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 |
기간 |
차문화의 특징 |
삼국 |
위 조조, 촉 유비, 오 손권 |
220~280 |
장읍 ‘광아’에서 최초의 제다법과 음다법 제시 |
진(晉) |
서진 동진 |
265~316 316~419 |
청담가의 등장 |
남조 |
송, 제, 양, 진 |
420~589 |
북쪽으로 차문화 전파 |
북조 |
북위, 북제, 북주 |
3. 장읍 ‘광아’의 차문화사적 의의
- 제다법과 음다법에 관한 최초의 기록
- 제다법상 차의 종류는 증청병차로 쇤잎은 쌀로 고를 내어 병차를 만들었음
- 음다법은 우선 빨갛게 구운 후에 가루내어 끓는 물을 부어 마시는 오대의 옥차법(沃茶法)과 송대의 점차법(點茶法)과 유사
4. 차의 다양한 별명
수액(水厄), 불천(不遷), 낙노(酪奴), 누치(漏巵), 유동(遊冬), 선(僊), 타(詫), 감로(甘露)
제5조 차문화의 보급과 확대 - 수당
1. 수나라 통일과 대운하 건설
2. 당대 차문화성립배경
3. 당대 차관련제도, 차마호시, 혼례
[ 학습평가 ]
1. 수나라 대운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① 수문제 수양제에 의해 항주에서 서안, 북경까지 1800km의 수로를 연결하였다.
② 북쪽의 발전된 농사기술을 이용하여 값싼 쌀이 남쪽으로 판매되었다.
③ 북쪽 티벳까지 수로를 통한 보급로가 완성되자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④ 무리한 공사였지만 경제발전으로 이어져 농민들의 호응이 컸다.
2. 당대 차문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3
① 실용적인 목적으로 약용과 식용이 주를 이루었다.
② 쌀 생산량의 증가로 차음료 대신에 술을 권장하였다.
③ 불교의 탄압으로 승려들이 대거 환속하므로서 차문화의 보편화에 기여하였다.
④ 공차의 생산으로 백성들의 원성이 커지자 공차제도를 폐지하였다.
3. 당대의 제도가 아닌 것은? 2
① 왕애의 이차수관장법 ② 주원장의 단차폐지령
③ 각차제도 ④ 공차제도
(해설) 주원장은 명나라의 태조
4. 당대의 선종 수련시 차를 허락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는 책은 무엇인가? 3
① 육우 ‘다경’ ② 안진경 ‘운해경원’
③ 봉연 ‘봉씨문견기’ ④ 육우 ‘육선가’
5. 당대 황실에 바쳤던 공차의 이름은?
① 고저 자순차 ② 안길백차
③ 시신과 ④ 공신과
[ 학습정리 ]
1. 수나라의 통일 : 수문제, 수양제
수양제의 대운하 건설
2. 당대의 차문화 형성 배경
1) 불교 선종의 흥성
- 845년 무종이 불교의 타락을 이유
로 불교탄압, 승려 20500명을 환속
시킴.
2) 과거제도
- 수험생과 한림관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다과 제공
3) 공차제도
4) 인구증가와 금주령
5) 대운하를 통한 남북 무역의 증가
- 수 양제(605~618) 황하, 장강, 항주
에 이르는 1800km의 대운하 완성되어 당대에 많이 이용함.
- 남부의 농산물과 음다문화가 북부로 전해짐
6) 육우 ‘다경’ 저술
3. 당대 차관련 제도
1) 공차(貢茶)제도
고저지방에 공차원을 개설
(왕실 공납차 : 고저 자순차)
2) 각차제도(搉茶法)
- 왕애의 ‘移茶樹官場法’은 다농들의
극심한 반대를 야기시켰고, 결국 甘露之変이 일어나게 됨.
- 당 중기 이후부터 시행하여 송대에 搉茶法으로 정착
4. 차마무역
당대의 차마호시(茶馬互市)
서남지역(사천, 운남)과 중국 변방국 간의 차와 말을 상호 교환하는 무역
제6조 육우와 다경
[ 학습평가 ]
1. 다경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① 차의 음다법과 제다법이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② 5편 10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③ 차의 종류를 병차, 단차, 산차로 구분하고 있다.
