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도 → 굽 가가미 → 거울 가가미이다 → 양판 (兩板) 가게이시기미기사 → 가경식믹서 가구라 → 농노 가구야 → 가구점,가구공 가기 → 열쇠 가꼬이 → 울 가꾸다시 → 도내기칼 가꾸데쓰보오 → 각철봉 가꾸맹 → 모난면 가꾸목 → 각목(角木) 가꾸바시라 → 사각기둥 가꾸부찌 → 문선(門線)사진틀 가꾸빠이뿌 → 각파이프 가꾸세기 → 각석(角石) 가꾸아시 → 모난다리 가꾸이다 → 각널 가꾸자이 → 각재(角材) 가꾸항 → 교반(攪拌) 가끼나라시 → 긁어고르기 가끼다시 → 긁어내기 가끼오도시시아게 → 줄긋기마감 가나모노 → 철물(鐵物) 가나반 → 쇠숫물(목수연장) 가네가다 → 금형( 形) 가네가타 → 금형,쇠거푸집 가네고데 → 쇠흙손 가네기리 → 쇠톱 가네샤꾸 → 곡척(曲尺)
가다 → 틀,본,꼴 가다기리 → 외쪽깍기 가다나가레야네 → 외쪽지붕 가다도리 → 본뜨기 가다로꾸 → 견본책 가다모리 → 외쪽돋기 가다아시바 → 외줄비계 가다와꾸 → 거푸집 가다와꾸이다 → 거푸집널 가다이다 → 본판(本板) 가도 → 모서리 가도가네 → 모서리쇠,귓쇠, *기둥, 벽모서리에 세워대어 회반죽 벽면(미장벽면)의 모서리가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철물, 가라 → 가짜 가라구사 → 당초무늬 가라네리 → 건비빔,건반죽,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재료를 물을 넣기전에 건조상태로 비비는 것, 가라도 → 양판문,양널문, *선대, 윗막이, 밑막이, 중간막이 등으로 울거미를 짜고 양판을 끼워넣은 문, 가라리 → 루우버 가라스 → 유리 가라스구찌 <-> 오구(烏口) 가라쓰미 → 메쌓기(토),건성쌓기(건축), *돌쌓기 등에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쓰지 않고 쌓는 것, 가라즈미 → 메쌓기 가라쿠[から(空)+cushion] → 민쿠션치기 가란 수도꼭지 가랑 → 꼭지(수도) 가리가꼬이 → 가설울타리 가리가코이 → 임시울타리 *공사현장에 임시로 설치하는 울타리 가리고야 → 헛간 *공사기간중 공사현장에서 일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건물 가리구미다데 → 가조립 가리구미타테 → 임시조립 *본조립에 앞서 철골 또는 목조의 구조물 등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임시로 조립하는 것 가리보루도 → 가보울트 가리세이산 → 가청산 가리시메 → 가조이기,임시죄기, *철골 부재를 조립할 때 임시로 죄는 것 가리시메키리 → 임시물막이 *수중에서 구조물을 축조할 때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임시 공작물 가리요오세쓰 → 가용접 가리지구도오 → 가축도 가리지끼 → 임시깔기 가리지쿠토 → 축도(築島), 임시섬, *수중 기초 공사에서 수중에 널말뚝을 둘러 박고 그 속에 흙을 채워서 공사용 작업장을 만들거나 기타 방법 등으로 수중에 축도하여 공사용 발판으로 하는 가설구조물
가마 → 솔 가마찌 → 울거미 가마치 → 울거미, 문틀, *문짝 등과 같이 짜서 만든 물건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뼈대 가미이다 → 지형 가바나 → 조속기 가베 → 벽 가베지리 → 벽쌤 가보시끼(がぼしき) → 더치페이, 가부리아쓰사 → 거죽두께,덮임두께*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철근표면에서 이것을 덮는콘크리트 표면까지의최단치수 가부리아쯔사 → 피복두께 가사 → 전등갓 가사기 → 두겁대 가사네쓰기테 → 겹이음(토목) ,겹침, *두 부재의 끝을 서로 겹치어 잇는 이음 가사네쯔기데 → 겹이음 가사아게 → 돋우기 가사이시 → 갓돌 가사키 → 두겁대 *널벽위에 가로대어 윗벽과의 아무림이 되는 가로재 가산바이 <-> 화산회
가세쓰가끼 <-> 가설울타리 가세인 <-> 카세인 가세쯔고오지 <-> 가설공사 가세쯔자이료 <-> 가설재료 가스가이 → 꺽쇠 *목조건축에서 2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쳐박아 대는 양끝을 꼬부려 만든 보강 철물 가스겟도 → 가스킷 가시메 → 죄기,눈죽이기 가와네리 → 마른비빔, 건비빔 가와라보오 → 기와가락 가와스나 → 강모래 *하천에서 채취한 모래 가와쟈리 → 강자갈 *하천에서 채취한 자갈 가이깡 → 애관 가이꼬오부 → 개구부 가이단 → 층계, 계단 가이당 → 계단 가이시 → 애자
가쥬우 → 하중 가쥬우시갱 → 하중시험 가지야 → 대장간 가코이 [?圍い] <건설> → 임시/가설 울타리 가쿠목 → 각목(角木) 가쿠부치 [額綠] <미술> → 틀, 액자, <건설> → 창문선,문틀선, 가쿠세키 [角石] <건설> → 네모돌, 각석,모돌 가쿠자이 [角材] <건설> <미술> → 각재,모나무 가쿠코오 <-> 확공(擴孔) 가쿠테쓰보오 <-> 각철봉
가타 [型, かた] <건설> <미술> <생활외> → 틀, 형, 거푸집, <패션> → 형, 모양, 본 가타기리 [片切り] <건설> → 외쪽깎기, <미술> → 납작정 가타도리 [型取り, かたどり] <생활외> <건설> → 본뜨기 가타모리 [片盛り] <건설> → 외쪽돋기 *횡단면에서 한쪽부분만을 쌓는 것 가타아시바 [片足場, かたあしば] <건설> → 외줄비계 *비계기둥이 한줄이고 비계띠장을 그 한쪽에만 단 비계 가타와쿠 → 거푸집,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가설공작물의 총칭 가타와쿠이타 [型?板, かたわくいた] <건설> → 거푸집 널 가타이타 [型板, かたいた] <건설> → 본판(本板) 가히히시 → 괴임돌
간나 → 대패 간나케즈리키 [鉅削り機] <건설> → (대패) 판깎개 간데라 [カンデラ, candela] <건설> → 촉(광),칸델라,호롱불 간소오슈우슈쿠 → 건조수축 간조 [勘定, かんじょう] <미술> <행정> <생활외> → 셈,계산,<건설> → 셈, (노임) 계산, 품삯(셈) 간죠 → 지불,셈,계산 간취 [間取] <건설> → 간살잡기 갓쇼 [合掌] <건설> → ㅅ(시옷)자보 *지붕트러스부재중人자형으로마주치는부재 갓쇼오 → ㅅ(시옷)자보 갸쿠[ぎゃく(逆)] → 반대치기
갭 <-> 간격 건구재 [建具材] <건설> → 문짝 재료
게꼬미 → 챌판 게코미 → 챌면, 챌판 *계단의 수직부분인 앞면 게다 → 보 게다바꼬 → 신장 게비기 <-> 금쇠,금매김 게비키 [罫引き, けびき] <건설> → 금쇠, 금긋개 *일정한 폭을 마름질 하는데 쓰이는 공구 게쇼오메지 <-> 치장줄눈 게쓰고오자이 → 결합재 게아게 [蹴上げ] <건설> → 단 높이,계단의단높이 *계단의 한 디딤단의 높이 게야 → 부섭집 게야기 → 느티나무 게이료오공구리도 → 경량콘크리트 게이료오렝가 → 경량벽돌 게이샤 [傾斜, けいしゃ] <건설> → 물매, 경사 *경사의 정도(割, 分, %, 분수 등으로 표시) 게지 → 게이지 게코미 [蹴?み] <건설> → 챌면, 챌판 게타 [桁] <건설> → 보<토목>, 도리<건축>
겐나와 [間?, けんなわ] <건설> → 승척(繩尺), 줄자, <미술> → 잣줄 겐나와 칸자 → 겐노 [玄能, げんのう] <건설> <미술> → 쇠메 *쇠로된 큰 망치 겐노 다다키 [玄能敲き] <건설> → 메다듬 겐노다타키 → 메다듬(기) *거친 돌면을 메로 쳐서 모양좋게 다듬는 일 겐노오 → 쇠메 겐노오다다끼 → 메다듬 겐노오바라이 → 메다듬 겐또 → 짐작 겐바 [現場, けんば] <건설> <미술> → 공사현장(現場) 겐바우치 콘쿠리토구이 [現場打ち コンクリ?ト杭] <건설> → 현장 콘크리트 말뚝<토목>,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건축> 겐바하이고 [現場配合] <건설> → 현장 배합 *시방배합에 맞도록 현장에서 재료의 상태와 계량방법에 따라 정한 섞기 겐세이 → 견제 겐슨이타 [原寸板] <건설> → 원척본판(原尺本板) *복잡한리벳구멍위치를잘맞추기위해실물을 따로만들어그것에꼭맞게구멍을뚫게하는본 겐슨즈 [原寸?] <건설> → 원척도(原尺圖),현치도 *설계에 있어서 중요부분을실제 크기대로 그린그림 겐승 <-> 원척도 겐승이다 <-> 본뜨기판 겐찌이시 <-> 견치돌 겐찌이시즈미 <-> 견치돌쌓기 겐치이시 [間知石, けんちいし] <건설> → 축댓돌,송곳닛돌 *채석장에서 네모뿔 형으로 만든 석축에 쓰이는 돌. 축댓돌 겐칸 [玄關, げんかん] <건설> → 현관, 문간
