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러코드에 없는 에러번호는 현재 Multi V에 사용되지 않는 에러번호입니다.
★고장 점검 방법 1)PCB와 센서 접속 상태 확인하세요(센서의 콘넥터 ). 2)센서의 접속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정확한 위치에 센서를 다시 접속하세요. 3)센서를 뽑아서 센서 저항을 측정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4)센서의 저항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체하세요. 5)센서접속 및 센서가 이상 없으면 ,실내 PCB 교체 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유선리모컨의 접속 상태 확인하세요(연결 콘넥터) 2) 유선리모컨의 Cable가 찍혀서 단선이 되지 않았는가? 3) 유선리모컨의 Cable와 AC 전원선이 나란히 설치 되었으면,30cm이상 이격을 시키세요. 4) 유선리모컨을 교환후 확인 하세요. 5) 실내기PCB를 교환 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응축수가 실제로 있는가(전원 제거 후 확인하세요) 2)응축수가 있으면,드레인 펌프가 응축수에 잠겨 설치 되었는가? 아니면 드레인 호수가 막혔는지 또는 배수가 되는지 확인하고 배수가 되도록 하세요. 3)드레인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가(동작 소리 / 배수되는 응축수를 확인) 4)드레인이 동작이 되지 않으면,드레인 펌프의 단자에 220V가 공급되는지 전압을 테스터로 확인하세요. 전압이 공급 되는데 동작이 않되면 드레인 펌프 교환 하세요. 5)전압이 공급이 안되면,연결 콘넥터를 확인하고 이상없으면,실내기PCB 교환하세요. 6)만일,응축수가 없는데도,플로트 스위치가 동작하면,스위치 불량이므로 드레인 펌프를 교환하세요. (정상이면 스위치는 OPEN , 동작 상태이면 ON).
★고장 점검 방법 0)실내기의 통신선과 전원220V 연결선 바뀌면, 모든 실내기의 통신부는 소손 됩니다. 1)전체 실내기에 “ch05”가 발생 된 경우 : 실외기의 전원이 off 되었는지 확인하세요. 2)실외기 전원이 off되었으면,실외기 전원off의 원인을 찾아서 조치 후 전원을 “on”하세요. (원이:COMP 누전 또는 소손,차단기 불량, 전원선간 SHORT,등등) 3)실외기 CON-BOX의 통신선 연결 단자에 체결이 잘되어 있는가? 4)통신선의 단선 또는 SHORT를 확인 후 원인을 제거 하세요. (단선 : 전원을 OFF 후 한쪽 통신을 강제 SHORT후 테스터로 SHORT확인->비정상=5옴 이상) (SHORT:전원을 OFF 후 통신선을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터로 통신선의 저항을 확인->비정상=5옴 미만) . 5) 2~3에서 원인이 없으면,실내기의 통신을 모두 분리 후 실내기 1대씩 연결하면서 확인 하세요 (불량인 실내기 PCB를 접속 시 통신 에러가 발생합니다)->해당 실내기PCB 교환. 6)1대 또는 몇대만 “ch05”발생 된 경우: Auto-Addressing을 다시 실시하신후 전 실내기에 주소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전원을 on 시킨후 반드시 1분 뒤어 Auto-Addressing을 실시하세요) ->주소 설정이 않된 실내기는 통신선 재확인 후 실내기PCB 교환 하세요. 7)통신선과 전원(AC220/380V)과 나란히 설치 된 경우 반드시 30cm 이상 이격 시켜 주세요.
★고장 점검 방법 1)해제 방법 : 유선리모컨의 운전/정지 버튼을 1회 push 하면 몇초 후 해제됨. 2)에러 해제 후 동일한 운전모드(난방/냉방)로 실내기를 운전 하면 정상 운전됨. (운전 시작 시 잠깐 다른 모드로 운전 시킨 후 동일 모드로 재운전시 ch07 이 발생 할 수 있음).
