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반야바라밀경
제1분, 법회가 열린 인연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 사위국기수급고독원에서 천이백오십 인의 큰 비구 제자들과 함께 계시었다.
이날도 세존께서는 공양시간이 되자 가사를 입으시고 발우를 드시고 사위성에 들어가시어 한집, 한집 차례대로 밥을 빌어 마치시고 본 곳으로 돌아오시어 공양을 마치시고 의발을 거두시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제2분, 수보리가 법을 청함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바른쪽 어깨에 옷을 벗어 메고 바른쪽 무릎을 땅에 꿇어 합장 공경하면서 부처님께 사뢰었다.
"거룩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두루 잘 보살펴 주오시며 모든 보살들에게 언제나 잘 당부하여 맞기시나이다. 세존이시여 선남자선여인들이 부처님세계에 들려는 마음을 내었다면 마땅히 그 마음을 어디에 머물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받으오리까?”
부처님께서 이르셨다.
“착하고착하도다 수보리야, 참으로 네 말과 같아서 여래는 모든 보살들을 두루 잘 보살피며 모든 보살들에게 언제나 잘 당부하여 맡기시니라. 너 자세히 들어라. 이제 마땅히 너를 위하여 설하리라. 선남자선여인들이 부처님 세계에 들려는 마음을 내었다면 마땅히 이와 같이 머물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을지니라.”
“알겠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원건데 기쁜 마음으로 듣고자 하옵니다.”
제3분, 대승의 바른 뜻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 받을지니. 무릇 있는바 일체중생들 곧, 난생, 태생, 습생, 화생의 중생과, 유색, 무색, 유상, 무상의 중생, 또 비유상, 비무상 의 중생 등, 온 세상 모든 중생들을 내가 다 제도해서 무여열반에 들게 하리라하여 이처럼 한량없고 가없는 중생들을 모두 제도하였으되 실로 제도를 얻은 중생이 없다할 것이니 왜냐 하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마음에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다면 그는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제4분, 머물음이 없는 묘행
“그리고 또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어디에 머물음 없이 베풀어야 하나니 이른바 형상에 머물지 않고 베풀어야하며 소리나 냄새나 맛이나 감촉이나 기존관념에 머물지 않고 베풀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와 같이 베풀며 그 어디에도 머물지 말지니, 어찌한 까닭인가? 이는 보살이 자기가 베푼다는 것에도 머물지 않고 베푸는 보시의 복덕은 가히 생각할 수없이 크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동쪽허공의 크기를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 하겠나이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 서 북방과 사유와 상하허공의 크기는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 하겠나이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어디에도 머물지 않고 베푸는 보시의 복덕 또한 이와 같아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지금 내가 가르쳐 준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제5분, 실다운 이치로 보라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몸 모양으로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못 보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몸 모양으로서는 여래를 볼 수 없나이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설 하신 바 몸 모양은 몸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나이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무릇 형상 있는 모든 것은 모두가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을 상아님으로 보면 이것이 바로 여래를 봄 이니라”
제6분, 바른 믿음은 희유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자못 어떤 중생이 이와 같은 말씀이나 글귀를 보고 진실한 믿음을 낼 수 있겠나이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여래가 열반에 든 뒤 후오백세에 계를 지키고 복을 닦는 자 있어 이 글귀를 보고 능히 바른 신심을 내며 이를 진실로 삼으리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 셋 넷 다섯 부처님에게만 선근을 심은 것이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천만 부처님께 갖가지 선근을 심었으므로 이 글귀를 보고 한 생각 깨끗한 믿음을 낼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이 모든 중생들이 이와 같이 깨끗한 믿음을 내는 무량 공덕을 얻음을 다 알며 다 보나니, 어찌한 까닭이랴? 이 모든 중생에게 다시는 아상이 없으며 인상, 중생상, 수자상도 없으며 법상도 없으며 또한 법 아닌 상도 없기 때문이니라. 어찌한 까닭인가 하면 이 모든 중생들이 만약 마음에 어떠한 상을 취하면 곧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에 집착함이 되나니, 만약 법상을 취하더라도 이는 곧 아상과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집착함이 되며, 또한 법 아닌 상을 취하더라도 이는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집착함이 되나니. 그리하여 법도 취하지 않으며 법 아닌 것도 취하지 않느니라. 이러한 고로 여래가 항상 말하되 너희들 비구는 나의 설법을 뗏목처럼 여겨야한다고 하였나니. 법도 오히려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이랴.”