겜마 → 연마 겟소구센 [結束線, けっそくせん] <건설> → 결속선 겟소꾸셍 → 결속선 겟소쿠센 → 묶음줄, 결속선 *철근을 묶어 조립할때 쓰는 철선 겡깡 → 현관 계벽 [界壁] <건설> → 경계 벽
고까베 <-> 실벽 고고께스 → 응결 고구찌 → 마구리,작은일 고구찌즈미 <-> 마구리쌓기 고구치 [小口, こぐち] <건설> <미술> → 마구리,잔머리 *벽돌의 각 면중 가장 작은 면 고구치쓰미 [小口積み] <건설> → 마구리 쌓기 *벽표면에서 볼 때 벽돌 마구리가 보이게 쌓는 벽돌쌓기 고다다끼 → 잔다듬 고다다키 [小敲き] <건설> → 잔다듬 *날망치로 일정 방향으로 찍어 다듬는 돌표면 마무리 고단스 → 작은장 고데 → 흙손,납땜인두 고데이다 → 흙받기 고란 [勾欄] <건설>, <미술> → 난간(欄干) *계단이나 교량의 단부(端部)등에 설치된 공작물 고로 → 굴대 고로비도에 → 굴름받이 고마까시 → 속임수 고마이 → 외 고마이까베 → 외벽 고미센 → 산지 고바 → 좁은면,옆면 고바다데 → 옆세우기 고바리 [小梁] <건설> → 작은보 *목조에서바닥판, 장선등을직접받게되는보.콘크리트구조에서큰보(girder)사이에걸리는보 고바이 [勾配, こうばい] <행정> <건설> <미술> → 물매, 기울기, 오르막, 비탈 *수직을 기준한 경사의 정도 고방가라 → 바둑무늬 고부다시 [瘤出] <건설> → 혹두기 *거친돌면의돌출된부분을쇠메로대강다듬은돌 고시 → 징두리,허리 고시야네 → 소슬지붕 고쓰자이 → 골재 고야 → 헛간 고야구미 [小屋組, こやぎみ] <건설> → 지붕틀 *지붕을 받는 뼈대를 구성하는 틀 고야바리 [小屋梁, こやばり] <건설> → 지붕보 *왕대공 지붕틀의 하부에 있는 수평재 고야스께 <-> 날메 고오까 <-> 경화 고오데쓰강 <-> 강철판 고오데쓰구이 <-> 강철말뚝 고오덴죠 <-> 우물반자 고오라이 <-> 갱내 고오란 <-> 난간 고오몽 <-> 갱문(坑門) 고오바이 <-> 물매.경사 고오세끼 <-> 경석 고오세이게다 <-> 합성보 고오시 <-> 격자(格子) 고오자이가고오 <-> 강재가공 고오죠오리벳도 <-> 공장리벳 고오죠오요오세쓰 <-> 공장용접 고오테이 <-> 공정 고오테이효오 <-> 공정표 고와리 <-> 오림목 고테 [kote, ?, こて] <전기> → 인두(團), 인두질, 흙손,<건설>→흙손,<미술>→ 인두(질),<패션>→지짐 머리,(머리)인두(질)
곤고오부쓰 <-> 혼합물 곤와자이 <-> 혼합제 곤와자이료오 <-> 혼합재료 공고가랑 <-> 혼합꼭지 공고샤 → 금강사 공고오 → 혼합 공구리 → 콘크리트 공구리못 → 콘크리트못 교다이 → 경대 교시타이 [供試體] <건설> → 공시체 *재질의 역학적인 시험을 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시험재료 교오도 → 강도 교오시타이 <-> 공시체
구강쯔미 <-> 공간쌓기 구게키 [空隙] <건설> → 빈틈, 공극 구기 [釘] <건설> <미술> → 못 구라인다 <-> 공구연마기.연삭기 구랏샤 <-> 분쇄기 구랑구 <-> 크랭크 구로 [黑, くろ] <패션> <건설> <생활외> → 검정(색) 구로뎃빵 <-> 흙철판 구루마 [車, くるま] <생활외> <건설> <미술> → 수레, 달구지 구루미 <-> 호두나무 구리가다 <-> 쇠시리 구리뿌 <-> 끼우개 구리시 [栗石, くりいし] <건설> <미술> <행정> → 막돌, 호박돌, 잡석 구리이시 → 막돌, 호박돌 구미 → 구미꼬 → 창살 구미다데 → 조립.짜기 구미다데기고오 → 조립기호 구미다데아시바 → 조립비계 구미다테 [組立, くみたて] <건설> <행정> → 조립, 짜맞추기 구미다테 아시바 [組立足場, くみたてあしば] <건설> → 조립비계, 틀비계 구미타테 → 조립(組立)짜기, 짜맞추기 *공장이나 현장에서 설계도에 따라 부재나 재편을 이어 맞추는 작업 구미타테아시바 → 틀비계 *일정한 형상으로 꾸며진 강관제의 부재를 써서 짜 맞추어 세우는 비계 구미도리벤죠 <-> 수거식변소 구배 <-> 물매.경사 구사비 [楔, くさび] <건설> → 쐐기 *한끝은 얇고 다른 끝은 두껍게하여 좁은 틈서리에 박아 빠지지 않도록 한 나무쪽 구쓰 <-> 웰의끝날 구열 <-> 균열 구우케키 <-> 공극(空隙) 구운반셍 <-> 누구린철선 구이 [杭, くい] <건설> →말뚝 구이우찌 <-> 말뚝박기 구이우치 [杭打, くいうち] <건설> →말뚝박기 구칸쓰미 [空間積み] <건설> →공간 쌓기 *벽돌, 블록벽, 석조벽 등 이중으로 하고 중간을 떼어 쌓는 법
굿사구기 <-> 굴착기 권척 <-> 줄자 규우게쓰자이 <-> 급결재 규우겟쓰세멘도 <-> 급결시멘트 규우고자이 <-> 급경재 규우스이강 <-> 급수관 규우스이젠 <-> 급수전 그라이시바 <-> 금잔디 그린 <-> 녹색
기가다 -- 목형 기가타 [木型, きがた] <미술> <건설> -목형, 나무틀, 나뭇골 기까이네리 -- 기계비빔 기고데 --나무흙손 기고테 [木ごて] <건설> -- 나무 흙손 구기 -- 못 기도리 [木取り, きどり] <건설> <미술> →마름질 *재료를 소요의 크기에 맞게 자르거나 오려내는 것 기레빠시 <-> 조각.잔토막 *기렛파시 동강 (나무), 끄트러기,자투리 기레쓰 <-> 균열 기레이[きれい(奇麗)] → 좋아 기렛파시 [切れっ端] <건설> →동강 (나무), 끄트러기, 자투리, <봉제> →(천)조각, 끄트러기, 자투리, <행정> →자투리, 동강(나무) <인쇄>, 끄트러기 기리 [錐, きり] <건설> <미술> <행정> →송곳 기리기자미 <-> 바심질 기리까이 <-> 바꾸기 기리꼬 <-> 다이아먼드무늬 기리꼬미 <-> 입찰의덤핑 기리도리 <-> 깎아내기.땅깎기 기리바리 [切り張り] <건설> →버팀대,버팀기둥, *띳장 등을 버티는 부재 기리시 [切り石] <건설> →마름돌, 절석 기리이시 <-> 다듬돌바룸돌 *다듬은돌석재의 표면을 다듬어서 정확한 치수와 일정한 형태로 만든 것 기리이시쯔미 <-> 다듬돌쌓기 기리즈마 <-> 박공(朴工) 기리즈마가베 <-> 박공벽 기리즈마야네 <-> 박공지붕 기리카에 (←기리까이) [切り替え]<건설><미술>→바꾸기,교체,<봉제>→(천)바꾸기,<행정>→바꿔대기,바꾸기,대체 기리코미 [切り?み, きりこみ]<패션> →가윗집,<건설> →막자갈 *채취한 것을 체로 치지 않은 모래가 섞인 그대로의 자갈 기리토리 [切り取り] <건설> →흙깎기 기무네 <-> 나사송곳 기소 [基礎, きそ] <건설> <행정> --> 기초,밑바탕 *상부구조로 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하부구조의 총칭 기소고오지 <-> 기초공사 기소 공구리 [基礎コンクリ?ト, -concrete] <건설> →기초 콘크리트 기쥰뎅 <-> 기준점 기즈 <-> 흠 기즈리 [木?] <건설> →졸대,나무오리 *얇고 좁게 오리어 벽, 천장등에 박아대는 나무오리 기즈리가베 <-> 졸대벽 기지뎅 <-> 기지점 기카이네리 [機械練り] <건설> →기계비빔 *믹서를사용하여모르타르나콘크리트를비비는일 기호오공구리도 <-> 기포콘크리트
긴초기 [緊張器] <건설> →긴장기 긴초키 → 죄개 *거푸집 조립에 소철선(燒鐵線)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꽉 죄는 철물 긴케쓰자이 [緊結材] <건설> →긴결재, 죔감 *거푸집이 변형되지 않게 연결 고정하는 철선, 꺾쇠, 볼트 등의 총칭 깅게쯔자이 <-> 긴결재
나가네 <-> 길이(돌벽의) 나가네쯔미 <-> 길이쌓기 나가다이간나 <-> 긴대패 나가시 <-> 개수기 나가시다이 <-> 개수대 나가테쓰미 [長手積み] <건설> →길이 쌓기 *벽돌 벽체의 치장면(겉면)에 벽돌 길이 면이 계속하여 보이게 쌓는 것 나가호조 <-> 긴장부 나게야리 <-> 도급주기 나까가마찌 <-> 중간막이 나까게다 <-> 계단멍에 나까누리 <-> 재벌바름(미장) 나까마 <-> 거간.시세 나까오시 <-> 불계(不計) 나까치기 <-> 속치기 나나메 <-> 사선(斜線) 나나메자이 <-> 사재(斜材) 나라까시 <-> 떡갈나무 나라비 <-> 줄 나라시[均(ならし)] → 고르기 *바닥을 평평하게 고르는 것 나마꼬이다 <-> 골함석 나마리 <-> 납 나마시 <-> 소둔 나메(나미))[なめ(嘗め)] → 얇게치기 나미 <-> 보통2mm유리 나미날 합판 [←laminated 合板] <건설> →적층 합판(積層合板),치장합판 나시[無(なし)] → 민소매, 맨팔(옷) 나오시 <-> 고침질 나와바리~줄쳐보기*건축배치도에따라필요한곳에작은말뚝을박고줄을쳐서건물각부처의위치를실제로지면에옮겨보는일 나이교오 <-> 내업(內業) 나이깡 <-> 뇌관 나이칸 [內管] <건설> →내관 나카누리 [中塗] <건설> →재벌칠, 재벌 바름 *칠공사에있어서초벌칠과정벌칠사이에하는칠공정
