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상식
•
• 실린더 용량은 어떻게 되는가?
• 실린더 수량은 몇개로 할 것인가?
• 실린더 행정(STROKE)는 얼마인가?
• 실린더 선정시 단동식인가? 복동식인가?
• 실린더 종류는 무엇으로 선택 할 것인가?
• 주)작업 중량물 보다20%이상 용량을 올려 선정해야 안전합니다.
•
• 유압펌프 종류를 선정 ? 1.핸드펌프, 2.전동펌프, 3.에어펌프
• 핸드펌프 선정시 단동식인가? 복동식인가 ?
• 전동펌프 선정시 고려 할점은 1.사용전압, 2.분당오일토출량, 3.작동스위치(수동, 리모트콘트롤)
• 에어펌프 선정시 에어콤프레서의 압력은 얼마인가?
• 주)펌프의 오일량은 사용할 실린더 오일량 보다 20%이상의 용량을 사용한다.
•
• 유압호스의 길이는 얼마인가?
• 유압게이지 부착여부를 판단한다?
• 유압밸브를 어느것으로 선정할 것인가? 1.수동밸브, 2.전자밸브
• 피팅류 규격은 얼마인가?
• 유압공급시 블럭은 어느 제품으로 할것인가?
•
• 작업용량보다 20% 이상 실린더 용량을 사용한다.
• 편하중이 걸리지 않게 작업물의 중앙에 받힌다.
• 장시간 실린더를 고정시킬 때는 보강장치를 한다.
• 작업시 눈비를 피하고 실린더를 깨끗이 닦아 보관한다.
• 실린더에 용접이나 열을 가하지 않는다.
• 실린더 작업시 항시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 유압부품은 고온에 노출시키지 않아야 한다.
•
• 펌프 압력이 700 BAR 인지 확인한다. (GAUGE 를 이용한 압력 TEST 700 BAR = 10,000 PSI)
• 릴리프 벨브는 임의조작을 금지한다.
• 펌프작동이 퍽신퍽신하고, 압이 안차고 실린더 작동이 불규칙할 경우는 실린더를 꺼꾸로 놓고 몇차례 작동시켜 내부의 공기를 빼고 사용한다.
• 펌프 작동중 오일 부족시는 반드시 실린더를 하강시키고 탱크 용량에 85%를 보충시킨다.
• 전동펌프 사용시 사용전압 및 단상.삼상유무 확인후 사용한다.
• 모터 회전방향 확인 (삼상시 회전방향 바뀌면 토출 및 압력형성 안됨)
• 펌프의 수명을 위해 사용빈도수에 따라 OIL 상태확인후 주기적인 교환요망.
•
• 호스는 사용압력이 700 BAR 인 것을 사용한다.
• 호스길이는 짧을 수록 좋고 꺾인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 호스커플러와 실린더 커플러 체결시 완전히 체결후 사용한다.
• 사용전 반드시 흐스 및 카플러의 이물질을 제거후 사용한다.
• 카플러에 테프론씰을 감을 때는 두번째 나사선에서 4~5번 감고 사용한다.
• 암수 카플러의 체결상태를 확인한다
• 체결상태 불량시 실린더 전진이 안됨, 전진이 된다 하더라도 RETURN 안됨.
•
• 고효율을 위한 적정점도의 오일을 사용한다 (ISO VG #46)
• 펌프 탱크용량에 85%을 유지 사용한다.
• 오일탱크 누유를 확인한다.
• 장시간 사용한 오일은 이물질 유입등으로 인하여 점도가 떨어지고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깨끗한 오일로 교환사용한다.
• 쇠가루가 펌프탱크속에 들어가는 작업현장에서는 자석을 오일탱크속에 넣고 사용하면 좋다.
•
• 1. 압형성이 안될 경우
• - TANK 내에 OIL 유무 확인후 OIL 보충 (현장응급조치 가능)
• - PLUNGER의 고압SEAL 손상 (SEAL 교체)
• 2. 압형성이 불안정할 경우
• - PUMP BASE 내부에 CHECK SEAT 불량, RELEASE SPINDLE CHECK 불량 또는 RELIEF SETTNG 불량중의 원인이기 때문에 TECPOS 본사. 대리점에 수리의뢰 ( 현장조치 불가능).