제7분, 얻을 것도 설할 것도 없음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부처님세계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여래가 설한바 법이 있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제가 부처님의 설하신바 뜻을 이해하기로 부처님세계라 이를만한 일정한 법이 없사오며 여래께서 설하셨다고 이를만한 일정한 법 또한 없사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설하신바 법은 다 취할 수도 없사오며, 말할 수도 없사오며, 법도 아니오며, 법아님도 아니기 때문이니, 그 까닭은 일체 성현이 다 무위법으로 차별을 삼기 때문이나이다.”
제8분, 법에 의하여 출생함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 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 대천 세계에 가득 찰만큼의 칠보를 가지고 보시에 쓴다면 이 사람이 얻을 바 복덕이 얼마나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이 복덕이 곧 복덕성이 아니오니 이 까닭에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 말씀하셨나이다.”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있어 이경 가운데서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이를 위해 말해주면 그 복이 저보다 나으니라. 수보리야 왜냐하면 일체 모든 부처님과 모든 부처님의 위없이 높은 바른 깨달음의 법이 모두 이경에서 나왔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불법이라 하는 것은 곧 불법이 아니니라.”
제9분, 하나의 상도 짓지 아니함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능히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다 하는 생각을 가지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수다원은 성인의류에 든다는 말이오나 실로는 들어간 바가 없사오며 다만 형상이나 성 향 미 촉 법에 물들지 아니한 까닭에 이름을 수다원이라 할 뿐이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사다함이 능히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다 하는 생각을 가지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사다함은 한번 다녀온다는 말이오나 실로는 가고 옴이 없사오니 다만 이름을 사다함이라 할 뿐이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나함이 능히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 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아나함은 갔다 오지 않는다는 말이오나 실로 오지 아니함이 없사오니 이름을 아나함이라 하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라한이 능히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 도를 얻었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실로 법이 있지 아니한 까닭에 아라한이라 이름 할뿐 이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약 아라한이 스스로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 도를 얻었다 하오면 곧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에 집착함이 되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다툼 없는 경지 삼매를 얻은 사람 가운데서 가장 으뜸으로 욕심을 여윈 제일의 아라한이라 하오시나, 저는 제가 욕심을 여읜 제일의 아라한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약 내가 아라한 도를 얻었다고 생각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에게 아란나행을 즐기는 이라고 말씀하시지 아니하시련만 실로 제가 그러지 않았으므로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기는 이라고 말씀하시나이다.”
제10분, 정토를 장엄함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불 회상에 있었을 때 법을 얻은 바가 있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불회상에 계실 때 실로 법을 얻으신바가 없사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한다고 하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함은 곧 장엄이 아니옵고 다만 그 이름이 장엄일 뿐이옵니다.”
“이 까닭에 수보리야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와 같이 청정한 마음을 낼 것이니 이른바 형상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마땅히 소리와 냄새와 맛과 느낌과 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아니하고 응당 머문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어떤 사람이 몸이 수미산 만하다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그 몸을 크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심히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부처님께서는 참다운 진리적 몸이 아닌 몸을 말씀하시어 큰 몸이라 이름 하셨기 때문 이나이다.”
제11분, 무위의 복이 수승함
“수보리야 항하에 있는 모래알 수만큼이나 많은 항하가 또 있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알의 수가 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단지 그 항하의 수만 하여도 이루 헤아릴 수 없사온데 하물며 어찌 그 모래이오리까?”