난네리 <-> 묽은비빔 난세키 <-> 연석 낫도 <-> 너트 낫토 [ナット, ←nut] <전기> <건설> →암나사, 너트
네꼬 <-> 굄 네꾸아시 <-> 개다리발 네다 [根太, ねだ] <건설> →장선(長線),받침목 *멍에 또는 보위에 직각으로 건너대어 마루를 받는 가로재 네다우게 <-> 장선받이 네당빠이쁘 <-> 환수관 네리 <-> 비빔 네리가다 <-> 비비기 네리가에시 [練返し] <건설> →되비비기,거듭비비기 네리나오시 [練直し] <건설> →고쳐 비비기 *콘크리트또는 모르타르가 아직응결을 시작하지는 않았으나 비빈후에상당한시간이경과하였거나또는재료가분리한경우에 다시비비는것 네리부네 <-> 비빔상자 네리삽 <-> 비빔삽 네리쓰미[練積み]<건설>→찰 쌓기<토목>,사춤 쌓기<건축> *돌쌓기 등에 있어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채워가며 쌓는 공법 네리쯔미 <-> 찰쌓기 네리카에시 ~ 되비비기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응결을 시작 하였을 경우에 다시 비비는 것 네리하꼬 <-> 비빔상자 네무 <-> 이름 네바리 <-> 터파기 네야끼 <-> 그슬음 네이시 [根石, ねいし] <건설> →밑돌,밑창돌, 하대석, 지방석 *석축의 가장 밑부분에 두는 돌 네지 [螺子, ねじ] <미술> <건설> →나사(못) 네지마와시 [螺子廻し] <건설> <미술> →나사돌리개, 나사틀개, 드라이버 네지테 <-> 뒤틀림 네쯔미 <-> 기초쌓기 네코 [猫, ねこ] <건설> → 굄(감),굄재(chair), *철근콘크리트공사에있어서수평철근과거푸집널판의간격을일정하게유지하기위하여끼우는토막 넨도 [粘土, ねんど] <건설> <미술> →찰흙, 진흙, 점토 넷떼루 <-> 상표
노가다 [←土方, どかた] <생활외> <건설> <미술> →(공사판) 노동자, 막일꾼, 인부,토공(土工) 노깡 [土管] <건설> <미술> <행정> → 토관(土關) 노꼬 → 톱 노꼬기리야네 → 톱날지붕 노꼬리 → 나머지 노기스 → 버니어캘리퍼스 노끼 → 처마 노끼게다 → 처마도리 노끼다까 → 처마높이 노끼도이 → 처마홈통 노로 → 횟물.시멘트풀 노로비끼 → 횟물먹이기 노리 → 비탈.해초풀 *절토나 성토의 사면 노리가다 → 비탈머리 노리비키[糊引き] <건설> → 시멘트풀칠 *시멘트풀을솔또는헝겊으로바르는미장마무리 노리지리 [法尻, のりじり] <건설> →비탈 끝 *비탈면과 그 하방(下方)에 있는 수평지반면과의 교차하는 부분 노리까이 → 갈아타기 노리멘 → 비탈면 노리비끼 → 시멘트풀칠 노리시아게 → 비탈다듬기 노리지리 → 비탈끝 노무리 → 단풍 노미 [鑿, のみ] <건설> <미술> →끌, 정 *목재나 석재등을 가공하는 공구 노미구찌 → 유입구 노미기리 → 정다듬 노미키리 [鑿切り] <건설> →정다듬 *정으로 쪼아 다듬는 표면 마무리 작업 노바시 [伸張] <건설> <봉제> →늘이기 노보리산바시 [上り棧橋] <건설> →비계 다리 *재료의운반작업등을하기위하여사람이오르내릴수있도록비계에경사지게설치하는가설물 노보리삼바시 <-> 비계다리 노부찌 <-> 반자틀대 *천장을 막아 반자 널이나 판을 붙이는 틀 노부치 [野緣, のぶち] <건설> →반자틀, 반잣대 노뿌 <-> 손잡이.노브.애자 노비 <-> 늘음 노즈 <-> 지붕널.개판 노즈라 [野面, のづら] <건설> →거친 면, 채석면 *채석장에서 채취한 그대로의 돌표면 노지이다 <-> 지붕널.개판 *지붕이나 서까래 위를 덮는 널 노지이타 [野地板, のじいた] <건설> →지붕널, 바탕널 노키 [軒, のき] <건설> →처마 *지붕이 처마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노키게타 [軒桁, のきげた] <건설> →처마 도리 *변두리 벽위에 걸어 서까래를 받는 도리 노키다카 [軒高, のきだか] <건설> →처마 높이 *지표면에서건축물의지붕틀또는이와유사한횡가재를지지하는벽, 깔도리또는기둥의상단까지의높이 노키덴조 [軒天井, のきでんじょう] <건설> <행정> →처마 반자 *처마 밑에 수평 또는 경사면으로 만든 천장 노키도이 [軒桶, のきどい] <건설> →처마 홈통 *처마 끝에 수평으로 설치한 홈통 논스리뿌 <-> 미끄럼막이.논슬립
누끼 <-> 꿸대.빼냄 누끼다이 <-> 깔판 누노기소 <-> 줄기초 *기둥, 조적조의 벽체등의 밑에띠형으로만든연속된기초 누노마루타 [布丸太, ぬのまるた] <건설> →비계 띠장 *비계기둥에 건너 지르는 통나무 누노보리 [布掘り, ぬのぼり] <건설> →줄기초파기 *기초를 길게 도랑모양으로 파는 것 누리까에 <-> 재칠 *낡은 칠면에 새칠을 하는 것 누리시로 <-> 바름두께 누리지 <-> 바름바탕 누리카에 [塗り替え] <건설> → 개칠, 뉴에끼 <-> 유액
니고부 <-> 이오토막 니까와 <-> 아교 니다에 <-> 짐받이 니마이 [二枚, にまい] <건설> →두장 (쌓기),두장두께벽 니방 <-> 이번 니부 <-> 두푼 니뿌르 <-> 니플 니스 <-> 니스 니승 <-> 두치 니오로시 <-> 짐부리기 니주마와시, 니쥬마와시 <-> 곱돌리기 니쥬우마도 <-> 겹창.이중창 니즈꾸리 <-> 짐묶으기 니즈쿠리 [荷造り] <건설> <미술> →짐꾸리기 니혼 <-> 두가닥 닛빠 <-> 니퍼
다가네 [?, たがね] <건설> <미술> →(끊음) 정, 강철 끌,넓은날정, 다까사 <-> 높이 다께와리 <-> 반달타일 다꼬 <-> 달구 다꼬쯔끼 <-> 달구질 다꽝(다쿠앙)[‘たくあん(takuan)] → 단무지, 무절이, 다나 [棚, たな] <건설> <미술> →선반 다니 <-> 지붕골 다니기리 <-> 모치기 다니도이 <-> 골홈통 다다기 <-> 도드락망치 다대기[たたき(tataki) → 다진양념 다데 <-> 세로 다데가마찌 <-> 선대.세로틀 다데구 <-> 창호(窓戶) 다데구가나모노 <-> 창호철물 다데구고오지 <-> 창호공사 다데구야 <-> 창호공 다데꼬 <-> 수직갱도 다데도이 <-> 선홈통 다데마에 <-> 세우기 다데메지 <-> 세로줄눈 다데보 <-> 세움대 다데와꾸 <-> 선틀 다루끼 <-> 서까래.붙임대 *지붕 경사에 따라 도리에서 처마끝까지 건너지른 나무 다루끼와리 <-> 서까래나누기 다루마스위치 <-> 애자개폐기 다루키 [垂木, たるき] <건설> →서까래, <행정> →각목 다마[たま(tama)] → 구슬, 알, 공, 전구, 당구, 다마네기 → 양파 다마부찌 → 구슬선 다마이시 [玉石, たまいし] <건설> → 호박돌 *호박형의 천연석으로서 가공하지 않은 지름 18㎝이상 크기의 돌 다마쟈리 → 구슬자갈 다메마스 → 수채통 다보 → 꽃임.촉 다뿌방 → 단자판 다시[だし←出(だす): 出し汁(だしじる)] →맛국물 다쓰바 (←답바) [建端, たつば] <건설> <미술> →높이 다시방 → 앞서랍 다이 → 대,받침대 *물건을 받치거나 올려놓는 물건의 총칭 다이까렝가 → 내화벽돌 다이꼬바리 → 양면붙이기 다이꼬오도시 → 양면치기 다이꾸 → 대목 다이나모메다 → 동력계 다이루 → 타일 다이루고오지 → 타일공사 다이알 → 다이얼 다이와 → 밑둘레 다찌아기리 → 치올림 다테 [縱, たて] <봉제> → 세로(솔),<패션> →세로(솔),옆솔기,날실,<건설> →세로,<미술> →세로 (붙이기/붙임)<한국화> 다테구 [建具, たてぐ] <건설> →창문, 창호(窓戶) *창문의 총칭 다테구 가나모노 [建具鐵物] <건설> →창호 철물 *창호를 달거나 장식으로 쓰이는 철물의 총칭 다테도이 [立桶] <건설> → 선홈통 *처마 홈통 등에서 깔때기 홈통을 거쳐 세로 내려온 수직 홈통 다테마에 [建前] <건설> →세우기 *기둥등의 수직부재를 제자리에 일으켜 세워 짜는 일 다테메지 [竪目地] <건설> →세로줄눈, 세로사춤 *돌, 벽돌, 블록 등을 조적할 때 연직 방향으로 생기는 줄눈 다테와쿠 [縱?] <건설> <미술> →선틀, 세로틀 *창문틀의 양옆에 또는 중간에 세워대는 부재
닥상이다(澤山--) → 충분하다. 넉넉하다. 제격이다. 단가[擔架(たんか)] → 들것 단다이간나 → 짧은대패 단도리[段取り(tantori)] → 채비,단속,마련, *공사를 원활하게 착수하기 위하여 사전에 준비계획을 세워 수배하는 것 단멘즈 → 단면도 단스 → 옷장 단카 → 들것 담바 → 높이 담뿌 → 탭 담뿌도라꾸 → 덤프트럭 담뿌카 → 덤프카 닷파 → 높이 *최상부, 상부, 처마높이, 계단높이 혹은 건물 최고부까지의 높이를 말함 당가 → 들것 당고오 <-> 담합(談合),짬짜미 당기리 <-> 충단깎기 대꼬 <건설> →지렛대