④ 주로 병차에 관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2. 육우의 ‘다경’의 병차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① 찻잎을 따서 찌지 않고 덩어리로 만든 차
② 쇤잎을 따서 찐 후 쌀로 고를 만들어 덩어리를 만든 차
③ 찻잎을 쪄서 고를 짜낸 후 곱게 간 후에 덩어리로 만든 차
④ 찻잎을 쪄서 틀어 박아내어 떡처럼 만든 차
3. 당대 자차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① 덩어리차인 단차를 가루내어 찻잔에 넣고 휘저어 마시는 방법이다.
② 중국 차문화사상에서 가장 이상적인 음다법이었다.
③ 오지자의 자에서 자차법이란 용어가 생겼다.
④ 당대 이후에도 계속 솥에 끓여 마시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4. 육우가 차의 맛을 한마디로 표현하고 있는 말은?
① 구비육화(九沸育華)? ② 철고인감(啜苦咽甘)
③ 선감후고(先甘後苦) ④ 등파고랑(騰波鼓浪)
5. 다음 보기에서 덩어리 차를 가루내는 과정에 필요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1
<보기> ㄱ 碾(연) ㄴ 硏(연) ㄷ 篩(사) ㄹ 炙(적, 자) ㅁ 沸(비)
① ㄱ ㄷ ㄹ ② ㄴ ㄷ ㄹ
③ ㄱ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ㅁ
[ 학습정리 ]
1. 육우의 생애
- 절(용개사)에서 지적선사와 생활
- 유랑극단에서 경릉태수 이제물과 만남
- 승려, 유학자들과이 교유(이제물, 추부자, 최국보, 교연, 장지화, 이계경, 안진경)
- 안진경의 ‘운해경원’ 편찬에 참여하여 ‘다경’ 칠지사를 보충
- 절강 호주에서 72세로 별세
2. 다경 개관
- 3편 10장으로 이루어짐
- 상권 : 一之源 , 二之具, 三之造
- 중권 : 四之器
- 하권 : 五之煮, 六之飮, 七之事, 八之出, 九之略, 十之圖
3. 다경의 병차 제다법
- 칠경목 : 採(찻잎 따기), 蒸(찌기), 搗(찧기), 拍(찍어내기), 焙(말리기), 穿(꿰기), 封(저장)
4. 다경의 음다법 : 자차법
1) 병차를 가루내는 과정
자차(炙茶, 차굽기)
연(碾, 차갈기)
사(篩, 체치기)
2) 차를 끓이는 과정
연료 - 숯이 가장 좋고, 잡냄새나 진이 있는 나무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물 - 산수가 최상이요, 강수는 다음, 정수(우물물)가 가장 하급이다.
삼비탕(물끓음에 대한 변화)
단계 |
탕수변화 |
행위 |
一沸 |
魚目 |
수막을 걷어낸다 소금을 약간 넣어 간을 본다 |
二沸 |
湧泉連珠 |
끓는 물을 표주박으로 한 번 덜어낸다 차 가루를 솥에 넣는다 |
三沸 |
騰波鼓浪 |
2비 때 떠 놓은 물을 솥에 붓는다 차탕의 정화인 말발이 떠오르길 기다린다. 준영을 숙우에 담는다 거칠게 끓는 물을 가라앉혀 말발(華)이 생길 수 있도록 준비한다. |
3) 차를 마시는 과정
말발(沫餑) : 차를 끓이면 위에 생기는 거품, 차가루임
준영(寯永) : 제일 처음 떠낸 말발이 가장 많은 좋은 차
4) 뒷정리
제7주 당대의 다서 및 차시
[ 학습평가 ]
1. 다음 중 당대에 저술된 다서는 무엇인가? 3
① 장원 『다록』 ② 구양수『대명수기』
③ 온정균 『채다록』 ④ 심안노인 『다구도찬』
2. 육우가 물을 20여 등급으로 나누었던 것은 어떤 책에 나오는 내용인가? 1
① 장우신 『전다수기』 ② 구양수『대명수기』
③ 황유 『품다요록』 ④ 육우 『다경』
3. 다화 중 宮樂圖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3
① 작자는 궁에서 거주하던 궁녀였다.
② 모두 10명의 당대 궁인들이 등장한다.
③ 당대 궁녀들의 복식과 헤어스타일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④ 탁자나 의자의 양식으로 보아 명대의 것임을 알 수 있다.
