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주요 내용 | |
목표 |
지금까지의 도시개발 방식을 지양하고, 교외화 현상이 시작되기 이전의 인간적인 척도를 지닌 근린주구가 중심인 도시로 회귀하는 것 | |
계획의 전제 |
ㆍ교외화 현상이 시작되기 이전의 인간적인 척도를 지닌 근린주구 중심의 도시로 회귀 | |
주요 원칙 |
도시에너지 소비절감( Newman and Kenworthy, 1988) 토지이용의 효율화와 통행량 감소(Gordon and Rochadson, 1999) 보다 나은 정주형태의 설계(Duany, 1991; Calthorpe, 1993) | |
설계기법 |
계획원리 |
목표 |
ㆍ보행 및 대중교통 중심계획 ㆍ편리한 대중 교통체계 구축 ㆍ복합적인 토지 이용(Mixed Use) ㆍ다양한 주택유형의 혼합 ㆍ건축 및 도시설계 코드의 활용 ㆍ고밀도 개발 ㆍ녹지공간의 확충 ㆍ차량사용의 최소화 |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보행도로 조성 차도 및 보행공간의 연결성 확보 복합적이고 다양한 토지이용 다양한 기능 및 형태의 주거단지 조성 건축물 및 도시설계의 질적 향상 지역공동체를 위한 거점공간의 마련 효율을 고려한 토지이용 밀도의 조정 생태계를 토대로 한 지속가능성의 고려 삶의 질적 향상 도모 |
5) 뉴어바니즘 적용 미국 도시 사례
미국의 대표적인 도시와 그 특징은 뉴어바니즘의 원칙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됨
뉴어바니즘 원칙 : 커뮤니티 규모계획, 기존경관보호, 녹지확보 등의 설계원칙 등
구분 |
내용 |
시사이드 |
ㆍ다양한 용도의 시설이 공존 ㆍ주요시설에는 도보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적당하게 스케일감 부여 ㆍ지역성 고려 ㆍ환경적 요소 감안 |
마이즈너 파크 |
ㆍ미국풍의 독특한 건축물 ㆍ기존경관 보호(간판, 건축물 규제) ㆍ중심지의 부재(다운타운이 없음)→‘마이즈너 파크’계획 수립 : 중앙녹지, 그 양쪽ㆍ에 일방통행 차로와 공폭보도 설치, 이와 평행하게 아케이드 달린 쇼핑가 배치 구상 |
셀레브레이션 |
ㆍ디즈니가 꿈꿔온 미래의 도시 ㆍ부지 전체의 절반가량을 보전 ㆍ도시 내부 서비스용 차량은 전기 자동차 ㆍ외관규제(남동부 전통적 도시 스타일 답습) ㆍ‘도시 가꾸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제공 ㆍ입주예정자 교육, 주민 커뮤니티 활동지원, 관리조직을 주민에게 이양, 타운 내 인트라넷 구축 |
더 크로싱 |
ㆍ쇼핑센터 이전적지 ㆍ커뮤니티를 도보권내로 아담한 규모로 계획 ㆍ대중교통 중심, 이들을 철도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TOD, Park & Ride 활용) ㆍ다양한 주거형태 혼합(단독 + 타운하우스 + 중층 콘도미니엄) |
빌리지 홈즈 |
ㆍ자족적 이전적지 ㆍ자전거 녹도 중심 ㆍ자동차 노선의 분리(래드번 시스템 채택) ㆍ주민활동 지원(Social Mix 차원) : 공공관리·공동작업 기회 마련 ㆍ환경관리·보전 ㆍ환경공생(주택 내 태양온수장치 설치) |
1. 뉴어바니즘(New Urbanism)
구분 |
내용 | |
목표 |
대중교통과 보행자 중심의 계획을 통해 접근성을 확보하고, 복합용도의 근린주구를 형성하여 커뮤니티 증진을 모색하고자 함 | |
배경 |
인간성 상실, 공동체 의식 약화, 인종과 소득계층별 격리현상, 범죄 확장이 자동차에 의존한 도시 확산에 그 원인이 있다고 주장 | |
도시문제 |
신전통주의 사상 | |
ㆍUrban Sprawl(도시확장)에 대한 저항 ㆍModernism에 반한Postmodernism의 등장 ㆍMXD(복합용도개발)의 요구 증대 |
ㆍGarden City(전원도시)로의 회귀 ㆍ전통적 미국 타운에 대한 향수 | |
기본 원칙 |
ㆍ압축된 성장한계 설정 ㆍ대중교통 보행거리 내에 용도 배치 ㆍ목적지별 직접 연결된 보행체계 ㆍ도시의 다양성을 추구 |