데꼬 <-> 지렛대 데꼬보꼬 <-> 오목블록 데끼다까 <-> 기성고 데나오시 [手直し, てなおし]→손질,재공사,재손질, *시방서와 같지 않은 불충분한 곳이있는 경우 부분적으로 다시 수정을 하는 것 데네리 [手練り] <건설> →손비비기,삽비비기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을 비비는 것 데마 [手問, てま] <건설> →품(삯) *어떤 일을 하기위해 소비되는 노력 또는 시간 데마도 <-> 내달이창 데마찌 <-> 대기 데마치 [手待ち] →기다림, 대기 *자재의 반입이나 준비계획을 결정하여 수배하는 경우에 작업을 진행할 수 없어 노동력 혹은 일을 중지시키고 있는 상태 데마친 [手問賃, てまちん] --> 품삯 *기능공의 품에 대하여 지불되는 품값 데모도 <-> 조력공 *숙련공을 도와서 그의 지시를 받아 작업에 협력하는 인부. 허드레꾼 데모토 (←데모도) [手許, 手元, てもと]<생활외>→곁꾼,보조공,<건설>→조(력)공,곁꾼,허드레꾼,보조공,<미술>→보조공,곁꾼,조수 데보리 <-> 손파기 데뿌 <-> 테이프 데스리 [手摺, てすり] <건설> <생활외> →난간 *보행자의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는 울타리 형상의 것 데쓰마쿠라기 [鐵枕木, てつまくらぎ] <건설> →철침목, 쇠굄목 *강철 또는 주철제 침목 데쓰이다 <-> 철판 데우찌 <-> 손치기.인력치기 데즈라 [出面, でづら] →출역(出役),날품 *현장 작업을 하기위해 현장에 나온 목수.미장공,인부 기타 공종 직종별 노동자의 인수 데즈리 <-> 난간.난간두겁 데즈리파이프 <-> 난간파이프 데쯔가부도 <-> 안전모 데쯔고오시 <-> 쇠창살 데코 → 지렛대 데코보코 [凹凸] <건설> → 울퉁불퉁, 올록볼록, 요철 데킹 <건설> →철근
덴마도 <-> 천창(天窓) 덴바 [天端] <건설> →꼭대기, 윗면, <미술> →윗면 *물건이나 부재의 윗면 덴아쓰 <-> 전압(轉壓) 덴자이 <-> 채움재 *빈틈을 채우는 미세한 재료 덴조 [天井] <건설> <미술> →천장 *바닥에 상대적으로 대응하는 부위로서 지붕밑, 위층의 바닥 밑을 지칭함 덴죠가와 <-> 모래내 덴죠오 <-> 천정.천장 덴지 <-> 전지 덴찌 → 회중전등 덴푸라(뎀뿌라)[天?羅(テンプラ, 포tempero)] → 튀김 뎃고쓰고오지 → 철공공사 뎃낑공구리도 → 철근콘크리트 뎃빵 (←뎃판) [鐵板, てっぱん] <생활외> <미술> →우두머리, 두목, <건설> →철판 뎃킨 [鐵筋, てっきん] <건설> <미술> →철근 뎃판 → 철판 뗑깡 → 투정
도가다 → 토공(土工) 도가다 → 선반 도가타(노가타) → (건설현장근로자) 인부, 막일꾼 도깡 → 토관(土管) 도꼬보리 → 터파기 도꼬시메 → 바닥다짐 도구루 → 문바퀴 *미서기 미닫이 등의 창문 밑막이에 대어 문이 레일 위를 구르게 하는 바퀴모양의 창호철물 도구루마 [戶車] <건설> →문바퀴 도꾸이 → 단골 도기다시 (←도끼다시) [硏出し, とぎだし] →갈(아내/아닦)기, →갈기, 갈아닦기, 윤내기 *석재, 인조석등의 표면을 숫돌 등으로 갈아 마무리 하는 것
도노꼬누리 → 토분먹임 도노코 [砥の粉] → 토분(土紛) *진흙을물에풀어서그중부드러운것만을채취하여 말린흙가루.나무결의눈먹임,틈서리땜질등에씀 도노코즈리 [砥の粉摺] <건설> →토분 먹임 *토분을 물에 풀어 나무결, 갈래틈 등에 문질러 칠하는 땜질 도다이 → 토대 도당 → 함석 도도리 [土取り] <건설> → → 객토(客土),취토, 채토,흙뜨기 도도리바 [土取り場] <건설> →취토장, 채토장 *흙을 채취하는 곳 도도메 [土止め] <건설> →흙막이 *흙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림을 막는 공작물 도라무 → 드럼 도라무미기사 → 드럼믹서 도라뿌 → 트랩 도라스 → 트러스 도라이바 → 나사돌리개 도락다아 → 트랙터 도란스 → 변압기 도랏푸 [トラップ, trap] →냄새막이관 트랩(trap) *냉동 공조기기, 위생기구 등의 배수관 도중에 설치하여 하수내의 악취가 실내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것 도레라 → 트레일러 도로꼬 <-> 트로이차 도로바꼬 <-> 흙상자 도로뿌함마 <-> 떨공이 도롯푸 한마 [drop hammer] <건설> →떨공이,드롭 해머 *말뚝박기에서 메의 자연 낙하력을 이용하여 말뚝을 박는 메 도리쯔게 <-> 붙이기 도마 [土間] <건설> →토방, 다짐 바닥 *흙, 강회반죽, 콘크리트 등을 다져 평평하게 만든 바닥 도메 <-> 연귀 도보꾸고고가구 <-> 토목공학 도보꾸로 → 두꺼비집 도보꾸자이료오 → 토목재료 도비 [鳶] <건설> →비계공 *높은 곳에서 비계의 설치 및 해체 또는 중량물 작업을 하는 기능공 도비이시 → 디딤돌 도사죠 → 사토장 도샤 [土砂] <건설> → 토사(土砂) *흙과 모래 도소고오지 → 칠공사 도아다리 → 문소란 도아다리샤꾸리 → 문받이턱 도오고오 → 도갱(導坑) 도오자시 → 층도리 도오카센 → 도화선 도와쿠 [戶?, とわく] <건설> <미술> →문틀 *문짝을 달고 여닫을 수 있게 주위에 짜댄 틀 도이 [桶, とい] <건설> →홈통 *지붕의 물을 받아내리기 위하여 설치하는 관 도이시 → 숫돌 도죠오 → 양토 도칸(노칸) → 토관(土管), 흙대롱 도탄(←도당) [トタン, 포.tutanaga] <건설> →함석, 아연 (도금) 철판 *철판에 아연으로 도금한 얇은 판
돈내기 → 도급.하청 똔똔 → 본전 드리루 → 드릴
라셍뎃낑 → 나선철근 라스 → 철망 라이깡 → 뇌관 라이닝구 → 라이닝 라이뜨 → 조명 라지에다 → 방열기
란낑간나 <-> 썰매대패 란마 [欄間, らんま] <건설> → 고창(高窓),웃창 *창문 위쪽에 달은 창 란쓰미 → 막쌓기, 허튼쌓기 *일정한 수평, 수직 줄 눈을 두지 않고 쌓은 돌쌓기의 한방식 란즈미 [亂積み] <건설> → 막 쌓기, 허튼 쌓기 란쯔미 <-> 막쌓기 람마 <-> 고창(高窓) 랩핑 <-> 포장
레끼세이 <-> 역청 레바 <-> 손잡이 레베루 <-> 수평.수준기.레벨 레에기 <-> 쇠갈퀴 레에루 <-> 레일 레지스타 <-> 저항기 렌가 [煉瓦, れんが] <건설> →벽돌 렌가쓰미 [煉瓦積み] <건설> →벽돌 쌓기 *벽돌을 시멘트 모르터 또는 회백토 반죽등으로 쌓아서 벽체를 꾸미는 일 렌가와리 [煉瓦割り] <건설> →벽돌 나누기 *시공에 앞서 벽돌의 배치를 하여 보는 것, 벽돌벼름
렝가 <-> 벽돌 렝가고데 <-> 벽돌흙손 렝가고오지 <-> 벽돌공사 렝가망치 <-> 벽돌망치 렝가와리 <-> 벽돌나누기 렝가죠오 <-> 벽돌구조 렝가쯔미 <-> 벽돌쌓기
로가 <-> 여과 로가기 <-> 여과기 로가마구 <-> 여과막 로가스나 <-> 여과모래 로가자이 <-> 여과재 로가지 <-> 여과지 로그 <-> 원목 로꾸부가꾸 <-> 육푼각 로꾸부이다 <-> 육푼널 로꾸인치브로꾸 <-> 육인치블록 로끼 <-> 처마 로라 <-> 로울러(roller) 로라비아링 <-> 로울러베어링 로링 <-> 압연 로스 <-> 손실 로오까 <-> 복도(corridor) 료오비라끼 <-> 쌍여닫이
루바 <-> 루우버 루베 [立方米] <생활외> <건설> <행정> →세제곱미터(㎥), 입방미터 류베 <-> 입방미터(㎥) *세제곱미터 류우쯔보 <-> 입방평
리구바시 <-> 육교.구름다리 리꾸사꾸 <-> 배낭 리꾸야네 <-> 평지붕 리마 <-> 리이머(reamer) 리벳도 <-> 리벳 리벳도데우지 <-> 리벳손치기 리벳도아나 <-> 리벳구멍 리빠 <-> 니퍼(nipper) 리야카 <-> 손수레 리와인다 <-> 되감개 리와인딩 <-> 되감기 리쯔멘즈 <-> 입면도 리카피 <-> 복사(recopy) 리쿠(니쿠)[りく(陸)] → 겹쳐밀기
릴 <-> 두루마리 릴리프벨브 <-> 안전밸브 링구 <-> 링(ring)