4. 노동의 칠완차가 에 대하여 옳은 것은? 4
① 노동이 맹간의에게 차와 함께 보낸 편지에 있는 시이다.
② 노동은 여럿이 함께 차회를 열었을 때 즉흥적으로 지었던 차시앋.
③ 일곱잔의 술을 마시고, 술에 취해 읊은 차시이다.
④ 자연에 묻혀 은일자적한 가운데 지은 도교적 색채가 묻어나는 차시이다.
5. 중국 제례에서 찻잔받침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맞는 것은? 1
① 주칠을 한 칠기는 구신이 싫어하는 색이므로 쓰지 않는다.
② 찻잔받침이 있으면 번거롭기 때문이다.
③ 손잡이가 있는 찻잔의 경우가 흔했기 때문이다.
④ 차가 뜨겁지 않아 맨손으로 찻잔을 잡아도 무방했기 때문이다.
[ 학습정리 ]
1. 당대의 다서
1) 배문(裵汶) 다술(茶述 )
2) 왕부(王敷) 다주론(茶酒論)
3) 온정균(溫)庭筠) 채다록(採茶錄)
4) 장우신(張又新) 전다수기(煎茶水記)
5) 모문석(毛文錫) 다보(茶譜)
2. 차시
1) 노동(盧仝, 775~835) 주필사맹간의기신차(走筆謝孟諫議寄新茶)
2) 육우 육선가(六羨歌)
3) 유우석(劉禹錫, 772~842) 서산난약시다가(西山蘭若詩茶歌)
4) 이백 답족질증옥천선인장차(答族侄贈玉泉仙人掌茶) 병서
5) 원진(元稹) 일자지칠자시·차(一字至七字詩·茶)
3. 다화
1) 당(618~907) 궁악도(宮樂圖)
2) 주방(周昉) 조금철명도(調琴啜茗圖)
4. 혼례와 제례에서 차의 사용
1) 혼례에서의 차
2) 제례에서의 차
9주 당송 과도기의 차문화 : 오대
1. 오대 때 문인들의 차모임으로 차품평과 투차의 모체가 된 것은? 1
① 탕사(湯社) ② 결사(結社) ③ 시차(試茶) ④ 명전(茗戰)
2. 오대의 음다법인 옥차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① 솥에다 차가루를 넣고 휘저어 마시는 방법이다.
② 차가루를 잔에다 넣고 물줄기의 세기로 풀어 마시는 방법이다.
③ 잔에다 차가루를 넣고 죽협으로 결불하여 마시는 방법이다.
④ 차에 소금을 넣어 마시는 방법이다.
3. 오대의 차문화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3
① 송대 투차문화의 전신은 오대의 명전이다.
② 오대의 음다법은 당대의 자차법을 계승한 암차법(痷茶法)이다.
③ 대표적인 다서로는 소이의 십육탕품을 들 수 있다.
④ 당나라의 뒤를 이어 600년간 평화로운 시대로 차문화가 한층 성숙되었다.
4. 오대의 다서로 볼 수 있는 것은? 1
① 모문석 다보 ② 심안노인 다구도찬 ③ 장원 다록 ④ 왕부 다주론
5. 연고차를 제조하였던 최초의 왕조는? 3
① 후주 ② 송 ③ 남당 ④ 당
(1) 당송 과도기의 오대 십국
- 오대 십국의 단명왕조가 거듭되는 혼란기로서 절도사 중심의 무인집권시기
- 북쪽은 중원을 중심으로 더 혼란된 오대, 남쪽은 오와 남당을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된 생활
(2) 오대 차문화의 형성 배경
1) 남당(937~975)의 지역적 위치
남당은 민을 정복하였는데, 민은 지금의 복건성으로 전통적인 차의 집산지이며, 송대 단차의 원형인 연고차를 제조하던 북원지방이 있던 곳
2) 남당의 사회적 안정
중원은 다섯나라의 전쟁으로 사회가 불안하였으나 남당은 오히려 사회적으로 안정되어 차문화가 꽃피울 수 있었다.