•
• 1. 실린더가 상승이 안될 경우
• - PUMP 기능점검( GAUGE 압력점검), 압형성이 안될 시 PUMP 교체 (현장조치 가능)
• 2. OIL 누유일 경우
• - SEAL 손상, TECPOS 본사. 대리점에 수리의뢰 (현장조치 불가능)
• 3. RETURN 불량일 경우
• - SPRING 탈착 (현장조치 불가능)
• - PUMP TANK 에 OIL 고다보충으로 인한 RETURN 불량 (TANK 용량의 80~90% 수준유지) (현장조치 가능)
• - 편심사용에 의한 내벽손상 가능, TECPOS 본사. 대리점에 수리의뢰 (현장조치 불가능)
•
• 1. 펌프가 기름을 토출하지 않는다
• 1) 펌프의 회전방향이 올바른지 검사한다.
• 2) 흡입쪽을 검사한다.
• 오일탱크에 오일이 규정량으로 들어 있는가.
• 석션 스트레이너가 막혀있지 아니한가.
• 흡입관으로 공기를 빨아들이지 않은가.
• 규정된 점도의 기름이 들어있는가 ( 점도가 아주 높으면 흡입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 석션 스트레이너의 눈 간격은 정확한가.
• 오일탱크 유면에서 펌프까지의 높이가 너무 높지 않은가.
• 배관이 너무 가늘거나 심하게 휘어진 곳은 없는가.
• 3) 펌프는 정상적인가 검사한다.
• 축의 파손은 없는가.
• 내부의 부품에 파손은 없는가 분해 검사한다.
• 분해 조립시 내부부품을 빠짐없이 끼웠는가.
• 2. 압력이 상승하지 아니한다.
• 1) 펌프로 부터 기름이 토출되고 있는지 검사한다.
• 2) 유압회로를 점검한다.
• 유압배관이 도면대로 되어 잇는지 검사한다.
• 언로드 회로의 점검 : 펌프의 압력은 부하로 인하여 상승하며,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력이 상승하지 아니한다.
• 3) 릴리프 밸브를 점검한다.
• 압력설정은 올바른가.
• 릴리프 밸브 자체고장은 없는가.
• 4) 언로드 밸브의 점검 (시퀸스 밸브, 전자밸브등을 언로드 용으로 사용하고 있는경우)
• 밸브의 설정압력은 올바른가.
• 밸브 자체고장은 없는가.
• 전자밸브를 언로드 회로에 사용할 때에는 특히 전기신호 (램프, 솔레노이드)의 확인 및 전자밸브가 실제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 (전기회로의 전자 접속기는 작동하고 있지만 접점불량,단선등으로 전자밸브가 작동하지 않는경우도 있다)
• 5) 펌프의 점검 : 축, 카트리지드으이 파손이나 해드 커브볼트의 조임상태등을 분해 점검한다.
• 3. 펌프의 소음
• 1) 아래의 현상과 관계가 있다.
• 석션 스트레이너가 막혀 있지 않은가.
• 석션 스트레이너가 너무 적지 않은가.
• 2) 공기의 흡입은 없는가.
• 탱크안의 기름을 점검하여 기름에 기포등이 없는지 점검한다.
• 유연 및 석션 스트레이너의 위치를 점검한다.
• 흡입관의 이완은 없는가, 패킹은 완전한가.
• 펌프의 해드커브 조임볼트가 느슨하지 아니한가.
• 3) 환류관의 점검
• 환류관의 출구는 흡입과 입구에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가.
• 환류관의 출구가 유면 이하로 들어가 있는가 (유면보다 높으면 기름속으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 4) 릴리프 밸브의 점검
• 떨림현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
• 유량은 규정에 꼭 맞는가.
• 5) 펌프의 점검
• 전동기축과 펌프축의 중심이 일치되었는가.
• 파손품(특히 카트리지)은 없는가를 분해 점검한다.
• 6) 진동
• 설치면의 강도는 충분한가.
• 배관등에 진동은 없는가.
• 설치장소의 불량으로 떨림이나 소음이 없는가.
• 4. 기름 누출
• 1) 조임부의 볼트 이완
• 2) 패킹, 오일씨일, O 링의 점검 (오일씨일 파손의 원인은 축 중심이 일치하지 않거나 드레인 압력이 너무 높을 때이다)
• 5. 펌프의 온도상승
• 냉각기의 성능은 충분한가 또는 유량이 적지 아니한가.
• 6. 펌프가 회전하지 아니한다.
• 펌프의 소손, 축의 절손 : 분해하여 소손부분을 조사하고 신품과 교환한다.
• (이경우 원인을 꼭 규명해야 하며, 원인으로는 먼지에 의한 마모 또는 해드커버 볼트의 조임불량, 토오크가 너무 클때이다.)
• 7. 전동기의 과열
• 1) 전동기의 용량이 맞는지 검사한다.
• 2)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력은 올바른가.
• 8. 펌프의 이상마모
• 1) 유압유의 오염
• 2) 점도가 너무 낮거나 기름의 온도가 너무 높다.
• 3) 유압유의 열화현상