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을 위한 세번의 시간 이 순간의 기억만은 영원하길...
1966, 가오슝: 사랑의 꿈. 당구장 종업원 슈메이(서기)는 휴가를 맞아 당구장을 찾은 군인 첸(장첸)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첸의 복귀 이후에도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 받으며 애정을 키워간다.
그러던 어느날, 첸은 휴가를 맞아 당구장을 찾지만 슈메이는 당구장을 그만두고 아무도 그녀의 행방을 알 수가 없는데.
1911, 대도정: 자유의 꿈. 격변의 시대, 대만. 양반 신분이지만 개화 사상을 주장하는 신 지식인 창(장첸)은
유곽의 기녀 아메이(서기)와 연인 사이다. 그러나 신분의 장벽 앞에 두사람은 서로에게 선뜻 다가 서지 못하는데.
2005, 타이페이: 청춘의 꿈. 간질병을 앓고 있는 칭(서기)은 약물 부작용으로 한쪽 눈 마저 실명한 상태다.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는 그녀에게 반해버린 첸(장첸)은 매일 그녀의 사진을 찍으며 그녀와 사랑을 나눈다.
각자 애인이 있으면서도 아슬아슬한 밀회를 나누는 칭과 첸, 이들의 엇갈린 사랑은 점점 위태로운 결말을 향해가는데.
'연애몽(戀愛夢)', '자유몽(自由夢)', '청춘몽(靑春夢)' 등 세 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이 작품에서 그는
[펑퀘이에서 온 남자들], [해상화], [밀레니엄 맘보]에서 모티브를 이끌어내고 있다.
그런데, 그가 이러한 모티브를 인용하면서 집중했던 것은 형식미의 완성이었다.
이를테면, 첫번째 에피소드인 ‘연애몽’은 당구장에서 만나고 기다리는 남녀 한쌍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시퀀스에서 허우샤오시엔은 너무나 정교한 자신만의 조명스타일을 완성시키고 있다.
아마도 손가락 한뼘 정도의 거리도 계산되었을 것 같은 조명은 밝음과 어두움의 세밀한 대비를 통해 두 남녀의 미묘한 감정의 흐름을 담아내는데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그리고, 음악에도 일가견이 있는 허우샤오시엔은 이 장면에서 The Platters의 ‘Smoke Gets in Your Eyes’를
테마음악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화면과 음악의 절묘한 조화는 말 그대로 관객으로 하여금 원 제목처럼
'가장 행복한 시간(最好的時光)'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이번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는 버전은
칸영화제 상영 이후 재편집을 거친 최종본이다.
2005년 금마장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2005년 칸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제1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네이버 영화 출처>
오페테라 너구리저택 - 10일 오후 7시 30분
뮤지컬 | 일본 | 110 분 스즈키 세이준 장쯔이, 오다기리 죠... 12세 관람가
아버지의 사주로 산에 버려질 운명에 처한 아메치요는 아름다운 여인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피한다.
여인은 사람으로 변신한 너구리 공주였고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진다.
아들의 미모를 시기하는 아버지, 사람과 너구리의 사랑을 부정하는 너구리들.
남은 것은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는 두 사람의 사랑일 것이다.
너구리와 인간의 사랑을 춤과 노래, 그리고 애절한 드라마와 재미를 섞은 영화로 고전극의 리메이크 작품.
2005년 제58회 칸국제영화제 특별초청작품.
82세의 나이에도 실험적인 현역감독으로 활동 중인 스즈키 세이쥰이 [피스톨 오페라]에 이어 완성한 영화.
60년대의 독특한 장르와 80년대의 [지고이네르바이젠]을 거치며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은 그의 신작은 신화적인 공간을 무대로 펼쳐지는 러브스토리이다.
그러나 스즈키 세이쥰의 관심은 순애보보다는 더 큰 곳에 있다.
1940-50년대 일본에서 시리즈로 제작되고 대중적으로 흥행했던 [너구리극장]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면서 그는 동서양의 다양한 요소를 가져왔다.
동화와 멜로드라마, 엔카와 힙합, 연극과 영화, 그리고 실사와 애니메이션이 공존하는 화면이 두 사람의 사랑을 따라 유쾌하게 스텝을 밟는다.
오페레타라는 양식에 대해 “오페라에서 추락한, 그러나 매력적인 딸”이라 했던 생상의 표현처럼,
[오페레타 너구리 극장]은 여러 예술 장르가 그들의 근엄함과 국적을 버리고 소란을 피우는 한바탕 공연이다.
장츠이와 오다기리 죠의 조합은 여기에 잘 어울리며, CG로 재현된 일본 대중가요의 여왕 미소라 히바리의 깜짝 출연도 적지 않은 즐거움. (부산국제영화제 - 권용민) 네이버 영화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