“수보리야 내가 지금 진실한 말로 너에게 이르노니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있어 칠보를 가지고 저 항하의 모래 수만큼이나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차도록 보시를 하드라도 다시 어떤 사람이 있어 이경가운데서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이를 위해 말해주면 그 복덕이 앞에 말한 칠보보시 복덕보다 더없이 뛰어나니라.”
제12분, 바른 가르침을 존중함
“그리고 또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경의 사구게 만을 설할지라도 이곳은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가 다 마땅히 공양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절에 공양하듯 하느니 하물며 어떤 사람이 능히 이경을 모두 다 받아 지니며 읽고 외움이랴.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제일가는 거룩한 법을 성취하리니, 이경전이 있는 곳에는 곧 부처님과 존중하신 제자들이 함께 계심이니라.”
제13분, 법 다이 받아지님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이경을 마땅히 무어라 이름 하오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니오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이경은 이름을 금강반야바라밀 이라 하나니 이 이름대로 너희들은 마땅히 받들어 지닐 지니라 왜냐하면 여래가 말한 반야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반야바라밀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설한바 법이 있느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설하신 바가 없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삼천대천세계에는 티끌이 얼마나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이 모든 티끌이 티끌이아니라 그 이름이 티끌이라고 말하며 여래가 설한 세계도 세계가 아니라 그 이름이 세계일뿐이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거룩한 몸매로써 여래를 보겠느냐?”
“아니 옵니다 세존이시여 거룩한 몸매로서 여래를 볼 수 없나이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설하신 거룩한 몸매는 곧 거룩한 몸매가 아니옵고 그 이름이 거룩한 몸매이기 때문이 나이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있어 항하의 모래수와 같이 많은 몸과 목숨을 바쳐 보시하더라도 또 다른 어떤 사람이 이경 가운데서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며 다른 이에게 들려주면 그 복이 훨씬 더 뛰어나니라.”
제14분, 상을 여의어 적멸함
이때 수보리는 이경 설하심을 듣고 깊이 그 뜻을 이해하고 감격하여 흐느껴 울면서 부처님께 사뢰었다.
“거룩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심히 깊은 경전을 설하심은 제가 예로부터 얻은바 혜안으로도 일찍이 한번 도 듣지 못 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약 어떤 사람이 이경을 듣고 신심이 청정하면 곧 실상을 깨달으리니 이 사람은 마땅히 제일 거룩한 공덕을 성취한 줄로 알겠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실상은 곧 상이 아니오니 이런고로 여래께서 다만 실상이라 이름 하셨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 경전을 듣고 믿고 받아 지니기는 족히 어려울 것이 없사오나 만약 오는 세상 후오백세에 어떤 중생이 이경을 듣고 믿어 알고 받아 지닌다면 그 사람은 곧 제일 거룩한 이가 되겠사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아상이 없사오며 인상도 없사오며 중생상도 없사오며 수자상도 없는 까닭이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아상이 곧 상이 아니오며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이 곧 상이 아니기 때문이옵나이다. 왜 그러나 하오면 일체 모든 상을 떠난 것을 이름 하여 모든 부처님의 경지라 하기 때문이나이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옳다 그렇다.