★고장 점검 방법 1)실내기 EEPROM PIN에 이 물질(납찌꺼기)이 묻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2)실내기 PCB 교체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압축기 절연저항. MOTOR Coil 저항은 정상인가? 아니면 압축기 교환하세요. -MOTOR Coil저항 → 인버터 압축기:각 상간=1.33Ω±7% , 정속 압축기:각상간=1.83Ω±7% (3개의 측정 값이 유사해야 됨) -절연저항 → 압축기 단자와 제품샤시간 저항 = 2㏁ 이상(정지 후 일정시간 후에 측정하세요) 2) IPM 입력 전원이 490Vdc~560Vdc 인가? 아니면 입력전원, 다이오드 검사 및 교환하세요. 3) IPM/다이오드가 정상인가? 아니면 IPM/ 다이오드를 교환하세요. 테스터의 다이오드측정에setting한후 -IPM: “P-U/P-V/P-W” 측정 시:0.3~0.6 나오고, 반대 극성으로 측정 시 2.6이상이면 정상 “N-U/N-V/N-W” 에 상기 극성과 반대로 연결하여 :0.3~0.6 나오고, 반대 극성으로 측정 시 2.6이상이면 정상 -다이오드: “+ - ~ / + - ~ / + - +” 측정시:0.3~0.6 나오고, 반대 극성으로 측정시 2.6이상이면 정상 “ - - ~ / - - ~ / - - ~” 에 상기 극성과 반대로 연결하여 :0.3~0.6 나오고, 반대 극성으로 측정시 2.6이상이면 정상 4) 실외팬은 운전이 되는가? 아니면 실외 팬 출력 및 팬을 점검하세요. 5) 입력 전압이 360Vac~410Vac 인가? 아니면 입력 전원 점검하세요. 6) 단자 연결상태는 정상인가? 압축기 연결 단자 , ipm연결단자 , 다이오드 연결단자 , 콘덴서 연결단자 7) IPM Pin 연결용 PCB의 납땜은 정상인가 ?(PCB를 해체하여 뒷면의 납땜 상태 확인) 8) 배관 막힘과 냉매량을 검증하세요. 9) 건물의 전기 결선도에서 각 상간 전압 밸란스(상배분)를 확인하세요. 10) 수전용량의 부족 여부를 확인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0) 전류계로 측정시 실 전류가 운전시 18~20A 이상 또는 1A미만으로 나왔는가? 1) 18~20A 이상이었다면,COMP의 절연저항 및 Coil저항을 확인하세요(에러21참조) 2) 1A미만 이었다면 각 상간 전원전압이 편차가 있는지(5~10V미만)확인 하세요? (전원편차가 있으면,전원을 수정하세요),냉매가 있는지 확인 하세요(냉매 누설 시 부하전류가 낮음) 3) 전류계 측정시 정상적으로 (압축기 운전시:3~16A)되었 다면,인버터PCB를 교환하세요. 4) 입력 전압이 360Vac~410Vac 인가? 아니면 입력 전원 점검하세요. 5) 실외,실내 LEV, Check Valve 정상인가? 아니면 실외LEV, 실내 LEV, Check Valve 점검하세요. 6) 실외기 주변에 원활한 열교환을 방해하는 차폐가 있으면 차폐를 제거 또는 실내기 필터 점검하세요. 7) 배관 막힘 또는 냉매량을 검증하세요. 8) 난방시 4-WAY 밸브가 정상 동작 하였는가 ? 압력 관찰 또는 동작소리 확인
★고장 점검 방법 1) 인버터 CON-BOX에 시동 릴레이/마그네틱컨택터가 정상인가? (제품 운전 인가되면,약30초 이후에 전압이 450Vdc 이상이면 정상:인버터 보드 CN2 ). 2) 전압이 450Vdc 미만이면, -전원 전압을 확인하고, -마그네틱 확인(Coil저항=400~700Ω이면 정상)및 체결상태 확인, -결선 상태 확인(압축기용 콘덴서(400WV,2700Uf*2)가 체결 및 외형상 이상 없는지 확인) 3) R, S, T 전원 입력이 정상인가? 아니면 입력 단자 체결 또는 전원 점검하세요. 4) 압축기 절연 저항 또는 Coil저항 확인 하세요(에러21참조). -(압축기 단자를 제거 하여도 에러가 발생이 안되면 압축기를 점검 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실내/외 팬이 정상 작동하지 않으면 팬 점검 및 교환하세요. 2) 실내기 또는 실외기 열 교환이 잘 이루어 지도록 방해물이 없는가? 3) 실제로 고압스위치가 동작하는 압력에 도달 하는가? (압력이 높음.→ 배관 막힘, 냉매량, 실내기 팬이 회전 하는지/ 필터의 막힘 확인) 4) 실제로 고압스위치가 동작하는 압력이 아니라면, 압력 스위치를 점검 하세요. (주의: 배관이 터질 수 있음으로 조심하고 임시적으로 스위치를 short하여 운전 시 이상 없으면 압력스위치 교환) (고압 스위치를 임시적 short하여도 동일 에러 발생하면, 고압 스위치 감지하는 PCB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입력 전원(3상=380V±10%,단상=220V±10%)이 정상인가? 아니면 입력 전원 점검하세요. 2) 실외기 PCB 전원입력이 220V±10% 인가? 아니면 FUSE또는 결선 확인하세요. 3) 실외기 PCB 전원입력이 정상이면, PCB 교환 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토출 온도가 실제 높지 않으나 토출 온도가 정상이 아니면 토출 온도센서 교환하세요. 토출 온도가 실제 높지 않고 토출 온도가 정상이면 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2)실내/외기의 LEV가 정상인가? 아니면 LEV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3)Liquid Injection Bypass Valve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Liquid Injection Valve 스위치를 점검하세요. 4)Hot Gas Bypass Bypass Valve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Hot Gas Bypass Valve 스위치 점검하세요. 5)냉매 충전 상태 확인하고 부족하면 냉매 보충하세요. 6)냉매 누설 상태 또는 냉매량 과다인지를 재 확인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토출 온도가 실제 높지 않고 토출 온도가 정상이 아니면 토출 배관 온도 센서를 교환하세요. 토출 온도 센서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토출 온도가 실제 높지 않고,토출 센서가 이상 없으면 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2)실내외기의 LEV가 정상이 아니면 LEV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각단자간 45~90Ω :정상) 3)Liquid Injection Bypass Valve가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Liquid Injection Valve 스위치를 점검하세요. 