3) 남당에서 단차의 모태인 연고자 제조
4) 차모임 '탕사'의 조직
화응이 결성한 차 동호 단체로 관리나 문인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차의 품질을 시합하는 모임으로서 송대 투차문화의 모태가 됨
(3) 오대의 다서
소이의 십육탕품, 모문석의 다보
(4) 오대의 음다법(옥차법)
좋은 연료인 숯으로 너무 지나치거나 설 끓지 않은 젖ㄱ당한 득일탕(得一湯)의 물에 ㄴ리지도 빠르지도 않게 물줄기의 세기를 조절하여 고를 만든 다음 물을 잔의 6부까지 부어 차를 완성
(5) 자차법과 점차법의 사이에 과도기적인 음다법인 옥차법의 탄생
솥에서 잔으로 차를 끓이는 도구의 변화
차시나 차선이 없이 물줄기의 세기로 차를 풀어 마시는 방식
10주 차문화의 번영기 : 송
1. 당송 변혁기에서 차문화와 연관이 있는 것은? 4
① 제2차 온난기가 시작되어 따뜻한 북방에서도 차재배가 활발하였다.
② 기후의 변화로 북쪽으로의 인구이동이 차문화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③ 대운하의 활발한 이용으로 동서간의 문화교류가 촉진되었다.
④ 공차제도가 강화되어 차의 품질과 종류가 다양화하였다.
2. 송대 차문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3
① 투차는 황실에서만 이루어진 게임의 일종이다.
② 화려한 공차단차에 비하여 일반인들의 차품질은 더욱 조잡해졌다.
③ 단차 점차법에 필요한 차도구가 도자산업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④ 점차시 필요한 차선이 등장하고 나서 차시의 사용이 더 일반화되었다.
3. 송대 차문화의 특징인 개문칠건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① 일반서민에게까지 차문화의 보급으로 차가 '개문칠건사'의 하나가 되었다.
② 개문칠건사는 의식주에 필요한 생활필수품을 말한다.
③ 개문칠건사는 중국 한나라때부터 유행한 용어이다.
④ 생활필수품의 일곱가지는 세계 어느 나라나 공통이다.
4. 단차의 제조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송대의 다서는? 1
① 조여려의 북원별곡 ② 육우의 다경
③ 심안노인 다구도찬 ④ 구양수 부차산수기
5. 사대부는 천하가 걱정하기 전에 먼저 걱정하고 천하가 즐거워한 이후에 즐거워해야 한다고 한 송대 사대부는 누구인가? 4
① 소식 ② 구양수 ③ 황정견 ④ 범중엄
(1) 송대 차문화의 특징
- 송대 일반 서민들의 생활필수품인 개문칠건사 중에 차가 포함
- 공차제도가 확립되어 고급한 품질의 다양한 차 생산
- 일반서민들이 상음한 차는 산차
- 투차 문화의 확대
(2) 송대의 대표적 다서
- 채양 '다록'
- 구양수 '대명수기' '부차산수기' - 물에 대한 품수를 논함
- 황유 '품다요록' - 제다와 품평에 대한 도서
- 웅번 '선화 북원공다록'
- 조여려 '북원별록'
- 휘종 '대관다론'
- 심안노인 '다구도찬'
11주 단차의 제다와 음다법
1. 당대의 병차와 송대의 단차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
① 병차는 고(膏)를 짜내고 가는(硏) 과정이 있다.
② 병차는 차색귀백(茶色貴白)이라 하여 흰색을 귀히 여겼다.
③ 단차는 채중도박배천봉)의 칠경목을 거쳐 만든다.
④ 용봉단차의 표면에는 용봉무늬와 같이 섬세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2. 송대의 단차 제다과정 중 옳은 내용은? 2
① 차고를 짜낸 후에 틀에 넣어 박아낸다.
② 차를 시루에 쪄서 만든 증청녹차이다.
③ 단차 표면에는 무늬가 없이 원형, 방형, 화형의 틀에 박아 내었다.
④ 단차는 채중도박배천봉의 칠경목을 거쳐 만든다.
3. 송대 단차제조에서 고를 짜내는 기구는? 1
① 자(榨) ② 규(規) ③ 배(焙) ④ 증(甑)
4. 휘종 <대관다론>에 나오는 음다법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① 점 항목에서 차를 내는 자세한 과정이 서술되어 있으므로 송대의 음다법을 점차법이라고 한다.
② 가루 낸 말차를 솥에서 차선으로 격불하여 유화를 즐기는 다법이다.
③ 팔은 가볍고 차선은 무겁게 잡고(手經筅重) 격불하는 방법이 이상적이다.
