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2. 관악교회 대학생 성경공부 4회
골로새서 개관
저자
l 골로새서는 빌레몬서와 내용상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 에바브라가 공통적으로 언급된다.
l 두 책은 같은 저자에 의해 기록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빌레몬서가 바울에 의해 작성되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따라서 골로새서도 바울의 저작이라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l 골로새서와 빌레몬서의 신학과 문체의 차이를 들어 저자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다.
n 골로새서에 ‘철학’, ‘천사 숭배’ 등 빌레몬서와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골로새 교회의 독특한 정황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골로새서의 내용은 바울의 전체 사상과 조금도 어긋나지 않는다.
n 골로새서와 빌레몬서의 문체가 조금 다른 것은, 빌레몬서는 기본적으로 잘 아는 대상을 향해 친밀한 문체로 쓰여진 반면, 골로새서는 좀더 격식을 갖추어 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록 시기와 장소
l 골로새서는 에베소서, 빌립보서, 빌레몬서와 함께 바울 사도가 로마 감옥에 수감되었을 당시 쓰여진 편지로 알려져 있다. (에빌 골리몬 감옥간다!)
l 이 견해에 따르면 골로새서는 바울 사역의 후반기인 주후 60-61년 경에 로마에서 쓰여졌을 것이다.
수신자
l 골로새는 소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도시이다. 항구 도시인 에베소에서 리쿠스 강을 따라 상류로 180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l 골로새는 내륙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당시 주요 교통로는 해로(海路)였으며, 해안에 위치한 도시들이 주로 발전했다. 골로새는 그리 발전된 도시는 아니었다.
l 사도행전이나 요한계시록 등 다른 문헌에서도 골로새에 대한 내용은 발견되지 않는다.
l 당시 골로새 교회는 교회 바깥에서 들어온 ‘철학’으로 인해 신앙에 위협을 받았다. 사도 바울은 이 문제에 답하고자 서신을 작성하였다.
n 철학이라는 표현을 쓴 것으로 보아 이는 기독교 이단은 아니었으며, 전혀 다른 종교 내지는 세속 철학 조류였을 것이다.
n 이 ‘철학’은 그리스도의 절대성과 충분성을 약화시키는 가르침을 폈던 것 같다. 골로새 교인들을 금욕주의와 율법주의, 신비체험으로 이끌었다.
주요 내용
l 그리스도의 완전하심: 교회 안에 유행하는 거짓 가르침에 맞서 그리스도의 완전하심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1장 15-20절에서 긴 분량으로 그리스도의 신성을 설명한다. 2장 9-15절에서는 그리스도께서 우주 만물을 다스리심을 선포한다. 그 외에도 많은 부분에서 그리스도의 탁월하심에 대해 증거한다. 그런 점에서 골로새서는 그리스도에 대해 가르치는 신학적으로 중요한 서신으로 취급된다.
l 사도의 모범 기도문: 1장 9-14절에서는 골로새 교회를 향한 바울 사도의 긴 기도문이 제시되어 있다. 이 기도문은 우리가 섬기는 다른 성도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를 가르쳐 주는 좋은 모범이 된다.
l 그리스도인의 생활 윤리: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자로서 그리스도인이 어떠한 생활 태도로 살아야 할지가 3장 1절부터 4장 6절까지 긴 분량으로 제시된다. 육신의 정욕을 죽이는 일반적인 가르침부터 시작하여, 인간관계에서의 태도, 가정 생활, 직장 생활, 직분자를 위한 기도, 바른 언어생활 등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개요
1. 첫인사 (1:1-2)
2. 골로새 교회를 향한 감사와 기도, 찬송 (1:3-23)
3. 거짓 가르침에 속지 말고 그리스도 안에서 바로 서라 (1:24-2:23)
4. 그리스도인의 윤리 (3:1-4:6)
5. 끝인사 (4:7-18)
주제 탐구 1.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은 무엇을 말하는가? (1:24)
l 그리스도가 당하신 십자가 고난에 부족이 있지는 않다. 성경은 그리스도께서 자기 몸을 단번에 드리심으로 우리가 거룩함을 얻었고, 더 이상의 희생 제사는 필요 없다고 분명하게 선언한다. (히 7:27)
l 사도는 ‘너희(교회)를 위하여 받는 괴로움’을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이라고 칭한다. 그리스도를 위하여 또는 그리스도 때문에 당하는 고난을 ‘그리스도의 고난’이라고 한다.
