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시인님의 시 '여우난골족'을 만납니다. 설날 명절에 따뜻한 가족의 품, 그 목소리와 체온이 그리워지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여우난골족' 읽기
여우난골족(族)
- 백석(1912~1995, 평북 정주)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 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접을 잘 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뽁운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 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기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 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릇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 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 백석 시집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시와사회 편집부 엮음, 시와사회 발행, 1997년 초판, 2003년 개정 1판) 중에서
2. 여우난골족의 설명절을 찍은 '다큐'
시 '여우난골족'은 백석 시인님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시입니다. 1935년 12월 「조광」에 처음 발표됐고, 1936년 나온 시집 「사슴」에 첫시 '가즈랑집'에 이어 두 번째 시로 실렸습니다.
'여우난골족' '가즈랑집'은 모두 시인님의 고향 이야기입니다. 고향이 수원 백 씨 집성촌인 평북 정주군 갈산면 익성동입니다. 이곳이 '여우난골', 바로 시인님의 태반이자 둥지이네요.
시집에 실린 제목은 '여우난곬족'입니다. '여우난골의 가족'이라는 말이네요. 여우가 출몰할 정도로 외진 산골짜기에 사는 가족이네요. 이들은 설날 명절을 어떻게 보냈을까요?
한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 같은 시입니다. 다큐 제목을 '여우난골족의 설명절 풍경' 정도로 할까요? 그 따뜻한 다큐 속으로 들어가 명절 분위기를 만끽해 봅니다.
참, 위에 소개된 시의 원문에는 끊어 읽기를 위한 쉼표가 없습니다. 좀 더 쉽게 읽히도록 '독서목욕'이 쉼표를 찍으며 읽겠습니다.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 백석 시 '여우난골족' 중에서
'큰집'. 여기가 시인님의 둥지네요. 친할머니(진할머니) 친할아버지(진할아버지)가 계신 '큰집'이 이번 다큐 영화의 무대입니다.
'나'는 어린 백석입니다. 예닐곱 살쯤 되었겠지요? '나'는 엄마 아빠를 따라간다고 해놓고,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간다고 하네요. '나'와 강아지와의 따뜻한 유대가 느껴지네요. 명절에 큰집에 간다고 신이 났네요. 두발을 차례로 앙감질 하면서 걷는 아이와 꼬리를 흔들며 그 뒤를 따라가는 강아지가 보이는 것만 같네요. 다정하고 다정한 가족 나들입니다.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 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접을 잘 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
- 백석 시 '여우난골족' 중에서
2연은 다큐의 등장인물 소개입니다. 백석 시인님의 친척, '여우난골족' 20여 명이 등장하네요. 인물 특징을 콕 집어 성격과 사람됨됨이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한 시인님의 솜씨 좀 보셔요.
첫 번째는 신리에 사는 고모(고무)에 대한 묘사입니다. 천연두를 앓았는지 얼굴에 별자국이 있고요, 말할 때마다 눈을 껌벅거리고요, 하루에 베 한 필을 짤 정도로 부지런한 고모라고 하네요.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이 표현은 그 표정이 눈앞에 보이는 듯 생생하네요.
다음은 토산에 사는 고모 등장입니다.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 후처가 되었다 하고요, 화를 잘 내는 편이고요, 피부는 매감탕처럼 까무잡잡하다고 하네요. 매감탕은 엿을 고고 남은 진한 갈색의 단물입니다. 그런데 입술과 젖꼭지는 피부보다 더 까맣다고 하네요. 예전에는 가슴을 다 드러내놓고 아기에게 젖을 먹였으니 젖꼭지 묘사가 별일일 리 없겠네요.
그다음은 큰골에 사는 고모네요. 과부라고 합니다. 일찍 홀로 되어 '혼술'을 많이 했을까요. 코끝이 빨갛다고 하고요, 언제나 흰옷을 단정히 입는 고모입니다. 그러나 홀로 3명의 자식을 키우느라 그런지 서러움이 많은 고모네요. 말끝마다 눈물을 짤 때가 많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는 삼촌 등장입니다. 이 삼촌은요, 술에 많이 취하면 토방돌을 뽑는다고 하네요. 토방은 방에 들어가는 문 앞에 좀 높이 편평하게 다진 흙바닥인데요, 술 취하면 거기 있는 돌(섬돌)을 뽑은 전력이 있는 삼촌이네요. 그렇지만 이 삼촌은 배나무접도 잘하고 오리치(오리 잡는 올가미)도 잘 놓고, 반디젓(밴댕이젓갈)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이 가족에게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존재입니다.
저마다 사연이 절절하고요, 누구나 한 두 가지 단점도 있네요. 우리 주변에 흔히 만날 수 있는 평범하고 소박하고, 또한 다정한 인물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