마가리 <-> 꼬부림 마가리요쯔메 <-> 곡사 마고우께 <-> 제삼도급 마구라기 <-> 침목(枕木) 마구사 [楣] <건설> →테두리보, 웃인방 *벽 위쪽이나 창문 위쪽에 있는 인방 마구사바리 <-> 인방보 마그네트 <-> 자석 마그네트보당 <-> 기동단추 마기리 <-> 엘보우(elbow) 마꾸라 <-> 받침목 마끼 → 두루마리.권(卷) 마끼까이 → 되감기 마끼다네 → 라이닝(lining) 마끼도리 → 두루마리.감개 마끼자 → 테이프자 마다구기 → 거멀못 마도 [窓, まど] <생활외> <건설> →창, 자모테<인쇄> *환기나 채광을 하기 위하여 벽면 등에 설치하고 여닫게 된 구조물 마도다이 [窓台, まどだい] <건설> →창대 *창밑에 돌 또는 벽돌을 열세워 쌓거나 모르타르로 발라 만든 것 마도리 → 간살잡기 마도메 → 막음질 마도와꾸 → 창틀 *창문을 다는 갓 둘레의 뼈대 마루 → 둥근 마루간나 → 원형대패 마루내 → 죽 마루노꼬 → 둥근톱 마루노미 → 둥근끌 마루다 → 통나무 마루다아시바 → 통나무비계 마루도 → 둥근칼 마루맹 → 둥근면 마루메지 → 둥근줄눈 마루메지고데 → 둥근줄눈흙손 마루보 → 둥근봉 마루비끼 → 원목자르기 마루빠찌 → 원형세면기 마루뻰찌 → 둥근펜치(plier) 마루오도시 → 오르내리꽃이쇠 마루타 [丸太, まるた] <건설> →통나무 *둥근 원목 마루타 아시바 [丸太足場, まるたあしば] <건설> →통나무 비계 *통나무로 만든 비계 마루펜 → 둥근펜 마리옹 → 멀리온(mullion) 마바시라 → 샛기둥 마사 → 석비례 마사끼 → 사철나무 마에가리 [前借り] <건설> →우선/임시 지급, 가불(假拂), <생활외> →미리받기, 당겨받기 *우선지급 마와리부찌 → 돌림띠 마와시[まわし(廻し)] → 돌리기 마이가리 → 가불 마이리 → 둘레 마즈끼리 → 간막이벽 *큰방을나누어쓰기위해중간에친벽, 칸막이벽 마지키리 [問仕切り] <건설> →칸막이 마찌고바 → 영세공장 마쿠라기 [枕木,まくらぎ]→받침목,굄목,침목 *레일을 체결하여 궤간을 확보하고 열차 하중을 도상에 널리 분포시킬 목적으로 쓰이는 재 마키 [卷, まき] <식생활> --> 김말이, <패션> →필, 두루마리, <건설> →두루마리, 말이, 사리 마키가미=두루말이 마키자쿠 [卷尺, まきじゃく] <건설> <행정> →줄자 마키카에 [卷き返] <건설> <미술> → 되감기,갈아감기 마호병 → 보온병
만땅 → 가득 말구 [末口] <건설> → 끝마구리, <행정> → 끝동부리 *끝굵기 맛내끼 → 바이스 맛뜨메트 → 망홀 → 맨홀(manhole) 매취 → 성냥 맨션 → 저택
메 → 눈 메가네 → 복스렌치.안경 메가네이시 <-> 구멍돌 메가폰 <-> 확성기 메꾸라가베 <-> 민벽 메꾸라마도 <-> 벽창호 메꾸라암거 <-> 맹암거.속도랑 메너 <-> 태도 메뉴 <-> 식단 메다 <-> 계기 메다데 <-> 날세우기 메다루 <-> 금속 메도메 [目止め] <건설> → 눈먹임 *나무결을 메우고 미끈한 칠바탕을 만드는 것 메로메 → 눈먹임 메모리 [目盛り] <건설> → 눈금 *저울, 자, 온도계 따위에 표시된 눈금 메스콘 → 암코운(female cone) 메쓰부시 → 틈막이 메쓰부시자리 [目潰砂利] <건설> → 틈막이 자갈 *기초나 바닥에 깔아놓은 잡석 다짐의 틈새에 끼워 넣는 자갈 메이다 → 틈막이대 메이카 → 제조회사 메이크업 → 치장 메쯔부시 → 틈막 메지 [目地, めじ] <생활외> →줄눈<건설>, 사춤 *석재, 벽돌, 콘크리트 포장판 등의 이음부 메지고데 → 줄눈흙손 *타일, 벽돌, 블록, 석재등의 줄눈에 줄눈재를 채워 넣는데 사용하는 폭이 좁은 흙손 메지고테 [目地?] <건설> →줄눈 흙손, 사춤 흙손 메지보 [目地棒] <건설> →줄눈대, 사춤대,줄눈쇠 메지보리 [目地堀り] →줄눈 파기,사춤파기 *치장 줄눈을 만들기 위하여 깊이 8mm정도 모르타르를 파내는 것 메지보오 → 줄눈대 *테라조,인조석 등의 신축 균열방지 및 의장 효과를 위해 구획하는 줄눈에 넣는 철물 메지와리 [目地割り] →줄눈 나누기, 사춤 나누기 *줄눈의 배치 위치를 잘맞게 나누어 보는 것, 사춤벼르기 메치가이 [目違い] <건설> →턱솔 *석재나 목재를 연결시킬 때 이을 곳을 도려내고 합한자리 메쿠라안쿄 [盲暗渠, めくらあんきょ] →맹암거,자갈수멍 *지하수의 집배수를 위하여 모래, 자갈, 호박 돌 등을 땅속에 매설한 일종의 수로. 암거=수멍 메트레스 → 두꺼운자리
멕끼 → 도금 멘끼 → 면대 멘나라시 → 면고르기 멘도리 → 모접기 *석재, 목재등의 모서리를 깎아 좁은 면을 내거나 둥글게 하는 것 멘도리간나 → 쇠시리대패 멘도이다 → 착고 멘시아게 → 면마무리 멘토리 [面取り] <건설> → 모접기, 면접기, <신문> → 꾸밈막이 멧키 [鍍金, めっき] <건설> <미술> <행정> →(금)입히기, 도금 멤버 → 회원
모구리 [潛水夫, 潛り] <행정> <건설> → 보자기,잠수부(潛水夫) 모꾸고오지 → 목공사 모꾸네지 <-> 나사못 모꾸렝가 <-> 나무벽돌 모꾸리 <-> 나뭇결 모데링구 <-> 모델링 모도구찌 <-> 밑마구리 모루 <-> 줄무늬유리 모루따루 <-> 모르타르 모리도 <-> 흙쌓기 모리쓰치 [盛土, もりつち]→흙 쌓기, 흙돋기, 성토 *다른 곳에서 채취한 토사를 현 지반위에 쌓아 올리는 것 모미지 <-> 단풍나무 모부라 <-> 못쓸벽돌 모야 [母屋] <건설> →중도리 *서까래 지붕널 등을 받치는 가로재 모요 <-> 무늬.상황.형세 모자이 <-> 모재 모찌고미 <-> 안고돌기 모찌다시쯔미 <-> 내쌓기 모찌오꾸리 <-> 까치발 모쿠네지 [木螺子, もくねじ] <건설> →나사못 *목구조의 접합부에 쓰는 나사가 있는 못 모쿠렌가 → 나무벽돌 *나무로 벽돌 모양의 토막을 만든 것. 방부제를 칠하여 벽돌벽에 넣고 쌓아서 목부연결의 못받이로 씀 모타 <-> 전동기
목소구 <-> 목측 몸뻬[もんぺ] → 일바지, 왜바지 몽끼 <-> 몽키스패너
무가다 <-> 민모양 무네 <-> 지붕마루 무라나오시 [斑直し] <건설> →고름질 *바름두께 또는 마감두께가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심할 때 초벌바름위에 발라 면을 바르게 고르는 공정 또는 바름층 무라토리 [斑取, むらとり] <생활외> <건설> <신문> →얼룩빼기 무시로 <-> 거적 무킹공구리도 <-> 무근콘크리트
문비 <-> 문짝 문와꾸 <-> 문틀 문하시라 [門柱] <건설> → 대문 기둥,문기둥
미가끼판 <-> 마강판 미꼬미 <-> 옆면 미끼리부찌 <-> 선두름 미끼샤 <-> 믹서 미끼샤도라꾸 <-> 믹서트럭 미다시공구리 [見出しコンクリ?ト, -concrete] →제치장 콘크리트 *노출되는 콘크리트면 자체가 치장이 되게 마무리한 콘크리트 미도리즈 <-> 목측도 미미시바 <-> 갓떼 미수뻬빠 <-> 물연마지 미쓰모리 [見積り] <건설> →어림셈, 추산, 견적 *도급할 수 있는 공사금액을 산출하는 것 미아이 <-> 마주봄
미즈가에 <-> 물푸기 미즈끼리 <-> 물끓이기 미즈네리 [水練り] <건설> →물비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을 물을 넣어 비비는 것 미즈누끼 <-> 규준대 미즈누끼공 <-> 물빼기구망 미즈누키 [水貫, みずぬき] <건설> →수평 띠장 *규준틀 말뚝에 수평으로 건너대는 띠장 미즈다다기 <-> 물받침 미즈다리 <-> 물흘림 미즈모리 [水盛り] <건설> →수평보기 *건축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수평면을 정하는 것 미즈미가키 [水磨き] <건설> →물갈기 *석재의 표면에 물을 주면서 매끈하게 갈아 마무리 하는 것 미즈시메 [水締め] <건설> →물다짐 *물을 뿌려 주면서 토사를 다지는 것 미즈이도 <-> 수평실.수평줄 미즈카에 [水替え] <건설> → 물푸기 *기초공사에서 수중시공을 피하기 위하여 물을 퍼내는 작업 미즈키리 [水切り] <건설> → 물끊기 *물이 면을 따라 스며들거나 그 하부벽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창대돌, 돌림띠, 캐노피 등의 밑면 끝 부분에 파두는 홈
바라스 [ばらす] <건설> → 세트 거두기 바라시 [ばらし] <건설> → 뜯기, 헐기, 해체 바루 → 노루발 장도리, 쇠지레 바타카 → 작은각목 *거푸집 공사에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1 0㎝角정도의 각재 반네루 → 판때기, 패널 반센 [番線] <건설> → 결속(철)선, (굵은) 철선 *가설공사 등에 사용하는 철선 빠데 [パテ, ←putty] <건설> →땜풀, 퍼티, <미술> →메움밥, 땜풀, 퍼티<조각>
벤또 뼁끼 [paint] <생활외> <건설> --> 페인트,칠, 양칠
보루반 [ボ?ルばん, 네.boor bank] <미술> 틀송곳 <목공예, 금속공예>, 선반송곳 <조각>, <건설> →목공 선반 보르반 [독.Bohr Bank盤, 네.boor bank盤] <미술> →틀송곳 <목공예, 금속공예>, 선반 송곳 <조각>, <건설> →목공선반
뵤우치 [?打ち] <건설> →리벳치기, 버섯 못치기 *리벳을 구멍에 끼우고 소정의 리벳머리를 내어 조이는 것 뵤코 [?孔, びょうこう] <건설> →리벳 구멍, 버섯못 구멍 *리벳치기를 위하여 강재에 뚫은 구멍. 버섯못구멍
부가카리 [步掛り] <건설> →품셈 *단위공종당 소요로 하는 노력과 재료를 수량으로 표시하는 것 부잔교 [浮棧橋] <행정> →뜬다리, 선창, 발판 <건설>
비까번쩍하다[ぴか----] → 번쩍번쩍하다
뽀록나다[←ぼろ(襤褸)--] → 드러나다, 들통나다 뽐뿌 [ポンプ, ←네.pomp, pump] <생활외> <건설> --> 펌프 삐끼(히키)[(引き)] → ① 끌기 ② 여리꾼, 호객꾼