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있어 이경 말씀을 듣고 놀래지도 아니하고 겁내지도 아니하고 두려워하지도 아니하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심히 거룩한 사람이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한 제일바라밀이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요 그 이름이 제일바라밀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여래는 인욕바라밀이 아니라고 말함이니 그 이름이 인욕바라밀 이라하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내가 옛적에 가리 왕 에게 몸을 베이고 끊김을 당하였을 적에 내가 저때에 아상이 없었으며 인상도 없었으며 중생상도 없었으며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내가 옛적에 마디마디 사지를 찢기고 끊길 그때에 만약 나에게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었던들 응당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을 내었으리라. 수보리야 또 여래가 과거 오백세 동안 인욕선인이 되었을 때를 생각하니 그때에도 아상이 없었고 인상도 없었고 중생상도 없었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일체 상을 여의고 참 부처님세계에 들려는 마음을 내어야할 것이니, 마땅히 형상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응당 머문바 없는 마음을 낼 지니라. 만약 마음에 머무르는 바가 있으면 곧바로 그 머무름을 지울지니 그러므로 부처님들이 보살은 마땅히 마음을 형상에 머물지 아니하고 보시해야 한다고 설하시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일체 중생을 이익 되게 하기 위하여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해야 하나니, 그래서 여래는 일체의 모든 상이, 상이 아니요 일체 중생도 곧 중생이 아니라고 설 하나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진리의 말을 하는 이며 진실을 말하는 이며, 여여한 말을 하는 이며, 거짓말을 하지 않는 이며, 다른 말을 하지 않는 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바 법인 이법은 진실도 아니고 거짓도 아니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서 보시하면 마치 사람이 어둠에 들어감에 곧 보이는 바가 없는 거와 같고, 만약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지 아니하고 보시하면 사람이 눈에 있고 햇빛이 밝게 비침에 가지가지 색을 보는 거와 같으니라.”
“수보리야 장차 오는 세상에서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있어 능히 이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곧 여래가 불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알고 이 사람을 다 보나니 모두가 헤아릴 수 없고 가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되리라.”
제15분, 경을 지니는 공덕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아침에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몸을 바쳐 보시하고, 낮에 다시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몸을 바쳐 보시하며, 다시 저녁때에도 또한 항아의 모래수와 같은 몸을 바쳐 보시하여 이와 같이 무량 백 천만억겁 동안을 몸을 바쳐 보시하더라도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있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으로 거슬리지만 아니하여도 그 복이 저 몸을 바쳐 보시한 복덕보다 수승하리니 하물며 이경을 베껴 쓰거나 받들어 지니고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하여 해설해줌이랴.”
“수보리야, 간추려 말할진대 이경에는 생각할 수도 없고 칭량할 수 없고 가없는 공덕이 있느니라. 여래는 대승에 발심한 자를 위하여 이경을 설하며 최 상승에 발심한 자를 위하여 이경을 설 하느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널리 사람들을 위하여 설명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며 이 사람을 다 보나니 이 사람은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가없고 생각할 수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되리라.”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참 부처님세계 건설을 책임질 것이니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만약 작은 법을 즐기는 자라면 아견과 인견과 중생견과 수자 견에 집착하게 되므로 이경을 들으려 하지 않고 받아들이려 하지 않으며 읽고 외울 수도 없으며 남을 위하여 해설해주지도 못하느니라.”
“수보리야 어떠한 곳이든 이경이 있는 곳이면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등이 마땅히 공양을 올리리니 마땅히 알라. 그곳은 부처님의 탑과 같아 모두가 응당 공경하고 절하며 에워싸고 가지가지 꽃과 향을 그곳에 뿌리 나니라.”
