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시티투어( 노적봉-근대역사관 1.2관-김대중기념관-갓바위-해상케이블카)2
◈ 일시 : 2025. 03. 19(수). 신안 2차 2박 3일 중 첫날.
천안날씨. 신안의 압해읍과는 무려 7.6도나 차이가 난다.
신안군청이 있는 압해읍 날씨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31.7km(차량이동. 케이블카포함). 7시간 12분. 16500보.
◈ 지도.
목포시티투어 안내도.
목포 시티투어 경로 .
◈ 트랙.
◈ 일정정리.
07 : 19. 천안아산역에서 목포 가는 SRT를 타고(24400x2)
09 ; 15. 목포역 도착. 사물함에 짐 두고(3000원).
09 : 30. 역 앞 좌측 주차장에서 예약한 목포 시티투어 출발( 시티투어 061 245 1814. 일반 6000원. 경로 3000원).오늘 11명.
09 ; 38. 오거리에서 차에서 내려 우측으로 걸어간 구 동본원사 목포별원. 1930년에 지은 일본사찰.
09 ; 53. 2. 차량이동하여 서산동 연희네 슈퍼. 의상실등 옛 시화동 시화골목을 따라 올라간다.
10 ; 11. 보리마당. 목포역과 연안부두. 유달산등 목포시내를 둘러본다. 서산경로당.
10 : 24/56. 차량이동 유달산 노적봉 하차. 좌측 시민종각, 우측의 오포대를 다녀온다.
11 ; 07/28. 근대역사관 1관. 입장료 성인 2000원, 경로 무료.
11 ; 34/49. 근대역사관 2관.
11 : 52/12 ; 36. 점심 먹고 차량이동.
12 : 44/13 : 21.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 차량이동.
13 ; 33. 갓바위입구. 차에서 내려 갓바위로
13 ; 41/48. 갓바위. 서해안길 23일 차에 들려간 곳이다. 차량이동.
13 : 56/14 : 30. 목포 자연사 박물관. 목포역으로 이동하여 시티투어 일정은 끝나고
차량은 선택사향으로 케이블카 탑승장까지 데려다 준다.
14 : 54. 목포 북항 해상케이블카 탑승장. 일반 왕복 24000. 경로 22000x2. 크리스털은 29000. 경로 27000.
15 ; 05. 케이블카 탑승. 중간의 유달산전망대는 하 차장은 고하도에서 나올 때만 하차 가능.
국내 최장 3.23km. 최고 155m로 세게 두 번째 높이로 편도 20여분 걸린다.
15 : 25. 고하도 하 차장 3층 하차. 2층으로 내려가 산책로 따라 산길로 150 계단을 올라가 능선에서 좌측으로 간다.
15 ; 39. 유달산과 여객터미널을 건너다보고 계단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갔다.
여기서 좀 더 가서 고하도 전망대를 들려보고 해안으로 내려갔으면 좋았을걸 그랬다.
15 ; 42. 해안데크. 좌측은 용머리. 고하도 전망대. 우측은 해안동굴.
이리로 내려왔으면 우측 해안동굴 앞 갔다 와서 다시 좌측으로 가서 전망대로 오르던지(엘리베이터는 없단다)
아니면 용머리까지 가서 산책로를 따라오며 전망대를 들려오면 좋았을 텐데 시간도 없고 힘들것같아 우측만 다녀왔다.
15 ; 50. 해안동굴 앞. 데크 끝이다. 되돌아간다.
16 ; 05. 다시 돌아온 고하도 케이블카 탑승장. 거기까지 갔다 오는데 40분 걸렸다.
16 : 17. 케이블카 타고. 고하도 전망대와 목포대교. 고하도 해안데크와 신안군의 섬들 여객선터미널. 유달산을 보며 간다.
16 ; 44. 북항 스테이션. 바로 앞 차도에서 좌측에 목포해상케이블카 버스 정류장이 있지만
이 정류소는 앞산을 우측으로 돌아서 북항앞 해양대 종점으로 가는 버스 편이고
목포역으로 가는 1번 버스는 길 건너편에서 유달산을 우측으로 삥 돌아 여객터미널을 지나서 가므로
목포역까지는 2.6km 정도니 택시를 타는 게 낫다.
17 ; 20. 1번 버스 타고
17 ; 45. 목포역에서 하차하여 짐 보관함에서 짐 찾고 M호텔인근의 목포세무서수가정에서 순두부 백반으로 저녁.
18 ; 35. 지난번에 묵었던 M호텔에서 신안 2차 1박.
1부에 이어.
갓바위.
2019. 3.4일 해남 땅끝탑을 출발해 2020.6.26일 김포 월곶면 보구곶리 민통선까지 2804km를 118일에 걸려 걸어서 갔는데
118일중 23일째 되는날인 2019. 4.30에 서해안길 23(일로읍 망월동ㅡ 남악신도시-갓바위-목포 용당동)에 지나갔다.
보통 4박5일씩 진행해서 총 25차에 118일이 걸렸는데 첫 날 내려 오는날과 마지막 올라가는날엔 보통 20km 내외.
숙박한날들엔 보통 28~33km정도씩 걸었다. 같이하신 준희님. 박성태님 내외님.장군봉님 .마루님.그때가 참 좋았지요
소식은 자주 전하지만 많이 많이 보고싶고 그때가 그립습니다. 이젠 모두 다 팔십이 넘었으나
아직 모두들 건강하게 살아서 돌아 다닐수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아래 사진들은 그때 찍은 사진입니다.
부산의 준희님(최 남준. 전국의 산,봉마다 이름표를 걸었다).
박성태님. 장군봉님.