4)Hot Gas Bypass Valve 정상 동작인가? 아니면 Hot Gas Bypass Valve 스위치를 점검하세요. 5)냉매 충전 상태 확인하고 부족하면 냉매 보충하세요. 6)냉매 누설 상태를 확인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토출 압력이 실제 높은지 확인 하세요. 2)실내외기의 팬 동작 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팬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3)실외/내기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치 조건을 점검하세요. 4)실외, 실내 LEV, Check Valve 정상이 아니면 실외, 실내 LEV 점검하세요. 5)냉매 봉입량 재산정 및 재봉입 상태 확인하세요. 6)차폐 있으면 실외기 차폐제거하고 추가로 실내기 필터 점검하세요. 7)배관 막힘 혹은 냉매 상태 확인하세요. 8)가능 하면 JIG를 사용하여 압력 센서 대신하여 단자에 체결하고, 동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센서 불량, 동일 에러 발생하면 PCB불량 (순서대로 연결)
★고장 점검 방법 1)흡입 압력이 실제 낮은지 확인 하세요. 2)실내외기의 팬 동작 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팬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3)실외/내기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치 조건을 점검하세요. 4)실외, 실내 LEV, Check Valve 정상이 아니면 실외, 실내 LEV 점검하세요. 5)냉매 봉입량 재산정 및 재봉입 상태 확인하세요. 6)차폐 있으면 실외기 차폐제거하고 추가로 실내기 필터 점검하세요. 7)배관 막힘 혹은 냉매 상태 확인하세요. 8)가능 하면 JIG를 사용하여 압력 센서 대신하여 단자에 체결하고, 동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센서 불량, 동일 에러 발생하면 PCB불량 (순서대로 연결)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 온도 센서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 온도 센서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 온도 센서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 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 실외기 PCB점검하고 정상이면 고압센서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 실외기 PCB점검하고 정상이면 고압센서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 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 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 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 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 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 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 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 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 Auto-Addressing 을 실행하였나? 2) 실내기 총용량이 적당한가? 총대수는 적당한가? 3) 실내기 총용량/총댓수가 적당하면 실외기~실내기 통신선이 타 시료의 것과 혼용 연결이 되었는가? 4) 실내기 PCB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통신선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통신선 점검 및 재연결을 실시하세요. 2) 실외기 Main /인버터PCB 는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하고 있는가? (인버터PCB 전원OFF시 동일 에러 발생됨) 3) 실외기 Main /인버터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통신선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통신선 점검 및 재연결을 실시하세요. 2) 실외기 Main /인버터PCB 는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하고 있는가? (인버터PCB 전원OFF시 동일 에러 발생됨) 3) 실외기 Main /인버터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0) 실내기의 통신선과 전원220V 연결선 바뀌면, 모든 실내기의 통신부는 소손 됩니다. 1) 실내기 CON-BOX의 통신선 연결 단자에 체결이 잘되어 있는가? 2) 통신선의 단선 또는 SHORT를 확인 후 원인을 제거 하세요. (단선 : 전원을 OFF 후 한쪽 통신을 강제 SHORT후 테스터로 SHORT확인->비정상=5옴 이상) (SHORT:전원을 OFF 후 통신선을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터로 통신선의 저항을 확인->비정상=5옴 미만) . 3) 1~2에서 원인이 없으면,실내기의 통신을 모두 분리 후 실내기 1대씩 연결하면서 확인 하세요 (불량인 실내기 PCB를 접속 시 통신 에러가 발생합니다)->해당 실내기PCB 교환. 4) 1대 또는 몇대만 “ch53”발생 된 경우: Auto-Addressing을 다시 실시하신후 전 실내기에 주소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전원을 on 시킨후 반드시 1분간 기다렸다가 Auto-Addressing을 실시하세요) ->주소 설정이 않된 실내기는 통신선 재확인 후 실내기PCB 교환 하세요. 5) 통신선과 전원(AC220/380V)과 나란히 설치 된 경우 반드시 30cm 이상 이격 시켜 주세요.