제16분, 능히 업장을 정화함
“다시 또 수보리야, 선남자선여인이 있어 이경을 받아 지니며 읽고 외우더라도 만일 사람들에게 업신여김을 당한다면 이 사람은 선세 죄업으로 마땅히 악도에 떨어질 것이로되 현세사람들에게 업신여김을 당함으로써 곧 선세죄업이 소멸되고 마땅히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내가 과거 무량 아승지겁을 생각하니 연등불을 뵈옵기 그 이전에도 팔백사천만억 나유타의 여러 부처님을 만나 모두 다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어 헛되이 지냄이 없었더니라. 그러나 만약 어떤 사람이 앞으로 오는 말세에 이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는 공덕과 비교한다면 내가 저곳에서 팔백사천만억 나유타 의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의 일도 되지 못하며, 천만억분 의 일도 되지 못하며 내지 숫자가 있는 대로 비교하고 비유할지라도 능히 미칠 바가 못 되리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앞으로 오는 말세에 이 경을 받아 지니고 독송하는 이가 얻는 공덕을 내가 다 갖추어 말한다면 어떤 이는 그 말을 듣고 곧 마음이 미칠 듯 산란하여 여우처럼 의심하며 믿지 아니하리라.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경은 뜻도 가히 생각할 수 없고 그 과보도 또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제17분, 마침내는 나마저 없음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선여인들이 부처님세계에 들려는 마음을 내었다면 이들은 마땅히 어떻게 생활하여야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하오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부처님세계에 들려는 마음을 내었다면 마땅히 이와 같이 생활하며 이와 같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나니 곧 나는 마땅히 일체 중생을 멸도하리라 하되 일체 중생을 멸도하고 나서는 한 중생도 내가 멸도 시켰다는 생각이 없어야 하나니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아상과 인상과 중생상과 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니 그 까닭이 무엇이랴. 수보리야 실로 법에는 부처님세계에 든다고 하는 것이 없기 때문 이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 회상에서 부처님세계에 드는 법을 얻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설하신바 뜻을 이해하기로는 부처님이 연등불회상에서 어떤 법이 있어 부처님세계에 드신 것이 아니나이다.”
부처님께서 이르셨다. “옳다 그렇다 수보리야, 실로 여래는 부처님세계에 드는 법을 얻은바가 없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내가 연등불회상에서 부처님세계에 드는 법을 얻었을 진대 연등불이 나에게 수기를 주시고 네가 내세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리니 호를 석가모니라 하리라, 하시지 않았으련만 실로 부처님세계에 드는 법을 얻은바 없음으로 연등불께서 나에게 수기를 주시며 말씀하시기를, 네가 내세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리니 호를 석가모니라 하리라 하시니라.”
“왜냐하면 여래라 함은 곧 모든 법이 여여 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니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부처님세계에 드는 법을 얻었다]하나 실로는 여래가 부처님세계에 드는 법을 얻은바가 없느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바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은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이 까닭에 여래가 말하기를 [일체법이 다 이것이 불법이라]말하느니라.”
“수보리야 말한바 일체법이란 것도 곧 일체법이 아니니 그러므로 일체법이라 이름 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사람의 몸이 장대하다고 하는 거와 같으니라.”
수보리가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설하신 장대한 몸은 곧 장대한 몸이 아니옵고 그 이름이 장대한 몸이옵니다.”
“수보리야, 보살도 또한 이와 같나니 만약 말하기를 [내가 마땅히 무량중생을 멸도 하리라] 한다면 이는 곧 보살이라 할 수 없느니라. 무슨 까닭이랴 수보리야 실로 법을 두지 않음을 보살 이라하느니라. 이런고로 여래가 말하기를 [일체 법이 아도 없고 인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다]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말하기를 [내가 마땅히 불국토를 장엄하리라]한다면 이는 보살이라 할 수 없나니 왜냐하면 여래가 말하는바 불 국토 장엄은 장엄이아니라 그 이름이 장엄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와 법이 없음을 통달한 자면 여래는 이 사람을 참된 보살마하살이라 말하느니라.”
제18분, 일체를 하나로 봄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이 있느냐?”
“그러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이 있느냐?”
“그러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이 있느냐?”
“그러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이 있느냐”
“그러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이 있느냐?”
“그러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이 있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를 여래가 말한 적이 있느냐?”
“그러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그 모래를 말씀 하셨나이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 하느냐? 저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 수만큼 많은 항하가 또 있어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바모래 수만큼의 불세계가 다시 있다면 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저 국토 가운데 있는바 중생의 가지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냐? 여래가 말한바 모든 마음이다 이것이 마음이 아니요, 그 이름이 마음인 까닭이니라. 이유가 무엇이냐? 수보리야 지나간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기 때문 이느니라.”