사가리(픽사리)[さがり(下がり)] → 헛치기
사게후리 [下げ振り] <건설> → 다림추 사바사바하다(さばさば--) : 협잡하다. 짬짜미하다. 사비도메 → 녹막이 *금속에 녹이 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사비도메누리 [?止塗り] <건설> → 녹막이칠 *철재등에 녹슬지 않게 녹막이 도료를 칠하는 것 사시가네 [差し金] <건설> → 미레자, 곱자, 곡척, <미술> --> 곱자 사시코미 → 꽂이 쇠 사시미[刺身(さしみ)] → 생선회 사시킨 [差筋, さしきん]→ 삽입근 *벽,바닥판,계단등의콘크리트접속부분의구조적 일체화를도모하기위해서삽입하는보강철근 사이 [才] <건설> <미술> → 재 <목재 치수 단위> 사이세키 [碎石, さいせき] <건설> → 부순 돌, 쇄석 *잡석을지름 0 . 5 ~ 1 0㎝정도의자갈 크기로 작게깬돌. 돌깨기 사이세키바 [採石場, さいせきば] <건설> → 채석장(採石場) *암석이있는곳에서암석을필요한모양으로 깨뜨려내는곳 사이 → 재 *일반적으로 목재의 체적 단위 사카마키 [逆卷き] → 역라이닝(-lining) *토질이약한터널에서아치부분만을먼저굴착하고그곳에아치콘크리트를시공하고나서측벽부분을나중에띄엄띄엄굴착하고측벽콘크리트를시공하는역행공법 사칸 → 미장이 *미장 바름재(진흙, 회삼물, 모르타르 등)를 벽, 천장, 바닥 등 바탕면에 바르는 사람 사쿠리 [決り·?り, さくり] <건설> <미술> → 홈파기
산바시 [棧橋, さんばし] <건설> → 발판, 잔교 산슨각 [三寸角, さんずん-] <건설> → 세 치(9cm) 각재 삿보도[support] <건설> → 받침대, 지주, 동바리
샤쿠리 (←사쿠리) [決り·?り, さくり] <건설> <미술> → 홈파기 석분 [石粉] <건설> → 돌가루
세와야쿠 [世話役, せわやく] <건설> → 기능장, 십장 *현장노무자의지휘감독에관한책임과권한을부여받은 관리자 세키산 [積算, せきさん] <건설> → 적산(積算),포갬셈 *공사에소요되는재료및품의수량을계산하는것 세키이타 [堰板, せきいた] → 흙막이널, 방죽널, 거푸집널 *지질이비교적양호하고 기초파기가얕을 때 설치하는 널 세키자이 [石材, せきざい] <건설> → 석재(石材),돌 *건축,토목공사등에쓰이는암석으로된 재료 세키훈 [石粉, せきふん] <건설> → 돌가루, 석분 *역청포장등에사용되는돌의분말
센반 [旋盤, せんばん] <건설> <미술> → (목공) 선반 *공작물을 주축과 같이 회전시키고 바이트를 접속시켜 금속을 절삭하는 기계 센칸 [潛函, せんかん] → 잠함,잠김상자 *주위및천정을가진상자로서수중에침강시켜압축공기로상자속의물을배제하며수저작업에사용하는것 센토루 [センタリング, centering] → 아치(가설)틀,무지개 거푸집 *터널이나 교량의 아치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또는 고정식의 거푸집
소데나시[そでなし(sodenasi)] → 민소매 소보루빵(そぼろ-) → 곰보빵 소보리 [總掘り] <건설> --> 온통 파기 *건축물 밑 전부에 걸쳐 파내는 것
스나 [砂, すな] <건설> --> 모래 스리 가라스 [磨ガラス, 네.-glas] <건설> --> 흐림 유리,젖빛유리 스미다시 [墨出し, すみだし] <건설> --> 먹매김 스미우치 [墨打ち, すみうち] <건설> --> 먹줄치기, 먹놓기 스미키리 [隅切り] <건설> --> 모따기, 모접기, 면접기 스베리도메 [滑り止め] <건설> --> 미끄럼막이 *계단코에 대어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놋쇠 철제등에홈을내거나고무질의좁은띠를박아넣은것 스에구치 [末口, すえぐち] <건설> --> 끝마구리 *물건이나 나무의 위끝의 면 스지시바 [筋芝, すじしば] <건설> --> 줄떼 스키야키[鋤燒(すきやき)] → 왜전골/일본전골(찌개) 스테 공구리 [捨てコンクリ?ト, -concrete] <건설> --> 밑창 콘크리트, 버림 콘크리트 스테이시 [捨石, すていし] <건설> --> 사석, 막깔이돌 *제방, 교각, 방파제, 암벽 등의 기초를 보호하기 위하여 투하하는 비중이 크고 내구성이 있는 큰돌 또는 콘크리트 덩어리 스테콘구리[]→ 밑창콘크리트 버림콘크리트 *잡석다짐, 갈다짐등의기초위에먹물치기를하기위하여두께6㎝정도의기초밑에까는콘크리트를말함 슨포 (←슴뽀) [寸法, すんぽう] <건설> <미술> <생활외> --> 치수
시로(히로)[しろ(白)] → 흰공맞기 시로토 [素人, しろうと] <건설> --> 신출내기, 풋내기, 초보자, 벗장이 시마이 [仕舞·終い] <건설> --> 끝냄, 끝남, 마감, 끝(마침), <패션> --> 끝(마침), 뒤처리 시메키리 [締切り] <건설> --> 마감, 물막이공 (시멘트) 블록(←브러크) <건설> --> (시멘트) 벽돌 시스이반 [止水, しすいばん] <건설> --> 차수판, 물막이널 *콘크리트의 이음부에 수밀을 위하여 콘크리트속에 묻어두는 동판, 고무, 합성수지등의 제품 시아게 [仕上げ] --> 끝손질, 뒷손질, 마무리 *표면의 최종 가공처리 작업을 끝마감 하는 일 시요쇼 → 시방서, 방법서 *공사시행에 필요한 재료, 공법등에 관한 기술적인 상황을 상세히 기재한 서류 시키게타 → 깔도리 *기둥 또는 벽위에 놓아 지붕보를 받는 도리 시키나라시 [敷均しきな] <건설> --> 펴고르기 *포장재료 등을 노면에 깔고 또 고르게 펴는 일 시타누리 [下塗り] <건설> --> 초벌칠, 초벌바름, 애벌칠 *칠공사에 있어서 최초로 하는 칠공정 시타바 [下端, したば] <건설> --> 밑면 *물건이나 부재의 아래쪽면 시타지 [下地, したじ] <건설> --> 바탕 *모르타르, 플러스터, 회반죽등 미장재료를 바르기 위한 구조체 표면 시타지고시라에 [下地?] <건설> --> 바탕 만들기 *칠할 바탕면을 칠하기에 알맞게 만드는 것 시호코 → 동바리 *거푸집 등 공사중의 가설물 및 설치재를 일시 지지하는 가설지주
신마에/신마이[新前(しんまえ)] → 신출내기, 신참 신즈미 [芯墨] <건설> → 심먹 *중심선을「먹매김」한 것 싯쿠이 [漆くい] <건설> → (흙)회반죽 *소석회, 여물, 해초물, 물을섞어만든미장용반죽
쓰기메 [繼ぎ目] <건설> → 이음매 쓰루하시 → 곡괭이 쓰리바시 [弔橋, つりばし] <건설> → 출렁다리, 줄다리, 현수교 *장경간의 교량의 주력을 늘어진 케이블로 받게 한 교량 쓰리아시바 [弔足場, つりあしば] <건설> → 달비계 *상부에서 와이어 로우프 등으로 작업대를 달아내리운 기계 쓰리키 [釣木, つりき] <건설> → 달대 *반자틀에서 반자대를 보위에 걸친 달대 받이에 연결하는 수직부재 쓰마 [端] <건설> --> 측면, 단부, 가장자리 *모든 물건의 끝부분(가장자리) 쓰메끼리 → 손톱깎기 쓰미 [積み] <건설> → (벽돌) 쌓기, 벽돌공 쓰보보리 [壺掘, つぼぼり] <건설> → 구덩이파기, 굿파기 *기둥 동바리 밑둥을 구멍으로 파내는 것 쓰야게시 [艶消し] <건설> → 윤지우기, 광지우기 쓰야다시 [艶出し] <건설> → 윤내기, 광내기 *공사에 있어서 물갈기한 면을 광내게하는 마무리 쓰키가다메 [突固め] → 다짐 *지면을다지거나잡석, 콘크리트를깔고윗면을평평하게다지는것(흙다짐, 잡석다짐, 콘크리트다짐) 쓰키다시[付き出し(つきだし)] → 곁들이 안주 쓰키보 [突き棒] <건설> → 다짐대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 중의 빈틈을 적게하기 위하여 다지는 막대
아나고[穴子(あなご)] → 붕장어, 바다 장어 아나반 [穴板, あなばん] <행정> <건설> → 구멍 철판 아라이다시[洗い出し,あらい-] → 씻어내기 *미장공사에서 인조석 등을 바른다음 바로 솔 또는스프레이건으로 씻어내어마무리하는방법 아라이바 [洗場, あらいば] <건설> → 개수대 아라이자리 [洗い砂利, あらい-] <건설> → 씻은 자갈 *물로 씻어 이토를 제거한 자갈 아라이통 [洗桶, あらい-] <건설> → 설거지통 아미후루이 [網ふるい] <건설> → 망체, 그물체 *골재의체가름에쓰이는모눈을가진망으로된체 아바라킨 [肋筋, あばらきん] <건설> → 늑근, 스터럽(stirrup) *정철근 또는 부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한 복부철근
