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이 가장 맛있는 철이란 생선이 가장 많이 잡히는 시점을 말하는 것이 아닌 영양소 중에서 지방질을 사계절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시점을
말하는 것이다.
- 이 지방질이 높을 수록 생선회의 맛이 좋으며 영양분도 가장 풍부하다. "봄 도다리 가을 전어" 라는 말은 도다리는 봄에 전어는 가을에
지방질이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는 의미이며 가을 전어는 봄 전어보다 지방질이 3배나 많아 고소한 맛이 그 어느 철보다 맛이좋다.
- 생선은 알을 낳는 산란기에 활발한 먹이 섭취를 하므로 체내에 영양분이 풍부하여 이 시기가 1년중 가장 맛이 좋다. 그러나 산란이 되면
영양분이 알에 대부분 빼앗기게 되어 맛이 떨어지며 산란후에는 최저의 맛이 된다.
1. 봄에 좋은 제철생선
- 참돔 : 백어(百魚)의 왕인 참돔
- 삼치 : 방어와 더불어 크면 클수록 맛이 좋다는 삼치
- 볼락 : 소금구이의 대명사 볼락
- 도다리 : 봄 도다리, 가을전어 의 말처럼 도다리
- 쥐노래미 : 게르치로 잘못 불리기도 하는 쥐노래미
- 갑오징어 : 서해안의 명물
- 학꽁치 : 일본어로 사요리라 불리는 학꽁치
- 암 꽃게 : 서해안의 명물
2. 여름에 좋은 제철생선
- 농어 : 그 맛을 못잊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는 일화가 있는 농어
- 돌돔 : 몸통에 줄이 있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돌돔
- 전복 : 환자식 및 산후 조리식으로 가장 인기가 좋은 전복
- 멍게 : 향으로 먹으며, 글리코겐 함량이 많은 우렁쉥이
- 민어 : 옛날 서민들의 여름철 보양식인 민어
- 은어 : 1급수에서만 살 수 있는 은어
- 장어 : 일본인들의 여름철 스태미너식인 장어
- 흰 오징어 : 오징어류 중에서 횟감으로 가장 맛이 좋은 흰 오징어
3. 가을에 좋은 제철생선
- 전어 : 집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전어(볼에 깨를 서 말씩 붙이고 다닌다는 전어)
- 갈치 : 여인의 살결과 같은 갈치
- 고등어 : 바다의 보리로 불리며 등푸른 생선의 대표 주자인 고등어
- 잿방어 : 일본에서 많이 양식되는 잿방어
- 쥐치 : 복어처럼 육질이 단단한 쥐치
- 오징어 : 수산물 중에서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먹는 오징어
- 수 꽃게 : 가을에는 수 꽃게
- 대하 : 서해안의 명물 대하
- 낙지 : 다리 두 개가 가늘고 긴 낙지
4. 겨울에 좋은 제철생선
- 복어 : 미국FDA 에서 세계 4대 진미 식품으로 정한 복어
- 방어 : 일본에서는 20 가지의 이름으로 불리는 방어
- 광어 :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광어
- 우럭 :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우럭
- 굴 :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
- 해삼 : 알카리 식품인 해삼
- 꼼치 : 겨울 해장국의 별미인 꼼치
- 숭어 : 봄도다리 가을전어 그리고 겨울 숭어인 숭어
- 대구 : 자원이 회복되고 있는 대구
- 대게 : 동해안의 명물 대게
- 진주담치 : 홍합이라 불리는 진주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