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1003촉매.hwp
촉매 la Catalyse, ang. catalyst, 觸媒,
Petit Robert 1, 1986. p. 265.
1838년 영어로 캐털리시스(catalysis)이며, 1836년 그리스어 카탈뤼시스(katalusis)에서 나왔으며 불어 의미로 융해(dissolution)이었다.
[fr.위키: 1836년 스위스 화학자 베르젤리우스(J nes Jacob, baron de Berzelius, 1779-1848)가 그리스어 카타뤼에인(cataluein)으로부터 카탈리즈(촉매)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그는 전기화학의 이원론을 만들었다. 그는 많은 단순체들을 얻어냈는데, 1817년 그 중 하나인 셀레늄(Selenium, Se, 원소번호 34)이라는 화학물질을 빛에 비추면 전자가 방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화학용어에서 : 어떤 기질(substance)의 효과로서 자기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화학적 반작용이 (가속도가 붙어)일어나는 변모(modification)를 말한다.
촉매작용하다. catalyser
이 타동사는 1842년에 쓰였다. 1. 반작용에서 촉매처럼 작용하는 것, 수은은 알루미늄의 산화(oxydation)의 촉매이다. 참조 촉매제(catalyseur). 2. (v. 1950) 단일 현전 속에서 반작용를 촉발하게 하는 것.
촉매제(le catalyseur)
1906년 촉매 작용하다는 동사로부터 나왔다. 촉매[융해]를 일으키는 기질(substance)을 말한다.
효소 une enzyme, ang. enzyme, 酵素,
Petit Robert 1, 1986. p. 666.
1878년에 쓰인 용어이며, 그리스어 엔(en)은 안에(dans)라는 뜻과 쮜메(zum )라는 누룩(levain)이란 뜻의 합성어이다. [영어 'in yeast'] ]
생화학에서 : 생화학적 반작용을 쉽게 하고 또 증가하게 하는 단백질 기질(substamce)이며, 접미어 아즈(-ase)로 쓰인다. 살아있는 생리학적 과정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별한 효소의 수는 매우 많다. Diastase, ferment, zymase와 동의어이다.
참조: 효모(yeast, 酵母)란 김치, 된장, 막걸리, 빵, 맥주, 포도주 등 발효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로,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의 총칭이다.
(43N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