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찬양나라음악마을 원문보기 글쓴이: sun
<작은 보표> |
<큰보표> |
<모음보표> |
2. 음이름
① 원음과 사이음 : 여러개의 음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일곱 개의 음을 원음 이라하는데
피아노의 흰 건반에 해당한다.
원음을 반음 올리거나 내려서 변화시킨 음을 사이음이라 하고
피아노의 검은 건반이 이에 해당한다.
음악에 쓰이는 여러 음들은 고유한 이름이 붙어 있다. 다음 7음은 그 기 본이 된다.
★ 위나 아래로 여덟번째 음은 같은 음이름을 쓰게 되며,
이 여덟번째 음과의 간격을 옥타브(Octave)라고 한다.
② 온음과 반음 피아노 건반에서 반음은, 서로 인접하는 흰건반과 검은건반의 사이,
검은 건반과 흰건반의 사이, 또는 흰건반과 흰건반의 사이('시'음과 '도'음 사이 및
'미'음과 '파'음사이 뿐)등의 거리이다. 반음이 2개 합쳐지면 온음이 된다.
3. 음표와 쉼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음,
혹은 쉼을 표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의 기호를 사용한다.
① 음표와 쉼표
음표 |
|
쉼표 |
|
4 |
|
|
2 |
|
|
1 |
|
|
1/2 |
|
|
1/4 |
|
음표의 부분 이름
② 점음표와 점쉼표 점은 그 앞의 음표의 반(1/2)이다.
겹점음표에 있어서 두번째의 점은 그 앞의 점의 반(1/2)이다.
(쉼표에 있어서도 음표 때와 같다)
=
+
,
.. =
+
+
③ 잇단음표 때로는
2등분, 또는 4등분되어야 할 음표를 3등분, 또는 6등분하여 써야 할 때가 있다.
이러할 때에는 잇단음표를 쓴다.
|
|
|
|
|
|
변화표란 원음을 그 자리에 둔 채로 반음 올리거나 반음 내릴 때 쓰는 표를 말한다.
1. 변화표의 종류
#(Sharp) |
올림표 |
원음을 반음 올릴 때 음표(머리)의 왼편에 붙인다. |
х (Double sharp) |
겹 올림표 |
원음을 반음 올린 음을 또 올릴 때 붙인다. |
♭(Flat) |
내림표 |
원음을 반음 내릴 때 음표(머리)의 왼편에 붙인다. |
|
겹 내림표 |
원음을 반음 내린 음을 또 내릴 때 붙인다. |
|
제자리표 |
올리거나 내린 음을 본래 음으로 돌려놓을 때 ,즉 변화표 효력을 취소할 때 붙인다, |
2. 변화표의 효력
① 조표로서의 효력 : 조표로 붙은 변화표는 옥타브차이와 상관없이
해당음표와 음이름 이 같은 음에 모두 효력이 있다.
② 임시표로서의 효력 : 임시표가 붙을 때는 그 마디 안에서의 해당 음표에만 효력이 있다.
마디가 바뀌거나 같은 마디라도 옥타브 차이가 있을 때는 효력이 없다.
③ 딴이름 한소리 : 음이름은 다르나 같은(한)소리를 내는 것을 딴이름 한소리라 한다.
예) 내림나→ 올림가, 마→내림바
1. 박(Beat)
음악에는 여러 가지 리듬이 사용되는데,
이는 일정한 시간에 따라 생기는 질서위에 세워진 박(拍)이라는 단위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다.
음악에서는 대개 한 박의 길이를 0.1초 내지 1.5초사이의 것이 사용된다.
박자에는 2의 배수관계로 된 2박자계(4박자 포함)와 3의 배수관계로 된 3박자계,
그리고 2박자와 3박자가 혼합된 섞음박자가 있다.
또 2박자계와 3박자계는 다시 각각 홑박자와 겹박자로 나눈다.
2. 박자의 종류
계 통 |
홑박자 |
겹박자 |
2박자계 |
2/4,2/2,2/8 |
6/8,6/4 |
3박자계 |
3/4,3/2,3/8 |
9/8,9/4 |
4박자계 |
4/4,4/2,4/8 |
12/8,12/4 |
섞음박자(혼합박자) |
5/4(2/4+3/4 또는 반대) ,7/4(3/4+4/4 또는 반대) |
3.세로줄과 마디
4.당김음 : 센박과 여린박의 위치가 어떤 수단에 의해 고의적으로 변화된 상태
① 여린박이 센박보다 길 때 이것이 센박이 된다.(리듬에 의한 것 ,붙임줄에 의한 것)
② 센박에 쉼표가 있으면 다음에 오는 음표가 센박이 된다.
③ sf,>(그 음을 특히세게) 등의 부호가 붙으면 세게 연주한다.
1. 이음줄과 붙임줄
① 이음줄(slur :슬러)
: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에 그은 줄로 부드럽게 이어서 연주하라는 뜻
② 붙임줄(tie : 타이)
: 높이가 같은 2개의 음에 그은 줄로 각 음을 합하여 한 음과 같이 연주하라는 뜻
2. 테누토(tenuto) : 음표의 길이를 충분히 끌어 연주하라는 뜻
3. 스타카토(staccato) : 음을 짧게 끊어 소리내라는 표로서, 스타카토,메조 스타카토,
스타카티시모의 세 종류가 있다.
4. 도돌이표
■ 도돌이표: 악곡을 반복해서 연주
■ D.C(다카포): 곡의 맨 처음 으로 돌아가서 연주하다 Fine(피네)에서 끝마치라는 표
■ D.S(달세뇨):세뇨로 돌아가 연주하다 Fine(피네) 에서 끝마치라는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