아시바 [足場, あしば] <건설> → 발판, 비계 *높은곳에서작업할때발판, 재료운반또는위험물 낙하방지등을위해서임시로설치하는가설지지대 아시바 마루타 [足場丸太, あしばまるた] <건설> → 비계목 아시바이타 [足場板, あしばいた] <건설> → 발판널 *비계위에 디디고 다니며 작업할 수 있게 걸쳐놓은 두꺼운 널 아이바 [合端, あいば] <건설> → 맞댐면, 접합면 *층댓돌 끼리의 전면 접촉부 아카렌가 [赤煉瓦, あかれんが] <행정> <건설> → 붉은 벽돌, 빨강 벽돌 아테반 [?て盤] <건설> → 리벳 홀더, 받침판 앙꼬빵[?子(あんこ)-] → 팥(소)빵, 팥(앙금)빵
야네 [屋根, やね] <건설> → 지붕 야네부키 [屋根葺, やねぶき] <건설> → 지붕이기 *기와, 슬레이트, 금속판등의 지붕재료를 지붕에 덮는 것 야리카타 [遣形, やりかた] <건설> → 겨냥 틀 *구조물의위치, 경사등의기준을표시하는가설물 야리나오시 [遣り直し] <건설> → 다시하기, 고쳐하기 야마 [山, やま] <건설> → 산, 두둑, 무더기 야마 [沙汰],사태,<미술> → (톱)날끝<목공예>, 나사등<금속 공예>,<신문> --> 중간막이, <행정> --> 무더기, 날 야마도메 [山止め] <건설> → 흙막이 *흙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림을 막는 공작물 야마스나 [山砂, やますな] <건설> → 산모래 *하천 및 해안등이 아닌곳에서 채취한 모래 야마자리 [山砂利, やまじゃり] <건설> → 산자갈 *산의 암석이 부스러져 생긴 작은 돌 야스리 [?, やすり] <행정> <건설> <미술> → 줄 *금속을 깎는 공구 야스리방 [?-] <건설> → 줄판 야이타 [矢板, やいた] <건설> → 널말뚝<토목>, 흙막이널<건축> *흙막이나 물막이를 목적으로 시공전에 박아넣는 판상(板狀)의 말뚝 야초 [野帳, やちょう] → 측량 장부, 야장,들풀 *측량에서 얻어진 측정결과를 기입하기 위한 일정한 양식으로된 수첩 야키만두[燒饅頭(やきまんじゅう)] → 군만두 양 생 [養生] <건설> → 굳히기
에리 → 옷깃 엔토쓰 [煙突, えんとつ] <건설> → 굴뚝, 연돌 *연기가 수직으로 빠져나가게 된 구조물
오가네 [大矩, おおがね] <건설> → 큰직각자 오구 [烏口] <건설> → 먹줄펜 오뎅[おでん] → 꼬치(안주) 오도리바 [踊り場] → 층계참, 계단참 *층층대의 중간이나 꺾이는 곳에 두어다리 쉼 또는돌아 올라가게 넓고 평탄하게 꾸민 곳 오리마게뎃킨 [折曲げ鐵筋] <건설> --> 절곡 철근, 굽힘 철근 오리자쿠 [折り尺] --> 접(이)자 *몇겹으로꺾어접어휴대하기에편리하게만든자 오마와시, 오바리 [大梁, おおばり] <건설> --> 큰보 *기둥과 기둥에 걸리거나 작은 보를 받는 단면이 큰 주된 보 오비키 [大引き] <건설> --> 멍에 *동바리돌 또는 동바리 기둥 위에 얹어서 장선을 받는 부재 오비킨 [帶筋, おびきん] --> 띠철근, 대근, 후프(hoop) *축방향 철근을 소정의 간격마다 둘러싼 횡방향의 보조적 철근 오사마리 [納まり] <건설> --> 아무림, 맞물림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부재(各部材)가 서로 잘 맞아 들어가는 것 오사에 [押え, おさえ] → 노루발, <건설> → 누름 *고정하거나 눌러 바르는 것 오사에 공구리 [押え コンクリ?ト, -concrete] --> 누름 콘크리트 *방수층 보호를 위해 방수층에 치는 콘크리트 오시[おし(押し)] → 밀어치기 오시다시쓰미 [押し出し積み] <건설> --> 내 쌓기 *벽돌, 돌등을 쌓기면보다 내밀어서 쌓는 것 오시이레 [押し入れ] <건설> --> 반침(半寢) *침구, 의류등을 간수하는 칸 오야가타 [親方, おやかた] <건설> --> 우두머리 오야지 [親爺, おやじ] <미술> <건설> <행정> --> 우두머리, 책임자, 공두(工頭)
오이코시 [追い越し, おいこし] <건설> <행정> --> 앞지르기 와리이시 [割り石] → 깬돌 *석축이나돌붙임등에사용되는형상이쐐기형상으로전면은거의평면이며대략4각형인돌 와리깡 와사비[山葵(わさび)] → 겨자, 고추냉이 와쿠 [?, わく] <건설> --> 틀, 울거미, <미술> --> 틀, 밑틀 *문짝과 같이 짜서 만든 물건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뼈대 요모리 [余盛り] <건설> → 덤돋우기, 더돋기 *제방축조에 있어서 압축 및 침하를 예상하여 계획제방높이이상으로적당한흙쌓기를하는것 요비링 [呼び鈴-ring] <전기> <건설> --> 초인종(招人鐘) 요지 → 이쑤시개 요코 (←요꼬) [橫, よこ] <패션> → 가로, 씨실, <건설> --> 가로, 옆, <미술> --> 가로(붙이기/붙임)<한국화>
우동[??(うどん)] → 가락국수 우라마와시, 우라코메이시 [裏?め石] <건설> → 뒤채움돌 *뒤쪽에 채워넣는 돌, 자갈등 우라코미 [裏?み] <건설> → 뒤채움 *석축이나 옹벽뒤에 잡석과 흙으로 채우는 것 에리 → 옷깃 우마 [馬, うま] <패션> --> 소매/어깨 다림질대, <건설> → 발돋움, 말 *들어 옮길 수 있는 발판대 우메모도시 [埋戾, うめもどし] <건설> → 되메우기 *판곳을 도로 메우는 것 우메타테 [埋立, うめたて] <건설> → 메우기 *우묵한 곳을 메우는 것 우와누리 [上塗, うわぬり] <건설> → 웃바름(칠), 정벌바름(칠) *미장공사에있어서최종의바름공정또는바름층 우치노리 [內法, うちのり] <건설> → 안목, 안치수 *서로맞서는두부재의안쪽에서안쪽까지의거리 우치다이 [うちたい] <건설> → 밀판 우치쓰기 [打繼ぎ] <건설> → 이어치기 *붓기 중지를 한곳에 다시 콘크리트를 붓기 시작하는 것 우치쓰기메 [打繼ぎ目] <건설> → 시공 이음 *콘크리트치기를 일시 중지해야할 때 이미 친 콘크리트와새로치는콘트리트사이에생기는이음 우치코미 [打?み] <건설> → (콘크리트) 치기 *비빈 콘크리트를 소정의 위치에 부어 넣는 것 우케오이 [請負, うけおい] <건설> --> 도급(都給) 우케토리 [請取り] <건설> --> 도맡기, 하도급 우키이시 [浮き石] → (들)뜬돌 *큰바위나 돌이 느슨하게 땅깎기부분 비탈면에 박혀있어서 후일에 빠져나오기 쉬운 돌
윈치방 [←winch方] <건설> → 기중기 조종원 유도리 → 융통성 유카 [床, ゆか] <건설> → 바닥 이가타 (←이가다) [鑄型, いがた] <건설> → 거푸집 이누바시리 [犬走り, いぬばしり] <건설> → 소단, 중턱, 둑턱 *제방에서 비탈의 붕괴를 막기위하여 둑내외의 비탈 중간에 설치한 평단부(平端部) 이다 []→ 이모노 [鑄物, いもの] <건설> → 주물 이모메지 [芋目地, いもねじ] <건설> → 통줄눈, 통사춤 *조적공사에있어서한켜의수직줄눈이바로위아래에있는다른켜의수직줄눈과일직선이되는줄눈 이시쓰미 [石積み] <건설> --> 돌 쌓기 이시와리 [石割り] <건설> --> 돌나누기 *시공에 앞서 석재를 배치하여 보는 것 이치마이 [一枚] <건설> --> 한 장 (쌓기) 이치부베니어 [一分-, -veneer] <건설> --> 3mm 합판, 일푼 합판 이타 (←이다) [板, いた] <건설> <미술> --> 널(빤지), 판(자)
자가고 [蛇籠, じゃかご] <건설> --> 돌망태 자가네 ([座金, ざがね] <건설> → 받침쇠, 와셔(washer), <미술> → 받침쇠, 똬리쇠 *볼트의머리또는너트밑에받쳐대어죔에따라머리나너트가부재에파고들지않게하는볼트의부속품
자다나 <-> 찬장 자동센방 <-> 자동선반 자리 [砂利] <건설> → 자갈,잡석((雜石), *지름 10~30㎝정도의 크고 적은 돌이 섞여 있어 형상이 고르지 못한 돌 자바라 [蛇腹, じゃばら] <행정> → 주름(상자), 주름(대롱), <패션> → 장식끈, <건설> → 돌림띠, 쇠시리, 주름테, <전기> → 주름관, 주름상자 *벽, 천장의 가장자리에서 쇠시리한 재를 가로로 길게 돌려댄 띠
자유조방 <-> 자유정첩 자이료오오끼바 <-> 재료둘곳 자이료오효오 <-> 재료표 짜장면[Zhajiang麵] → 자장면
잔도 <-> 잔토 잣세끼 <-> 잡석 짬뽕[ちゃんぽん] → ① 초마면, 얼큰탕 ② 뒤섞기
쟈가고 <-> 돌망태 *철 또는 대망태 등 속에 호박돌 또는 조약돌을 채워서 호안, 수제에 사용하는 것 쟈리 <-> 자갈 쟈바라 <-> 돌림띠 쟈바라샤워 <-> 줄샤워 절척 [折尺] <건설> --> 접자 정면센방 <-> 정면선반 젠다이 [膳台] <건설> <행정> --> 창선반, 차선반 *창밑 틀에 선반처럼 대는 가로재 젯다이요오세끼 <-> 절대용적
조기 [定規] <건설> <미술> --> 자, 규준대 조기대 <-> 규준대 조반 [丁番, ちょうばん] <건설> --> 경첩 *문틀에 여닫이 문을 달 때 여닫는 지도리가 되는 창호 철물 조방 <-> 정첩 조시 → 몸 상태 조오끼 <-> 증기 조오끼요오조 <-> 증기양생 조오나 <-> 자귀 좌관 [左官] <건설> --> 미장이