ㆍ생태계 및 오픈스페이스 등을 보존 ㆍ공공장소의 활용성 제고 ㆍ재개발은 대중교통의 축선상 위치 ㆍ혼합토지이용 장려 |
규모 |
목표 | |
ㆍ보행 가능한 가로(Walkable Streets) ㆍ다양한 용도 및 다양한 사용자 ㆍ조밀한 밀도(Fine Grain)와 스케일 |
ㆍ인간성 회복 ㆍ삶의 질적 향상 ㆍ사회영역, 공적영역의 조화 |
2. 고전적 설계원칙의 흐름
1) 뉴어바니즘에 영향을 준 계획·설계 사조
초기 계획이론가들인 하워드의 전원도시, 페리의 근린주구, 알렉산더의 점진주의, 옴스테드의 도시미화운동, 게데스의 지역계획 등의 사상에서 유래
2) 고전적 설계원칙과 뉴어바니즘의 비교
계획사상가와 이론 |
고전적 설계원칙 |
뉴어바니즘 |
하워드의 전원도시 |
ㆍ사람의 이동거리를 기본 ㆍ풍부한 공공용지 ㆍ대중교통중심 ㆍ대중교통으로 지역연결 ㆍ도시경계부에 녹지띠를 설치 |
ㆍ도보권 중심의 설계 ㆍ사적 공간에 우선하는 공공용지 확보 ㆍTOD(대중교통중심개발) ㆍ지역 간 대중교통 연계체계 ㆍ도시 경계부의 녹지(오픈스페이스) 확보 |
페리의 근린주구 |
ㆍ도보권에 의한 계획단위 ㆍ물적환경 개선 통한 사회적 커뮤니티 재생 |
ㆍ도보권 단위의 설계 ㆍ커뮤니티 단위의 생활권 ㆍ근린주구 중심의 커뮤니티 센터 |
도시미화운동 |
ㆍ건물외관과 도시의 조화 ㆍ시빅센터 ㆍ커뮤니티 의식 |
ㆍ복고풍 건물외관 ㆍ강한 커뮤니티 센터의 형성 ㆍ커뮤니티 공동체 의식 |
3. 페리의 근린주구(N.D)
1) 개념
근린주구이론 : 상실된 커뮤니티 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물리적 규모의 주택단지계획
계획의 한 단위를 사회학적 개념의 주거단지
어린 아동들이 위험한 큰 도로를 건너지 않고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초등학교에 통학할 수 있는 단지규모의 물리적 주거생활 환경을 의미
2) 근린주구 이론의 등장배경
대도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주변에 계획적으로 배치한 소도시를 건설
도시화로 전통적 Town의 생활양식 급속히 상실(Community Disorg-anization)
도시근교에 교외주택단지를 통해 신흥중산층이 미국적 커뮤니티재건을 도모
3) 주요원칙과 계획 및 설계기법
목표 |
주요 내용 |
커뮤니티형성을 위한 요소 |
교통유형 및 강도, 생활편익시설의 서비스 제공 수준, 주택유형 및 주거밀도, 거주기간, 직장과의 거리, 자녀수 |
계획 및 설계기법 |
규모 : 초등학교 1개소가 구성되는 면적과 인구밀도 경계 : 주위를 간선도로로 둘러싸고 통과교통을 배제 공지 : 소공원과 Recreation 용지를 체계화 공공용지 : 학교 및 공공시설은 지구중심에 일단으로 배치 지구점포 : 1개소 이상의 상점지구를 교차지점에 배치하고 인접상점지구와 근접 내부가로체계 : 가로망은 교통량에 비례하고, 지구내 교통을 용이하게 함 |
4. 대중교통중심개발(TOD)
1) 개념
대중교통지향형 개발로 대중교통, 자전거, 도보 등을 이용하여 주거·상업·공공시설에의 접근성을 제고
교외화에 의한 평면적 확산을 억제, 자원절약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도시계획·설계기법
압축도시(Compact City), 뉴어바니즘에서 유래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위주의 도시개발과 시가지 확산 문제
미국, 1993, Peter Caltorpe 저서(The next American Metroplolis)
대중교통, 녹색교통 위주의 통행 패턴으로 변화 필요
자동차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에너지 소비 축소, 무분별한 도시 확산 억제 필요성 제기
3) 주요원칙과 계획 및 설계기법
목표 |
주요 내용 |
주요 원칙 |