④ 올바른 점차법으로 정면정을 소개하고 있다.
5. 휘종의 <대관다론>의 단차 점차법에서 손목과 차선에 모두 힘이 들어가 유화가 잘 피어나지 않는 다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① 정면점(靜面點) ② 일발점(一發點) ③ 말발점(沫餑點) ④ 칠탕법(七湯法)
- 단차의 정의 : 찻잎을 찌고 씻은 후 압착기에 넣어 찻잎의 고를 짜내고, 연에 곱게 간 후 틀에 넣어 단단한 단형태로 만든 차
- 단차와 병차의 차이점
차의 원료, 고의 유무, 연(硏) 과정, 조직의 치밀도, 완성된 차의 문양
- 단차 제다방법(조여려 북원별록 참조)
차판벌리기(개배 開)焙
차따기(채다 採)茶
차잎가리기(간다 揀茶)
차잎찌기(증다 蒸茶)
차짜기(자다 榨茶)
차갈기(연다 硏茶)
차만들기(조다 造茶)
차말리기(과황 過黃)
- 점차 음다법
점차법의 정의
대관다론의 점차 음다법
산차 점차법
12주 송대 차관련제도 및 주변문화의 발달
1. 송대의 공차제도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2
① 공차는 송대에 처음 시작되었다.
② 송대 대표적인 어차원은 건안 북원지방이다.
③ 건안지방으로 어차원을 옮긴 이는 휘종황제이다.
④ 공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봉연의 봉씨문견기이다.
2. 차전매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① 차를 전매청과 같은 차마사(茶馬司)는 수도인 개봉에 두었다.
② 중국에서 전매제도는 유일하게 차전매제도 뿐이다.
③ 송대 후기 차전매제도는 차상과 다농이 직거래를 할 수 없었다.
④ 각차법은 차상인이 산장을 통해서만 차를 구입할 수 있었다.
3. 송대 투차에서 승패의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① 차의 양 ② 차 거품의 색깔 ③ 차거품의 지속성 ④ 차의 맛
4. 송대 수도인 개봉의 흥청거리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은? 4
① 궁악도 ② 휘종의 문회도 ③ 조맹부의 투다도 ④ 장택단의 청명상하도
5. 다음은 다관을 묘사하고 있는 글이다. 출처는 어느 것인가? 2
"사계절 싱싱한 꽃을 꽂고 유명한 사람의 그림을 걸어 놓고, 점포의 벽면을 장식했다."
① 봉연 "봉씨문견기" ② 오자목 "몽양록"
③ 장택단 "청명상하도" ④ 맹원로 "동경만화록"
차관련제도 : 공차제도, 차 전매제도, 차마무역
송대의 투차문화
- 투차의 정의
- 투차의 기원설 : 오대 때 '탕사(湯社)', 복건성 건안지방 다농들의 시차(試茶)
- 투차의 승부 결정 요인 : 차의 품질, 차 거품의 색깔, 점차기술 등
- 차문화사에서 투차의 의의
음다의 확산으로 개문칠건사(땔감,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 차)에 차 포함
차 종류의 다양화와 고급화와 차 끓이기, 차품평 기술의 고급화
다기 제조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에 기여하여 도자수출의 확대(흑유잔)
다관의 성립과 성행
- 당대에 다관의 성립
- 송대 이후에 다관의 성행
- 다관의 사회적 기능 : 편안한 휴식공간, 오락성, 만남의 장소, 차소비의 확대
- 다관의 다른 명칭 : 차사, 다방, 다각, 다루, 다료, 다붕, 다사, 다옥, 다원, 다저, 다정, 다포 등
13주 몽골제국의 출현과 명대 : 다양한 차종류의 탄생
1. 원나라의 차문화로서 옳은 것은? 4
① 복건성 무이산 구곡계곡 중 8곡에 황실 전용 어차원을 지정하였다.
② 무이산의 공차량이 증가하면서 건주, 북원지방의 공차원도 활기를 띠었다.
③ 송대에 이어 위그르, 티벳 등과 차마무역을 지속하였다.
④ 원대의 세수입 중 70~80%가 소금과 차에 부과되었다.