서울의 박성태님( 정맥, 기맥, 지맥을 정립한 신산경표 저자.좌). 준희님. 대구의 마루(김병춘 님).
대구의 장군봉(이장우님. 65세때 에베레스트 정상을 올랐다. )
장군봉님. 박성태님. 준희님.
그때만 해도 쌩쌩했네!!!
13 : 56/14 : 30. 목포 자연사 박물관.
영상체험
영상체험.
세계에 단2점뿐인 프레노케탑토스.
세계에 단2점뿐인 프레노케탑토스.
아르케론.
14 : 54. 목포 북항 해상케이블카 탑승장. 일반 왕복 24000. 경로 22000x2. 크리스털은 29000. 경로 27000.
목포 북항 해상케이블카 탑승장.
일반 왕복 24000. 경로 22000x2. 크리스털은 29000. 경로 27000.
15 ; 05. 케이블카 탑승. 중간의 유달산전망대는 하 차장은 고하도에서 나올 때만 하차 가능.
국내 최장 3.23km. 최고 155m로 세게 두 번째 높이로 편도 20여분 걸린다.
빨간카는 일반. 회록새(?)은 크리스탈. 사진사는 사진찍고 내릴때 필요하면 돈주고
뒤 돌아 본 북항 해상케이블카 탑승장과 뒤로 압해도와 압해대교(우뒤).
유달산.
목포역( 확대해 보면 가운데 좌측 큰건물과 우측 황토색 큰건물 사의의 파란지붕들)과 여객선터미널(우측 뒤)..
삼학도(좌측 3섬)끝에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과 영암 삼호읍의 대아산. 소아산(우측)
중간의 유달산전망대 하차장은 고하도에서 나올 때만 하차 가능.
대아산, 소아산(좌) ㅡ고하도(우).
고하도.
고하도 해변 데크로 내려가는 계단엘리베이터
좌측 해안동굴 가는길.
뒤돌아 본 유달산.
우측 목포대교.
15 : 25. 고하도 하 차장 3층 하차. 2층으로 내려가 산책로 따라 산길로 150 계단을 올라가 능선에서 좌측으로 간다.
고하도 하 차장 3층 하차
산길 초입에 있는 안내판.
150계단.
산길로 150 계단을 올라가 능선에서 좌측으로 간다.
산길로 150 계단을 올라가 능선에서 좌측으로 간다.
15 ; 39. 유달산과 여객터미널을 건너다보고 계단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갔다.
여기서 좀 더 가서 고하도 전망대를 들려보고 해안으로 내려갔으면 좋았을걸 그랬다.
해안으로 내려가는 계단엘리베이터
건너편 유달산.
건너편 유달산과 여객터미널.
계단엘리베이터와 해안 데크길. 유달산 정상과 중간에 있는 유달산전망대 하차장. 좌측 하얀건물은 신안비치호텔.
15 ; 42. 해안데크. 좌측은 용머리. 고하도 전망대. 우측은 해안동굴.
이리로 내려왔으면 우측 해안동굴 앞 갔다 와서 다시 좌측으로 가서 전망대로 오르던지(엘리베이터는 없단다)
아니면 용머리까지 가서 산책로를 따라오며 전망대를 들려오면 좋았을 텐데 시간도 없고 힘들것같아 우측만 다녀왔다.
좌측 용머리 탐방로 1369m, 우측 해안동굴탐방로 330m.
좌측 용머리 탐방로 1369m, 우측 해안동굴탐방로 330m..
좌측 고하도 전망대와 묭머리,목포대교.
우측 해안동굴 330m.
데크끝에 해안동굴.
앞 사진 좌측 끝 바위를 당겨봤다. 사람 얼굴같다.
15 ; 50. 해안동굴 앞. 데크 끝이다. 되돌아간다.
고하도 해안동굴.
고하도 해안동굴.
앞쪽의 바위를 다시보고.
해안동굴 앞. 데크 끝.
되돌아 간다.
계단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간다.
상부 계단엘리베이터 타는곳. 고하도 전망대는 5층으로 13척의 판옥선 모형을 격자형으로 쌓아올린 건물이란다.
고하도 케이블카 탑승장과 달리도.
16 ; 05. 다시 돌아온 고하도 케이블카 탑승장. 거기까지 갔다 오는데 40분 걸렸다.
다시 돌아온 고하도 케이블카 탑승장.
16 : 17. 케이블카 타고. 고하도 전망대와 목포대교. 고하도 해안데크와 신안군의 섬들 여객선터미널. 유달산을 보며 간다.
유달산.
고하도전망대와 목포대교. 그 뒤는 신안군 장좌도. 율도, 압해도.
우측 해안동굴.
좌측 목포대교.
우측 여객터미널.
인어상이 있는 영산지맥 끝자락과 신안비치호텔.
고하도.
유달산 전망대 하차장.
압해대교.
북항 스테이션이 보이고.
목포대교.
16 ; 44. 북항 스테이션. 바로 앞 차도에서 좌측에 목포해상케이블카 버스 정류장이 있지만
이 정류소는 앞산을 우측으로 돌아서 북항앞 해양대 종점으로 가는 버스 편이고
목포역으로 가는 1번 버스는 길 건너편에서 유달산을 우측으로 삥 돌아 여객터미널을 지나서 가므로
목포역까지는 2.6km 정도니 택시를 타는 게 낫다.
하차장.
북항 스테이션.
길건너편에서 본 목포 해상 케이블카 북항 시테이션.
17 ; 20. 1번 버스 타고
17 ; 45. 목포역에서 하차하여 짐 보관함에서 짐 찾고 M호텔인근의 목포세무서수가정에서 순두부 백반으로 저녁.
18 ; 35. 지난번에 묵었던 M호텔에서 1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