l 교회의 사역자와 성도들이 당하는 고난이 곧 그리스도의 고난이다. 성도들은 고난을 통해 그리스도와 연합된다. 그리스도께서는 고난당하는 성도들과 온전히 함께 하신다.
l 사도는 교회를 위하여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자기 육체에 채운다. 이것은 교회가 받아야 할 고난에 일정한 분량이 남아있다는 말처럼 들리기도 한다. 사도는 자기가 먼저 고난당함으로써 다른 사람이 혹시 받을지 모를 고난을 덜어주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낸다.
주제 탐구 2. 골로새 교회에 들어온 거짓 교사들의 정체가 무엇인가?
l 거짓 교사들은 음식이나 절기에 관한 율법 규정들을 준수하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골로새 교인들을 비판했다. (2:16) 이들은 유대교 율법을 준수하는 자들이다.
l 거짓 교사들은 꾸며낸 겸손, 즉 외식적으로 행하는 금식을 행했다. 또한 천사 숭배를 강조했다. (2:18, 23)
n 이 천사 숭배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 많은 논의가 있다. 당시 소아시아 지역에 유행하는 컬트 종교의 영향을 받아 영적 존재를 숭배하는 샤머니즘이라는 견해가 있다.
n 하지만 이들이 실제로 그리스도가 아니라 천사를 숭배하는 자들이라면 이것은 제1계명을 어기는 것으로 기독교 신앙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범죄이다. 바울 사도는 훨씬 더 강력한 어조로 이들을 정죄했을 것이다(참고. 고전 16:22; 갈 1:8-9).
n 하지만 오늘 본문에서 이들에 대한 비판의 강도는 그리 높지 않다. 이들의 문제는 자신의 행위를 과장하고 머리 되신 그리스도를 제대로 붙들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2:18-19).
n 또한 이러한 해석은 이들이 유대교 율법을 준수하는 것과도 조화되지 않는다. 천사를 숭배하는 이교적 행위는 유일신을 숭배하는 유대교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다.
n ‘천사들의 숭배’라는 구절을 ‘천사들을 숭배’(목적어적 속격)라고 해석하기보다 ‘천사들이 숭배’(주어적 속격)로 해석하자는 견해가 설득력 있다. 즉, 이들은 천사들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환상을 보는 신비 체험을 매우 중시하는 세력으로 이해하는 것이 골로새서의 전반적 내용에 잘 부합한다.
l 종합하자면, 이들은 유대교의 금욕적 신비주의 종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기독교인들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더하여 율법의 의무와 천사들의 예배 환상을 목격하는 신비 체험을 중시하는 혼합주의자들이었다. 아마도 이들이 주장한 금식과 고행 등의 금욕은 천사들이 예배하는 환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력한 수단이었을 것이다.
본문 토론: 골로새서 1:9-14
1. 9-11절에서는 ‘충만함’이라는 단어가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9절, 채우게) 골로새서에서 충만함이라는 단어가 여러 군데에서 사용됩니다. (1:19, 1:25, 2:9, 2:10, 4:17) ‘충만함’이 언급되는 구절들을 찾아보고 이 내용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생각해 보세요.
2. 12-14절에서는 하나님께 감사하라고 합니다. 여기서 사도 바울의 감사 제목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세요.
3. 오늘 본문에 비추어 볼 때 우리의 기도 생활은 앞으로 어떻게 발전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