고밀, 대중교통 역세권 중심 개발 대중교통, 정류장으로부터 보행거리 내에 상업·업무·공공시설 등을 혼합배치(600) 지역 내 목적지간 보행친화적인 가로망 구축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이나 수변지 등 양호한 공지의 보전 주택 유형, 밀도, 가격의 혼합배치 공공공간을 근린생활의 중심지로 배치 대중교통 노선을 따라 재개발 촉진 |
계획 및 설계기법 |
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의 연계 TND, MXD 입체도시개발 대중교통 수요량에 따른 탄력적 토지이용제도 운영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운영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 조성 자전거 교통 활성화 및 보급 확대 |
4) 근린주구와 TOD의 비교
구분 |
기존 근린주구이론 |
TOD 이론 |
커뮤니티 크기 |
반경 400m |
반경 600m(10분 거리) |
근린의 밀도 |
20~25세대/ha |
45세대/ha |
커뮤니티 중심 |
초등학교 |
대중교통환승역(커뮤+상업) |
토지이용구성 |
용도 분리 |
용도 혼합(가로활성화) |
주요 이동수단 |
자동차 |
보행(대중교통에 의한 지원) |
가로ㆍ블록체계 |
슈퍼블록(쿨데삭) |
중규모블록 / 그리드 |
가로기능 |
보차분리 |
보차혼용(보행자우선가로) |
주택 유형 |
유형간 분리 |
유형, 밀도, 계층, 혼합 |
5.어반빌리지(Urban Village)
1) 개념
과거 인간적이고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도시의 구성수단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복합적 토지 이용 지향, 도시 속 마을의 특징을 가지는 지역 건설을 목표로 지속 가능한 개념을 포함하여 오픈 커뮤니티 형성을 지향함
2) 배경
모더니즘의 대안으로 쾌적하고 인간적인 스케일의 도시환경 건설을 위함
1989년 영국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찰스 황태자의 영국건축비평서가 출발점이 됨
3) 내용
복합적인 토지이용
도보권 내 초등학교, 공공시설 및 편익시설 배치
융통성 높은 건물계획
보행자 우선계획
적정개발규모(40ha, 300~5,000인)
지역특성을 반영한 고품격 도시 및 건축설계
다양한 가격, 규모의 주거유형혼합
지속가능한 커뮤니티환경 조성
4) 뉴어바니즘(New Urbanism)과 어반빌리지(Urban Village)의 비교
설계원리 |
뉴어바니즘 |
어반빌리지 |
압축도시 |
적용 도시 |
미국 교외지역 (플로리다주 시사이드, 새클라멘트의 라구나 웨스트) |
영국 런던의 도크랜드 (웨스트 실버타운), 파운드베리) |
유럽도시 (프랑크푸르트, 프라이베르그) |
사회계층 |
다양한 사회계층, 연령층의 공존 |
계층별 섞임(social mix) 중저소득층에 주택 공급 |
- |
토지 이용 |
용도 및 기능의 섞임 |
복합개발 |
토지이용 및 건물의 복합화 |
인본주의 |
인간적 척도 도입 |
휴먼스케일 중시 |
- |
개발밀도 |
다양한 주거 유형 혼합적 밀도에 의한 개발 |
주거밀도의 다양성 확보 |
도심부 고밀도 개발 도심부고층물 위주의 업무·상업지역의 개발 |
접근성 |
도시 내 시설간의 교류를 도보로 접근 |
도보권 도시 |
도심부 보차공존도로 특색 있는 건물 |
교통 |
도시 내부 서비스 차량 전기자동차(셀레브레이션) 자동차 노선 분리 park and ride |
대중교통 도보 장려 |
대중교통중심개발( TOD) 자가용억제 경전철(LRT)도입 |
에너지 |
에너지 절약형 주거단지 환경공생(주택 내 태양온수장치) |
에너지 소비 절감 주택자재 사용 (그린이치 밀레니엄 빌리지) |
에너지절약소재 이용 경전철(LRT)등의 이용을 통한 에너지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