★고장 점검 방법 1)압축기 소음이 지나치게 큽니까? 즉시 차단기를 OFF하세요. 2)R,S,T 전원 연결 상태 정상인가? 아니면 연결선 점검 또는 연결을 점검하세요. 3)연결선을 순서에 맞게 재연결/ 전원 출력 점검을 다시하세요. 4)운전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실외기 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5)인버터 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압축기 IPM 이 정상인가? 아니면 압축기 IPM 교환하세요(참조 : 에러21) 2) 팬 IPM 이 정상인가? 아니면 팬 IPM 교환하세요. 3) 팬 Main PCB 가 정상인가? 아니면 팬 Main pcb를 교환하세요. 4) 방열판 냉각팬이 정상 동작을 하는가? (입력 12Vdc, 압축기 운전 시 항상 동작함) 실외기 Main pcb 상단의 방열팬 전원 커넥터와 방열팬 lead-wire 를 점검하세요. 5) 방열팬이 장착된 인버터 CON-BOX를 체결했을 경우, 실외기 운전 시 CON-BOX 상부의 방열팬 토출부로 바람이 나오는가? 방열팬 주변의 조립상태를 확인하세요. 6) 4,5로 방열팬이 동작하지 않으면 방열팬을 교체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 센서 저항 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 팬 Main pcb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Heat sink 센서: 10℃ = 19.91㏀ ,25℃= 10.006㏀ , 50℃= 3.608㏀, 85℃= 1.075㏀
★고장 점검 방법 1)통신선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극성이 있으므로”E-E, F-F”단자끼리 연결확인) 2)PCB 교환 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통신선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통신선 점검 . 2)통신 LED가 ON 상태인가? 아니면 전원 OFF하고 1분간 대기후 전원을 재인가 하세요. 3)Main 실외기 및 Fan 구동 제어부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실외 Fan Lock되지는 않았는가? 아니면 Lcck된 방해물(봉 또는 막대기등)을 제거하세요. 2)실외기 Fan 회전에 접촉되는 것은 없는가? 아니면 실외기 Fan 주위 점검(늘어진 줄등) 확인하세요. 3)방열판 냉각이 충분한가? 아니면 냉각 팬 정상 동작 상태를 점검하세요. 4)Fan 구동 제어부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주 입력 전원의 전압이 맞게 들어 오는가?(380V/60Hz) 아니면 주 입력전원을 확인하세요. 2) 팬 구동 제어부내 회로부 Capacitor는 이상 없는가? 아니면 팬 구동 제어부 교체하세요. 3) Fan 구동 제어부 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배관연결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액관은 액관끼리, 공통관은 공통관끼리) → 배관수정 2) Main/Sub 실외기의 압축기의 단자대 저항측정과 절연파괴 여부 확인 → 압축기 교체 및 압축기 소손 원인 파악 3) Main/Sub 실외기 PCB의 4방변 밸브 connector 연결부 확인, 4way 밸브 솔레노이드코일 연결부 확인 → connector 교체 또는 코일 교체 4) 4way valve connector에 220V 전원을 공급/차단하면서 절환이 되는지 확인 → 4way valve 단품교체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1)센서 연결 상태가 정상인가? 아니면 단자에 연결하세요. 2)센서 저항값이 정상인가? 아니면 센서 교환하세요. 3)실외기 PCB점검 또는 교환하세요. 공기온도 센서: 10℃ = 20.7㏀ ,25℃= 10㏀ , 50℃= 3.4㏀ 배관온도 센서: 10℃ = 10㏀ ,25℃= 5㏀ , 50℃= 1.8㏀ 토출온도 센서: 10℃ = 362㏀ ,25℃= 200㏀ , 50℃= 82㏀ ,100℃= 18.5㏀