죠오 <-> 자물쇠 죠오고오 <-> 배합(配合) 죠오기 <-> 규준대 죠오까쇼오 <-> 정화조 죠오사꾸 <-> 수장(修藏) 죠인또 <-> 이음새
죽척 <-> 대나무자
즈리 [ずり] <건설> --> 버력 *터널 시공에 있어서 굴착이나 발파에 의하여 생긴 토사, 암석의 부스러기 쯔게쯔게 <-> 맞댄이음 쯔기데 <-> 이음새 쯔기보오 <-> 다짐대 쯔까 <-> 동바리 쯔끼가다메 <-> 다짐 쯔끼노리 <-> 손끌 쯔리가나모 <-> 달쇠 쯔리기 <-> 달대 쯔리기우데 <-> 달대받이 쯔리덴죠오 <-> 반자 쯔리아시바 <-> 달대비계 쯔리히모 <-> 고패줄 쯔미오로시 <-> 싣고부리기 쯔야게시누리 <-> 무광칠 쯔야다시 <-> 광내기 쯔이다 <-> 줄눈대 쯔이다데 <-> 가리개 쯔이쯔가고야구미 <-> 쌍대공
지기리 <-> 은장 지나라시 [地均し] <건설> --> 땅고르기 *지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것 지도리 <-> 엇모 지리 <-> 벽흠 지리[汁(じる)] → 싱건탕 지미쓰 <-> 치밀 지방 <-> 지반 찌라시(지라시)[ちらし(散)] → 선전지, 낱장 광고
진조오세끼 <-> 인조석 진조오세끼고다다끼 <-> 진죠오세끼누리쯔게 <-> 진죠오세끼도끼다시 <-> 진죠오세끼아라이다시 <-> 진카 [沈下] <건설> --> 침하, 가라앉음 *지반, 말뚝 등이 내려앉는 현상
청부 <-> 도급 초자 <-> 유리 측창 [側窓] <건설> --> 곁창
카이 <-> 열쇠 카프 <-> 마개 캇다 <-> 절단기 콘베아 <-> 컨베이어 쿠사리 → 면박‘ 또는 ‘핀잔 쿠사비 <-> 쐐기 큐승 <-> 9치 크로스타이 <-> 십자잇기 티가다 <-> T형틀
파내루 <-> 판넬 파이버 (←화이바) [fiber] <패션> --> 섬유, <행정> --> 안전모, <건설> --> 안전모 파이푸 <-> 장횃대,관 팬 [fan] <생활외> --> 애호가 <패션> --> 부채, <건설> <행정> --> 환풍기, 송풍기
하가네 <-> 강,강철 하게구찌 <-> 배출구 하게누리 <-> 솔칠 하께 <-> 솔 하께비끼(시아게) <-> 솔질마감 하꼬 <-> 상자 하꼬가나모노 <-> 감잡이쇠 하꼬방 <-> 판자집 하꼬조오 <-> 함자물쇠 하나가꾸시 <-> 처마돌림 하라끼 <-> 여닫이 하라오꼬시 <-> 여장 하라이시 <-> 돌붙임 하리 [梁, はり] <행정> <건설> → 보(梁) *재축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부재의 총칭 하리가네 [針金, はりがね] <건설> <전기> --> 철사(鐵絲), 철선 하리시바 [張芝] <건설> --> 평떼 하리이시 [張石] <건설> --> 붙임돌, 돌붙임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석재를 붙이는 것 하바 [幅, はば] <건설> <신문> --> 폭, 나비, 너비 하마스 <-> 벽돌의반토막 하바 <-> 폭,나비 하바키 [幅木] <건설> --> 걸레받이, <미술> --> 굄, 괴개 *마루와 벽의 접촉부 벽측에 구성하여 파손, 오염등에 대비하는 부분(목재 또는 모르터바름 테라조 붙임 등으로 함) 하시고바리 <-> 사다리보 하시고바시라 <-> 사다리기둥 하시꼬 <-> 사다리 하시라 [柱, はしら] <건설> --> 기둥 하시라와리 [柱割り] <건설> --> 기둥나누기 *평면계획에 있어 기둥의 위치를 정하는 것. 기둥벼르기 하아고오섹게이 <-> 배합설계 하이고 [配合] <건설> --> 배합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만들 때 각 재료의 비율 하이고오교오도 <-> 배합강도 하이낑 <-> 배근 하이킨 [配筋] <건설> --> 배근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을 배치하는 것. 철근벼르기 하찌마끼 <-> 테두리보 하찌인찌부로꾸 <-> 8인치블록 하케누리 [刷毛塗り] <건설> → 솔칠 *솔을 사용하여 칠하는 것 하코 (←하꼬) [箱, はこ] <건설> <미술> <행정> → 상자, 갑, 곽, 궤짝 하코마와시, 하코방 (←하꼬방) [箱-, はこ房] <행정> <건설> → 판잣집 하코자쿠 [函尺] <건설> → 함척 *측량등에 사용되는 수직으로 세우게 된 자 하코조 [箱錠] <건설> → 함자물쇠 *자물쇠를 작은 상자에 장치하여 문짝에 파넣거나 울거미 표면에 붙여대는 자물쇠 하타가쿠 [端太角] <건설> → 띠장재 하후이다 <-> 박공널
한다 [半田] <건설> → 땜납 한다고데 <-> 납땜인두 한다스께 <-> 납땜 한다ㅉ즈기데 <-> 납땜이음 한도루 <-> 바아밴더 한도메 <-> 반연귀 한마이 [半枚, はんまい] <건설> → 반장 (쌓기) 한마키 [-まき] <건설> → 한 말이 한바 <-> 밥집,가처소 한사이 <-> 1재
함마 (←한마) [ハンマ?, hammer] <건설> → (큰) 망치, 해머,쇠메, 함마이쯔에 <-> 반장쌓기 함마키 (←한마키) [半卷き] <건설> → 반말이 함바 [飯場, はんば] <건설> → 현장 식당 합바 <-> 발파 합빠 <-> 조각유리 핫빠리 <-> 담김공 핫승 <-> 8치
헤라 <-> 주걱 헤(이)베(이) [平方米, へいほうメ?トル, ヘ?ベ?] <행정> <건설> → 제곱미터(m²), 평방미터
호꾸낑 <-> 부근 호네구미 [骨組, ほねぐみ] <건설> → 뼈대, 골조 *여러 부재를 조성하여 꾸민 건물의 주요구조체 호로 [幌, ほろ] <행정> <건설> → 덮개, 포장 호리가다 <-> 터파기 *기초공사를 위하여 파는 굴착 호리가타 [堀型, ほりがた] <건설> <행정> → 골파기, 터파기(틀), 땅속틀 호리꼬미히끼데 <-> 오목손걸이 호소 <-> 장부 호오교오야네 <-> 모임지붕 호오즈에 <-> 버팀대 호조미조 <-> 가는홈 호조사미 <-> 장부맞춤
혼다나 <-> 책상 혼다데 <-> 책꽂이 혼다테 (←혼다데) [本立, ほんたて] <행정> <건설> → 책꽂이 혼바꼬 <-> 책장 혼바시라 [本柱, ほんばしら] <건설> → 본기둥 혼아시바 [本足場, ほんあしば] <건설> → 쌍줄 비계 *비계기둥을 전후 두줄로 세운 비계 홈마키 [本卷き, ほんまき] <건설> → 원말이 홍아시바 <-> 쌍줄비계
효오준후누이 <-> 표준채
후꾸코오 <-> 라이닝 후끼쓰께 <-> 뿜기 후끼쓰께누리 <-> 뿜어바르기 후끼칠 <-> 뿜칠 후노리 <-> 해초풀 후란스오도시 <-> 민고두꽂이쇠 후란지 <-> 플랜지 후레도메 <-> 대공밑잡이 후로링 <-> 플로어링 후루이 분세키 [篩分析, ふるいぶんせき] <건설> → 체가름 *체를 사용해서 입도분석을 하는 것 후루이 와케 [篩分け] <건설> → 체가름,체질 *골재를 체로 치는 일 후리도바 <-> 문틀홈 후미즈라 <-> 디딤바닥 후미키리 (←후미끼리) [踏切, ふみきり] <행정> <건설> <전철> → 건널목 후세즈 <-> 평면도,지붕평면도 후시도메 <-> 옹이땜 후안 → (팬) 환풍기,송풍기 후앙 [ファン, ←fan] <건설> <행정> → 환풍기, 송풍기 후치이시 [緣石] <건설> → 연석, 갓돌, 턱돌 *도로의 한 부분으로 포장 또는 길섶의 연선(沿線)혹은 보도나 분리대와 차도와의 경계에 연접하여 설치하는 경계석 후키쓰게 [吹き付げ] → 뿜질, 뿜칠, 뿜어붙이기 *미장재료 또는 도장재료를 압축공기로 뿜어내어 바르거나 칠하는 것
훅꾸 <-> 갈고리 훈도우 <-> 분말도 훈마쓰도 <-> 테 훗고 [覆工] <건설> → 안쪽바르기, 라이닝(lining) *터널의 주위를 콘크리트 등으로 둘러싸는 일. 안쪽씌움 훗찌 <-> 돌길이 훗쿠 [フック, ←hook] <건설> → (갈)고리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을 구부린 부분
흔바시라 [] → 본기둥
히기다시 <-> 외미닫이 히까에 <-> 버팀기둥 히까에바시라 <-> 대기실 히까에시쯔 <-> 안옥음 히꼬미 <-> 처반죽 히꾸이 <-> 서랍 히끼도 <-> 쌍미닫이 히끼와께 <-> 미서기 히끼찌가이 <-> 미서기문 히끼찌가이도 <-> 미서기창 히네리(히네루)[ひねり(捻り)] → 틀어치기 히라 <-> 면.벽돌의 히로고마이 <-> 평고대 히사시 [廂·庇, ひさし] <건설> → 차양(遮陽),채양 *햇볕이나 낙수물 등을 피하기 위하여 널, 함석등으로 처마밑 지붕 끝에 이어 만든 좁은 지붕모양의 구조체 히즈꾸리 <-> 화조 히카에 [控, ひかえ] <행정> → 부본(副本), 덧본, <건설> → 뒷길이 *층대돌이나 깬돌의 앞쪽에서 뒤쪽까지의 길이 히키[ひき(引き)] → 끌어치기 힛카케(시카키))[ひっかけ(引掛け)] → 걸어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