제19분, 법계를 통하여 교화함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사람이 있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찰만큼의 칠보를 가지고 보시에 쓴다면 그 사람이 이 인연으로 얻는 복이 많다 하겠느냐?”
“그러하오이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이 인연으로 심히 많은 복을 얻겠나이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실다움이 있을진대 여래가 복덕 얻음이 많다고 말하지 않으련만 복덕이 없는 고로 여래가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하느니라.”
제20분, 색과 상을 여임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가히 색신이 구족한 것으로써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마땅히 색신이 구족한 것으로써 볼 수 없사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색신이 구족하다 하심이 곧 구족한 색신이 아니옵고 그 이름이 구족한색신인 까닭이옵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가히 모든 상이 구족한 것으로 보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모든 상이 구족한 것으로써 볼 수 없사옵니다. 어찌한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설하신 모든 상의 구족함이 곧 구족이 아니옵고 그 이름이 모든 상의 구족이기 때문이옵니다.”
제21분, 설함 없음을 설함
“수보리야, 너희는 여래가 마땅히 설한바 법이 있다고 생각할거라고 이르지 마라. 그런 말 말지니 어찌한 까닭이냐? 만약 누구라도 말하기를 여래가 설한바 법이 있다고 한다면 이는 곧 여래를 비방함이 되나니 내가 설한 바를 잘 이해하지 못한 연고니라.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고하나 가히 설할만한 법이 없나니 곧 그 이름이 설법일 뿐이니라.”
그때에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자못 어떤 중생이 미래세에 이 법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오리까?”
부처님께서 이르셨다. “수보리야, 저가 중생이 아니며 중생 아님도 아니니 무슨 까닭인가? 중생이다, 아니다 함에 대해서도 여래는 모두 아니라고 설하노니 다만 그 이름이 중생일 뿐이니라.”
제22분, 얻을 법이 없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으심은 얻은바가 없음이 되옵니까?”
부처님께서 이르셨다. “옳다, 그러니라. 수보리야, 내가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에 있어 어떠한 조그마한 법도 얻음이 없으니 이를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이름 하느니라.”
제23분,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행
“다시 또 수보리야, 이 법이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으니 이 이름이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아도 없고 인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자도 없이 일체 선법을 닦으면 곧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느니라. 수보리야 말한바 선법이라고 하는 것은 여래가 곧 선법 아님을 말하는 것이니 그 이름이 선법이니라.”
제24분, 비교할 바 없는 복과 지혜
“수보리야, 만약 삼천대천세계 가운데 있는바 모든 수미산만한 칠보무더기를 가지고 어떤 사람이 보시에 쓰더라도 만약 또 사람이 있어 이 반야바라밀경이나 내지 사구게 등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다른 사람을 위하여 말해 주면 앞의 복덕으로는 백분의 일도 되지못하며 백 천 만억분의 일도 되지 못하며 내지 숫자가 있는 대로 비교하고 비유할지라도 능히 미치지 못하느니라.”
제25분, 교화 하여도 교화함이 없음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은 여래가 생각하기를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한다 할 거라고 말하지 마라. 수보리야, 이런 말 말지니, 어찌한 까닭이랴? 실로는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없나니 만약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있다고 한다면 여래는 곧 아와 인과 중생과 수자가 있음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아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곧 아가 있음이 아니거늘 범부인 사람들이 이를 아가 있다고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범부에 대해서도 곧 범부가 아니라 그 이름이 범부라고 설 하느니라”
제26분, 법신은 상이 아님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를 통하여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그러하옵니다. 거룩한 몸매를 통하여 여래를 볼 수도 있겠나이다.”
부처님께서 이르셨다. “수보리야, 만약 거룩한 몸매를 통하여 여래를 볼진대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리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설하신바 뜻을 이해하기로는 응당 몸매를 통해서는 여래를 볼 수가 없겠나이다.”