2. 징기스칸이 유럽 원정시 차를 휴대하고 수행하였던 사람은? 3
① 야율아보기 ② 쿠빌라이 ③ 야율초재 ④ 왕군옥
3. 원대의 왕정의 '농서'에 나오는 차가 아닌 것은? 1
① 산차 ② 명차 ③ 말차 ④ 납차
4. 명대 차문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① 명태조 주원장은 단차폐지령을 내려 단차 제조를 법으록 금지했다.
② 주원장의 아들인 주권이 쓴 '다보'는 산차에 관한 내용이다.
③ 명대에 6대 다류가 모두 완성되었다.
④ 장원 '다록'에 나타난 호는 차를 담는 항아리이다.
5. 명대의 초청 제다법과 포차 음다법이 서술되어 있는 다서는? 4
① 전예형 '자천소품' ② 주권 '다보' ③ 육수성 '다료기' ④ 장원 '다록'
원제국의 성립 - 징기스칸의 세계대제국 건설
원의 차문화
- 무이산 어차원의 지정
- 차마무역 폐지
- 원대의 차 종류와 음다법 : 명차(茗茶), 말차(末茶), 납차(臘茶)
- 산차의 확대
- 원대 산차의 의의 : 초청제다법에 의한 산차에서부터 다양한 차의 탄생
명(1358~1644)대 차문화의 특징
태조의 단차폐지령(1391)으로 산차의 보급 확대, 초청살청에 의한 다양한 차 탄생, 산차포차법에 의한 다관과 작은 찻잔 등장, 양적으로 많은 다서의 출현
14주 청제국의 쇠락과 근대 : 중국의 탄생
1. 청대 차문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3
① 새로 개발된 차 종류로서 홍차가 생산되었다.
② 청차의 생산기술은 대만에서 전수받았다.
③ 차의 품종 및 기술개발로 6대 다류가 완성되었다.
④ 녹차는 청대 복건성에서 탄생되었다.
2. 청대 차 재배기술의 발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2
① 삽목기술 적용 ② 농약사용으로 생산량 증대
③ 경신(更新)과 전지(剪枝) ④ 기계화와 과학화
3. 청대 다구 중 개완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2
① 차를 우리는 다관으로만 쓰였다.
② 향을 흡수하지 않는 개완배는 차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
③ 화차의 경우 유리 개완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④ 개완배는 잎이 큰 청차보다 어린 녹차를 우리기에 적합하다.
4. 청대 영국인이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밀무역한 것은 무엇때문인가? 1
① 차대금으로 지불한 은 회수 ② 중국인들의 아편중독 유도
③ 중국 경제 교란 ④ 인도의 아편재배 활성화
5. 청대 공차제도에 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4
① 공차 생산지는 축소되었고, 생산량도 줄었다.
② 청대의 공차는 병차, 단차, 산차 등 다야안 종류가 진공되었다.
③ 공차 중에는 흑차는 포함되지 않았다.
④ 1908년 운반중인 공차를 곤명에서 약탈당하자 공차제도는 폐지되었다.
청의 시대적 배경
- 초기 강희, 옹정, 건륭의 3대(1661~1795) 약 130년간 전성기
- 17세기 이후 서양 열강세력의 각축장이 되고 중국의 권위가 실추
청대 차문화의 특징
새로운 청차의 완성, 홍차의 세계에 전파, 차의 수출, 차 재배기술의 발전, 개완배의 보편화, 차마무역의 쇠퇴, 역사명차와 공차제도 폐지
아편전쟁과 차
- 영국인이 차 대금으로 지불한 은을 회수하기 위해 인도산 아편을 밀무역
- 중국의 은값 폭등과 아편 중독자의 급증으로 청조는 임칙서로 하여금 아편 폐기
- 영국은 전쟁을 개시하고 불평등한 남경조약체결로 청조의 권위 실추
청대 후기 차생산의 번영과 쇠퇴
- 청 초기 사천, 복건, 광동성으로의 인구 대이동으로 농업생산력과 차생산 증가
- 영국의 인도에서의 차 재배 성공으로 차 생산 쇠퇴
- 중국에서 차 수출의 감소는 중국 청나라 재정의 압박 요인으로 적용
- 근대 차생산
1단계 : 생산 흥성기 2단계 : 차생산쇠락기 3단계 : 부흥기
|
첫댓글 마녀 박상명님 감사 감사 .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감사합니다~ ^^ : 同樂同樂!!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