼음
독일어 Lektion
프랑스어 leçon
스페인어 lección
이탈리아어 lezione
러시아어 урок
인도계열의 언어들
힌디어 paath (가르침을)받아
네팔어 Pāṭha (가르침을)받아
구자라트어 Pāṭha (가르침을)받아
말라얄람어 pāṭhaṁ (가르침을) 받음
벵골어 Pāṭha (가르침을)받아
신할라어 pāḍama (가르침을)받으마
칸나다어 Pāṭha (가르침을) 받아
타밀어 Pāṭam (가르침을)받음
펀자브어 Pāṭha (가르침을)받아
텔루구어 Pāṭhaṁ (가르침을) 받음
lecture 역시 마찬가지 발음현상인데
영어사전
lecture
1. (특히 대학) 강의, 강연
2. (화가 나서 하는) 잔소리
3. (특히 대학에서) 강의하다
프랑스어사전
lecture
[여성명사] 1. 읽기,독서 2. 읽을거리,애독서,책 3. 해석,독해
앞에 생략된 kh나 g를 붙인다.
glecture-->galaecture 가릇쳐-->가르쳐 (어원)
세 (貰)
[세를 놓다, 빌려주다
lord r은 ㅎ발음 롷다-->놓다
땅주인이 세를 놓으니까 땅소유주 건물 소유주 즉 주인이 되는 것이다.
rent 랜다-->낸다 빌려준다
lend 역시 같은 어원이다.
이와 상대되는 단어로는 borrow가 있다.
영어사전
borrow
1. 빌리다 2. (돈을) 꾸다 3. (어휘・사상 등을) 차용하다
(손)벌려뿌-->어원
borrow (v.)
Old English borgian "to lend, be surety for," from Proto-Germanic
*borg "pledge" (source also of Old English borg
"pledge, security, bail, debt," Old Norse borga "to become bail for
, guarantee," Middle Dutch borghen "to protect, guarantee,"
Old High German boragen "to beware of," German borgen "to borrow; to lend"),
from PIE root *bhergh- (1) "to hide, protect."
pledge는 우리말을 모르면 제대로 어원 해석이 안된다.
pledge
1. (굳은) 약속, 맹세, 서약 2. 저당(금) 3. (정식으로) 약속하다
실제 이런 뜻 보다 우리말 발음에 깊은 뜻이 있다.
손을 벌리다
손(을) 벌리다 관용구
[같은 관용구] 손(을) 내밀다.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예문)거두어야 할 식구가 많아 하는 수 없이 이웃집에 손을 벌리기까지 했다.
공짜로? 언젠가는 갚아야 한다.
플르드-->블르드-->빌리다 (전설모음화)
(손)벌렸지 혹은 빌려뿌 -->어원
render
1. (어떤 상태가 되게) 만들다 2. (특히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또는 기대에 따라) 주다
된다--->뢴다
surrender 떠넘기다
1.
~ (yourself) (to sb) 항복[굴복]하다, 투항하다
2.
[타동사][VN] ~ sth/sb (to sb) (격식) (권리 등을) 포기하다[내주다/넘겨주다]
He agreed to surrender all claims to the property.
그는 그 재산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기로 동의했다.
They surrendered their guns to the police.
그들은 경찰에 총을 넘겨주었다.
The defendant was released to await trial but had to surrender her passport.
그 피고는 재판을 기다리도록 풀려났지만 여권은 내주어야 했다.
1.
~ (to sb/sth) 항복, 굴복
They demanded (an) unconditional surrender.
그들은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2.
(비유적으로) 굴복
They accused the government of a surrender to business interests.
그들은 정부가 재계의 이익에 굴복했다고 비난했다.
3.
~ of sth (to sb) (특히 전투 후의) 양도
떠 sur은 손 手을 뜻한다.
건네다 건내다 건낸다
render는 낸다 혹은 논는다(놓는다)
손놓는다 손에서 뗀다 즉 포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