이때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이르셨다.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려하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는다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함이라 여래는 능히 보지 못하리라"
제27분, 단멸이 아님
“수보리야, 그렇다고 네가 또한 생각하기를 여래는 구족한 상을 쓰지 않는 까닭에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었는가? 한다면 그런 생각도 말지니 수보리야 그렇다고 여래가 구족한 상을 쓰지 않는 까닭에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도 아니니라. 수보리야 또한 생각하기를 부처님세계에든 이는 모든 법이 끊어져 아주 없어진 거라고 말하는가 한다면 이런 생각 말지니 어찌한 까닭이랴? 부처님세계에든 이는 모든 법이 끊어져 아주 없어진 거라고 말하지도 않기 때문이니라.”
제28분, 받지도 탐내지도 아니함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항하의 모래수와 같이 많은 세계의 칠보를 가지고 보시에 썼더라도 또 다른 사람 중에 모든 것에 실체가 없음을 안 이가 있다면 이 보살의 공덕이 앞의 보살이 얻는 공덕보다 많으리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모든 보살들이 복덕을 받지 않는 연고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사옵니까?”
“수보리야 보살은 지은바 복덕에 탐착하지 않으므로 복덕을 받지 않는다 말하느니라.”
제29분, 여래의 고요한 몸가짐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며 않기도 하고 눕기도 한다 하면 이 사람은 내가 설한바 뜻을 알지 못 함이니라 어찌한 까닭이냐? 여래는 어디로조차 오는 바도 없으며 또한 가는 바도 없으므로 여래라 이름 하느니라.”
제30분, 이치와 모양이 하나임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작은 티끌로 만들었다 하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이 작은 티끌들이 얼마나 많다 하겠느냐?”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어찌한 까닭인가 하오면, 만약 이 작은 티끌들이 실로 있는 것일진대 부처님께서 곧 저 작은 티끌들이라고 말씀 하시지 않았으리다.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설하신 작은 티끌들은 곧 작은 티끌이 아니라 그 이름이 작은 티끌들이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설하신바 삼천대천세계도 곧 세계가 아니옵고 그 이름이 세계이옵니다. 왜냐 하오면 만약 세계가 실로 있는 것일진대 이것은 하나로 뭉친 모양이니 여래가 설하신 하나로 뭉친 모양도 하나로 뭉친 모양이 아니옵고 다만 그 이름이 하나로 뭉친 모양이옵니다.”
“수보리야, 하나로 뭉친 모양이라 하는 것은 이것을 말 할 수없는 것이거늘 다만 범부인 사람들이 그것에 탐착하느니라.”
제31분, 지견을 내지 아니함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아견과 인견과 중생견과 수자 견을 말하였다 하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이 내가 말한바 뜻을 아는 것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의 설하신바 뜻을 알지 못함이옵니다. 어찌한 까닭인가 하오면 세존께서 설하신 아견과 인견과 중생견과 수자 견은 곧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옵고 그 이름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옵니다.”
“수보리야, 부처님 세계에 들려는 마음을 낸 이는 일체 법에 응당 이와 같이 알며 이와 같이 보며 이와 같이 믿고 이해하며, 법상을 내지 말지니라. 수보리야 말한바 법상이란 것도 여래가 곧 법상이 아니요 그 이름이 법상임을 말하느니라.”
제32분, 응신 화신은 참이 아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무량 아승 지 세계에 가득 찰 만큼의 칠보로서 보시를 하고 만약 보살 심을 발한 선남자선여인이 있어 이경의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다른 사람을 위하여 풀어 말하면 그 복이 앞의 복덕보다 나으니라. 어떻게 사람을 위하여 풀어 말할까? 상을 취하지 아니하여 여여부동 하라. 어찌한 까닭이냐?”
“일체유위법은 꿈이며 환상이며 물거품이며 그림자 같고,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볼지니라.”
부처님께서 이경을 설하여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와 모든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 우바이와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등이 부처님의 설하심을 듣고 모두 크게 환희하여 믿고 받아 받들어 행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