★고장 점검 방법 0) 실내기, H.R. unit의 통신선과 전원220V 연결선 바뀌면, 모든 실내기, H.R. unit 의 통신부는 소손 됩니다. 1) H.R. unit의 전원이 3분 이상 OFF 된 적이 있는가? 2) 실외기 전원을 RESET 하세요.(H.R. unit 통신에러는 한번 발생하면 실외기 전원 RESET 하기 전까지는 해제가 되지 않습니다.) 3) 전체 실내기에 “ch05”가 발생되고 H.R. unit에 “204 or 208 or 212 or 216 or 220 or 224 or 228 or 232” 가 발생하는 경우 : 실외기의 전원이 off 되었는지 확인하세요. 4) 실외기 전원이 off 되었으면,실외기 전원 off 의 원인을 찾아서 조치 후 전원을 “on”하세요. (원인:COMP 누전 또는 소손,차단기 불량,전선로의 SHORT 등등) 5) 실외기 CON-BOX의 통신선 연결 단자에 체결이 잘되어 있는가? 6) 통신선의 단선 또는 SHORT를 확인 후 원인을 제거한 후 실외기 전원을 RESET 하세요. (단선 : 전원을 OFF 후 한쪽 통신을 강제 SHORT후 테스터로 SHORT확인->비정상=5옴 이상) (SHORT:전원을 OFF 후 통신선을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터로 통신선의 저항을 확인->비정상=5옴 미만) . 7) H.R. unit에만 “204 or 208 or 212 or 216 or 220 or 224 or 228 or 232” 가 발생하는 경우 : H.R. unit의 녹색 LED(통신 LED)가 주기적으로 깜빡이는지 확인하세요. 8) H.R. unit 의 녹색LED 가 주기적으로 깜빡이면 H.R. unit의 로터리스위치 주소설정이 정상적인지 확인 하세요. (실외기 한대에 H.R. unit이 여러 대가 접속할 경우 H.R. unit의 주소를 서로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9) H.R. unit 의 녹색LED 가 주기적으로 깜빡이지 않으면, 통신선 재 확인 후 H.R. unit PCB를 교환하세요. 10) 1~9 에서 원인이 없으면,실내기, H.R. unit의 통신을 모두 분리 후 실외기 전원을 RESET 하고 나서 실내기 1대씩 연결하면서 확인 하세요 (불량인 실내기 PCB, H.R. unit PCB 접속 시 통신 에러가 발생합니다) -> 해당 PCB 교환. 11) 통신선과 전원(AC220/380V)과 나란히 설치 된 경우 반드시 30cm 이상 이격 시켜 주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H.R. unit 의 녹색 LED(통신 LED)가 주기적으로 깜빡이는가? 2) H.R. unit 의 녹색 LED(통신 LED)가 주기적으로 깜빡이지 않는 경우 : H.R. unit 전원이 off 되었는지 확인하세요. 3) H.R. unit의 전원이 off 되어 있을 경우, 전원 off의 원인을 찾아 조치 후 전원을 on 하고 실외기 전원을 RESET한 후 배관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도록 30분 이상 대기한 후 Auto-Addressing 재시도 하세요. (Auto-Addressing 이후에 자동배관탐색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실외기가 난방으로 운전하는데 배관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으면 에러 “200” 이 다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H.R. unit의 전원이 on 되어 있을 경우, 전체 실내기에 “ch05”가 발생하면 실외기 CON-BOX의 통신선 연결 단자에 체결이 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5) 통신선의 단선 또는 SHORT를 확인 후 원인을 제거하세요. (단선 : 전원을 OFF 후 한쪽 통신을 강제 SHORT후 테스터로 SHORT확인->비정상=5옴 이상) (SHORT:전원을 OFF 후 통신선을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터로 통신선의 저항을 확인->비정상=5옴 미만). 6) 3~5 에서 원인이 없으면 실내기, H.R. unit의 통신을 모두 분리 후 실내기 1대씩 연결하면서 확인 하세요. (불량인 실내기 PCB, H.R. unit PCB 접속 시 통신 에러가 발생합니다)-> 해당 PCB 교환. -> 배관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도록 30분 이상 대기한 후 Auto-Addressing 재시도 하세요. 7) H.R. unit 의 녹색LED(통신 LED)가 주기적으로 깜빡이는 경우 : H.R. unit의 로터리스위치 주소설정이 정상적인지 확인하고 Dip Switch 설정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설정이 잘못되어 있으면 재설정하고 실외기, H.R. unit의 전원을 RESET 한 후 배관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도록 30분 이상 대기한 후 Auto-Addressing 재시도 하세요. (실외기 한대에 H.R. unit이 여러 대가 접속할 경우 H.R. unit의 주소를 서로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H.R. unit PCB에 있는 Dip Switch SW02M 의 1번 스위치가 아래로 내려가 있어야 자동배관탐색 으로 설정됩니다. 