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름 :채식주의자
출판사(초판 발행일) :창비(초판 1쇄 발행일, 2016년 6월)
자은이 : 한강
채식주의자, 한강 연작소설.
『채식주의자』는 "탄탄하고 정교하며 충격적인 작품으로, 독자들의 마음에 그리고 아마도 그들의 꿈에 오래도록 머물 것이다."라는 평을 받으며 한국인 최초오 2016년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했다.
표지 뒤편에 작가를 소개한 글이다.
이 세계에 머물고 있는 사람이라면 맨부커 상이 주는 뜻을 알 수 있겠지만 평범한 사람은 모를 것이다.
뉴스를 통하여 알고 있었지만 소설을 읽지 않은 지 오래 되어서 그다지 당기지 않았다.
어느 날 아내의 책장에 꽂힌 이 책을 보고 쉽게 뽑아 들었다.
손 쉽게 들은 책이지만 읽는 동안에 불편하였고 이해도 어렵다.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한 것일까?
다시 읽으면 알 수 있을까? 그런데 다시 읽고 싶지는 않은, 어두움이 있다.
뒤에 실린 작품 해설을 읽어도 마찬가지이다. 해설도 어렵기 마찬가지이다. 쉽지 않은 글, 관념의 유희라고 할까?
세 편의 소설에서 주인공은 누구인가? 채식주의자인 것 같지만 채식주의자가 아닌 영혜일까?
채식주의자, 나는 아내 영혜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아내 영혜는 어느 날 갑자기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 그 행동의 까닭이 꿈 때문이라고 말한다.
고기를 먹지 않는 영혜를 주변 사람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고, 영혜의 선택을 비난하고 그 선택을 포기하기로 강요하기도 한다.
아내 영혜는 강요하는 부모에게 저항하여 자살을 시도한다.
나는 영혜를 받아들일 수 없어 혼자가 된다. 영혜도 혼자가 된다.
몽고반점, 제목만 봤을 때 음식점인 중국집이나 음식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몽고반점은 태어날 때 엉덩이에 시퍼런 꽃을 말하고 있었다.
영혜 언니인 인혜, 인혜와 사회적 계약관계(결혼)를 맺은 남편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삼자인 '그'가 남편 이야기를 덤덤하게 한다. 이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그 사건이다.
경제적 무능력한 남편은 예술을 하는 사람이다. 아내 인혜 덕으로 살고 있다.
아내보다 말도 없고 여성다움도 없는 처제인 영혜에게 성적으로 끌린다.
그건 영혜가 자살 소동을 버린 날부터, 아니 아내에게서 처제 영혜 엉덩이에 있는 몽고반점 이야기를 들은 날부터였다.
처제 엉덩이에 있는 몽고반점은 인혜 남편에게는 열정을 가질 수밖에 없는 주제가 되었다.
선을 넘었다. 처제의 몽고반점에 자신의 몽고반점을 일치시키면서 그는 희열을 느꼈다.
그 순간을 그의 아내인 인혜가 보았고 인혜는 그인 남편과 사회적 계약관계를 청산하였다.
나무불꽃, 그녀인 인혜에 대한 이야기를 제삼자가 한다.
영혜는 정신병원에서 점점 죽어간다. 거식증이라고 한다.
죽어가는 동생 영혜를 보면서 인혜는 자신을 돌아본다. 자신의 지난 삶과 지금의 삶을 본다.
삶이란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지만 답은 얻지 못한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 불꽃을 다 읽고 책을 덮었다. 무슨 이야기이지? 어렵다.
내가 고지식하게 알고 있는 기승전결이 없다.
영혜 남편은 아내를 통해 자기 이야기를 하였고, 인혜 남편 그는 영혜를 통해 자신을 보았다.
영혜 언니인 인혜는 동생을 통하여 자신을 봤다. 주인공은 영혜도 그도, 그녀도 아닌 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