또한 H.R. unit PCB에 있는 Dip Switch SW02M 의 2번,3번 스위치가 모두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2실용, 하나만 올라가 있으면 3실용, 두개 모두 올라가 있으면 4실용 H.R. unit 으로 설정됩니다. Auto-Addressing 이후에 자동배관탐색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실외기가 난방으로 운전하는데 배관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으면 에러 “200” 이 다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8) 설치된 실내기의 대수와 Auto-Addressing 후 찾은 실내기의 대수가 같은가? (실외기에서 Auto-Addressing을 실행할 경우 실외기 7-segment에는 “88” 이 표시되고 Auto- Addressing이 완료되면 “Auto-Addressing 으로 찾은 실내기 대수” 를 표시합니다. 또 자동적으로 배관탐색이 실행되면 “88”이 표시되고 자동배관탐색이 완료되면 ”배관탐색으로 찾은 실내기 대수” 를 표시합니다. 즉, “88” -> “Auto-Addressing 으로 찾은 실내기 대수” -> “88” -> “배관탐색으로 찾은 실내기 대수” 순서로 표시됩니다.) 9) 설치된 실내기의 대수와 “Auto-Addressing 으로 찾은 실내기 대수”가 다른 경우 : 실외기↔실내기간 통신선을 확인하세요. 10) 실내기 CON-BOX의 통신선 연결 단자에 체결이 잘되어 있는가? 11) 통신선의 단선 또는 SHORT를 확인 후 원인을 제거 하세요. (단선 : 전원을 OFF 후 한쪽 통신을 강제 SHORT후 테스터로 SHORT확인->비정상=5옴 이상) (SHORT:전원을 OFF 후 통신선을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터로 통신선의 저항을 확인->비정상=5옴 미만) . 12) 10~11 에서 원인이 없으면,실내기의 통신을 모두 분리 후 실내기 1대씩 연결하면서 확인 하세요 (불량인 실내기 PCB를 접속 시 통신 에러가 발생합니다) -> 해당 실내기PCB 교환. -> 배관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도록 10분 이상 대기한 후 Auto-Addressing 재시도 하세요. 13) 설치된 실내기의 대수와 “Auto-Addressing 으로 찾은 실내기 대수”가 같은 경우 : 실외기↔실내기↔H.R. unit 간의 배관을 확인하세요. 14) H.R. unit의 1번 밸브부터 순서대로 실내기에 연결하였는가? 15) H.R. unit의 1번 밸브부터 순서대로 실내기를 연결하지 않았으면, H.R. unit의 배관탐색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주세요. 16) 실외 온도가 45도 이상이면 자동배관탐색이 안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외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Auto-Addressing을 재시도하여 배관탐색을 실행해 주세요. 17) 위의 어떤 경우에도 해당되지 않으면, H.R. unit의 배관탐색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주세요. (H.R. unit이 자동배관탐색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실외기에서 Auto-Addressing 을 실행할 경우 Auto-Addressing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배관탐색이 실행되서 실외기가 운전합니다. 하지만 H.R. unit이 수동배관탐색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실외기에서 Auto-Addressing을 실행할 경우 Auto-Addressing이 완료되면 운전대기 상태로 유지합니다.)
★고장 점검 방법 1) 통신선이 올바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가 전체 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CNU, 중앙제어기 등의 IP이 올바른지 확인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3) CNU를 교체해 보세요.
★고장 점검 방법 1) 중앙제어기 시스템 설정의 에어컨 주소와 실제 시스템의 주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하세요. 2) 중앙제어기 서비스(엔진)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